|
꽃이야기 샘처럼 솟구쳐 나오는 풍부한 발상. 천성이기도 하고, 태어나 자란 환경 덕분이기도 합니다. 인간의 한없는 욕망에 당신이 가진 풍부한 기획력을 더한다면 모든 일이 잘 풀릴 것입니다. 그런 힘을 감추고 있군요.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 주세요 멜론은 박과에 딸린 한해살이 덩굴 식물이다. 주로 온실에서 가꾸며 참외를 개량해서 만든 것으로 여러 품종이 있다. 줄기는 길게 덩굴로 벋으며 덩굴손이 있다. 줄기에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잎은 손바닥 모양이고 어긋나기로 난다. 뿌리는 얕게 자라며 곧은 뿌리는 짧고 겉뿌리가 땅위를 따라서 수평으로 벋는다. 열매는 지름이 15cm쯤으로, 녹색의 둥근 모양인데, 하얀 그물 무늬가 겉에 생긴다. 과일은 달고 향기가 매우 좋다. 멜론에는 사향노루의 향이 난다고 하여 머스크멜론으로 불려지는 그물멜론, 열매의 겉에 사마귀점 같은 것이 돋아나고 세로줄이 있는 켄털루프, 참외를 개량한 멜론의 대표적 품종인 프린스멜론이 있다. 멜론은 온실 재배와 밭에서 재배하는 노지 재배가 있다. 따뜻한 지방의 습기가 적은 곳에 잘 자란다. 세계 각지의 온실에서 가꾼다 멜론은 특유의 향이 있고 단맛이 좋은 고급과일로 멜론은 참외와 비슷하지만 당질은 월등히 높고 철분, 나이아신, 비타민A, C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심장병이나 뇌졸중을 막아주는 항응고제로 효과가 크며 항암작용을 하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광주 서구에서 재배되는 멜론은 표면의 그물무늬가 가늘고 균일하여 보기에도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멜론보다 당도가 높다. 박과에 속하는 채소 또는 과일로 품종과 산지에 따라 녹색을 띠고 있을 때 혹은 완전히 익었을 때 수확한다 녹색일 때 따는 품종은 거의 단맛이 없고 주로 오이처럼 생으로 먹으며, 혹은 코르니숑처럼 식초에 조리하거나 담가 절이기도 한다. 이 멜론들은 길쭉한 모양으로 큰 것은 길이가 1.2m 이상 되며, 오늘날 세계 어디에서나 찾아 볼수 있다. 완숙 후 수확하는 멜론들은 품종에 따라 과육의 색이 주황색, 연두색, 또는 흰색을 띠고 있다. 프랑스에서는 사랑테(charentais, 칸탈루프 종) 타입이 가장 많이 재배된다(총 생산량의 80%). 중간크기의 구형으로 껍질에 짙은 초록의 줄무늬가 세로로 나있으며, 주황색을 띤 달고 육질이 연하며 향이 좋다. 열대와 아열대 아프리카 지역이 원산지이며 고대부터 먹기 시작한 멜론은 15세기가 되어서야 뒤늦게 프랑스에 유입된다. 국왕 샤를 8세가 이탈리아 전쟁 중에 로마 근처 교황청 소유 영지인 칸탈루포(Cantalupo)에서 이 멜론을 가져온 것이 시초가 된 것이다. 멜론 재배는 당시 브나스크 백작령 (le comtat Venaissin) 영토과 남부 지방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루이 14세 통치 시절, 베르사유 궁 경내에 조성된 왕의 텃밭을 관리하던 농학자 르 캥티니 (Le Quintinie)는 다양한 개량종을 개발해냈다. 유명한 인물들 중 멜론 애호가로는 특히 앙리 4세 와 알렉상드르 뒤마를 꼽을 수 있다. 프랑스의 멜론 생산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주로 되 세브르(Deux-Sèvres), 에로(Hérault), 보클뤼즈(Vaucluse), 비엔(Vienne), 타른 에 가론(Tarn-et-Garonne), 부슈 뒤 론(Bouches-du-Rhône) 지방에서 이루어진다. 클래식 샤랑테 품종은 생산량의 80%를 점유하지만 보관기간이 2~3일로 짧은 편이다. 껍질이 노르스름한 중간 상태의 샤랑트 멜론은 약 1주일간, 장기 보존이 가능한 샤랑트 멜론은 녹색을 띤 것으로 약 2주간 보관이 가능하다 두 품종은 클래식 샤랑테 멜론에 비하면 향이 덜하다. 멜론은 잘 익으면 꼭지 둘레를 기점으로 불규칙한 홈이 형성된다 (클래식 사랑테와 노랑색 샤랑트 멜론의 경우). 이 세 품종의 껍질은 매끄럽거나, 문양이 그려진 듯하거나, 그물 모양으로 덮여 있다. 이 밖에 다른 품종 또한 프랑스에서 생산되는데 이들은 향이 덜하며, 과육의 색이 흰색 또는 연두색이다. 수확 이후 꽤 오랫동안 보관이 가능하여, 갈리아(galia)와 허니듀 (honeydew) 품종은 약 10일, 그리고 갸름한 모양의 녹색 겨울멜론은 2달 정도 보관할 수 있다. 멜론은 열량이 매우 낮고 (100g당 30kcal 또는 125kJ) 수분 함량(90%)이 높으며, 카로틴과 비타민C를 함유하고 있다. 들어보아 무거운 것, 껍질에 흠집이 없는 것을 고르는 게 좋다. 꼭지 주변이 떨어지려고 살짝 분리되기 시작하면 잘 익었다는 표시이다. 무조건 향이 진한 것을 고르는 게 반드시 최선의 선택기준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이는 숙성이 너무 많이 진행되었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멜론은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냉장고에 보관할 때는 향이 진하게 발산되므로 봉투에 밀봉하여 넣는다. 껍질을 벗겨 슬라이스하고 레몬즙과 설탕을 뿌린 뒤 냉동용 지퍼팩에 넣고 얼려도 좋다. 멜론은 오르되브르 또는 디저트 과일로 시원하게 서빙한다(7°C). 전채 요리로 먹을 때는 소금, 흰 후추로 간하기도 하며, 디저트인 경우는 그대로 또는 설탕을 뿌려서 먹기도 한다. 깍둑썰기해서 시원한 과일 화채에 넣기도 하고, 아주 얇게 슬라이스한 생햄(Parma, San Daniele, serrano, Aoste 등)을 곁들여 애피타이저로 서빙하기도 한다. 스위트한 강화와인 뱅 두 나튀렐 (rivesaltes, maury, frontignan 등) 또는 레드 포트와인과 잘 어울린다. 당절임한 멜론은 프로방스의 특산 당과류인 칼리송(calissons)의 재료로 사용되며, 녹색 겨울멜론은 프로방스에서 성탄절에 준비하는 13가지 디저트를 구성하는 데 포함된다. 멜론을 작게 잘라 코르니숑처럼 식초에 절여 두었다가 차가운 육류나 가금류에 피클처럼 곁들여 먹기도 한다. 좋은정보ㅡ cafeapp 그대를 불러봅니다ㅡ cafeapp 자라에게ㅡ cafeapp 사랑아ㅡ cafeapp 무정부르스ㅡ =cafeapp 그냥걸었네ㅡ =cafeap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