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답한 공유전동킥보드 민원
넘쳐나는 공유전동킥보드… 고객불편 관리체계는 엉망
얼마 전 독자 한 분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지난 호 전동킥보드에 대한 기사를 잘 보았다는 그는 며칠 전 황당한 경우를 당했다고 한다.
평소 아들이 학원에 갈 때 라임 공유킥보드를 곧잘 이용하는데, 그날따라 결제금액이 평소와 달리 2만 원대로 결제되었다는 것이다. 집과 학원을 오갈 때만 전동킥보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통 3천 원 가량의 요금이 나오는 터라 아들 휴대폰 앱을 확인해 본 결과 이전과 같은 금액이 결제된 것이 아닌가? 잘못 결제된 요금을 바로잡기 위해 독자는 라임 홈페이지에 접속했지만 별도의 고객센터 연락처는 발견하지 못했다. 혹시 몰라 좌동지구대에 물어보니 킥보드 사고가 나면 출동할 뿐 요금 문제는 알아볼 수 없다며 대신 ‘070’으로 시작하는 고객센터 번호를 알려주었다. 해당 번호로 전화를 하니 코로나19로 상담이 불가능하다는 사전녹음된 안내만 들렸다고 한다. 다시 해운대구청 민원실로 전화를 했지만 구청에서도 전동킥보드는 개인사업자가 허가를 낸 사항이라 해결방법이 없다는 답변만 들었다.
공유킥보드 요금도 문제지만 관계기관에서 공유킥보드에 대한 제대로 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해운대에서 운영되고 있는 라임 공유킥보드의 문제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중 일부는 전동킥보드와 관련된 법규 미비로 인한 것도 있고, 일부는 라임의 안전관리 부실 탓도 크다. 전동킥보드는 운전면허가 있어야 탈 수 있지만, 사업자가 이용자의 면허를 법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의무는 없는 실정이다.

더구나 해운대 곳곳에 넘쳐날 만큼 많은 전동킥보드를 가져다 놓고는 제대로 된 연락체계조차 갖추지 않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앞서 언급한 독자는 요금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라임과의 연락을 시도해 실패했지만, 만일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운전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라임 앱과 홈페이지에 연락처가 나와 있지만 가입자가 아니면 찾기가 쉽지 않고, 그나마도 최근에는 코로나19를 이유로 장기간 연결 불가 상태이다.
무엇보다 답답한 것은 라임의 공유킥보드 운행을 감독해 킥보드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해야 할 구청이나 경찰서가 라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킥보드 운영사인 라임코리아도 뒤늦은 자체 대응에 나서 자사의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때 스마트폰 스캔을 통해 면허를 인증하는 절차를 최근 도입했다.
하지만 공유킥보드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고객상담 운영체제는 아직 부족해 대책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 박동봉 편집위원
첫댓글 저도 비슷한 경험 24분타고 11,244원이 결재 전화도 안되고 이메일보내도 깜깜무소식입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4.20 07:31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4.21 05:43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4.26 15:53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1.04.28 0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