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여인처럼 하루 두 번 꽃내음을… 감기 후유증으로 잃은 후각 좋아져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장미의 영혼(he Soul of the Rose or My Sweet Rose)’. 1908년, 캔버스에 유채, 88.3×59.1cm, 개인 소장.
영국 화가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년)는 59세에 <장미의 영혼(he Soul of the Rose or My Sweet Rose)>이라는 그림을 완성했다. 꽃의 영혼을 그림으로 표현하라고 했을 때, 아마도 워터하우스의 그림을 뛰어넘지 못할 것이다.
여인은 장미 냄새를 맡으려고 앞으로 몸을 기울인다. 그녀의 반쯤 감긴 눈은 꽃의 향기와 여인의 영혼이 만나는 느낌을 준다. 장미의 영혼은 사랑 또는 열망이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후각(嗅覺)은 뇌와 바로 연결된 감각이다. 냄새를 인식하는 과정은 이렇다. 냄새 입자가 공기에 실려 콧속으로 들어오면 비강 천장의 후각 수용체가 이를 감지한다. 수용체(受容體)는 감지한 냄새 입자의 화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 후각신경으로 전달한다. 냄새 신호가 후각신경을 통해 뇌에 도달하면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이상덕 하나이비인후과병원장은 “냄새를 못 맡는 후각 장애(傳導性嗅覺障礙)는 코가 막혀 냄새 입자가 후각 수용체에 도달하지 못하는 전도성 장애(傳導性障礙)와 냄새 입자가 수용체에 도달해도 신경이 반응하지 않거나 뇌가 냄새를 구분해서 인식하지 못하는 감각신경성 장애(感覺神経性障礙)로 나뉜다”며 “전도성 후각장(傳導性嗅覺障礙)애는 대개 비염이나 축농증 등 콧속 염증으로 코가 막혀 발생하는데,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70~80%는 회복되나 일부는 치료 후에도 여전히 후각 장애가 남아 있는 감각신경성 장애를 보인다”고 말했다. 감각신경성 후각장애(感覺神経性嗅覺障礙)는 주로 바이러스성 감기를 앓고 난 후의 후유증, 노화,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치매 등에서 생긴다.
이 원장은 “찰흙을 손으로 주물러 모양을 만들듯이 후각신경도 특정한 환경에서 자극 훈련을 하면 민감도가 높아지는 후각 가소성을 갖고 있다”며 “감각신경성 후각 장애가 있을 때 장미, 레몬 등 후각 자극 향기를 하루 두 번, 10~15초씩 맡는 방식으로 후각 재활 훈련을 하면, 후각이 좋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사람 영혼도 향기로 교류하지 싶다.
✵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는 19세기 영국의 화가이다. 로마에서 영국인 부모 아래에서 태어나 런던으로 이주해 왕립 예술 학교에 입학했다. 1883년에 미술 교사의 딸인 에스더 켄워시와 결혼했다. 그의 작품들은 그리스 로마 신화, 역사 등 주로 고전적인 소재를 다룬다. 그중에서도 여성에 포커스를 둔 작품이 많으며, 화풍은 라파엘 전파와 유사하다. 1915년부터 암에 시달리던 워터하우스는 오필리아 연작을 그리던 중에 숨을 거두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총 118개의 작품을 남겼다.
대표작품은 '샬럿의 처녀(The Lady of Shalott)'(1888년), '오디세우스에게 술잔을 주는 키르케(Circë offering the Cup to Ulysses)'(1891년), '키르케 인비디오사(Circe Invidiosa)'(1892년), '힐라스와 님프들(Hylas and the Nymphs)'(1896년) 등이 있다.
윌리엄은 고대 전설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에서도 영감을 받았다. 영국의 시인 알프레드 테니슨(Alfred Tennyson, 1809-1892)은 빅토리아 시대의 계관시인(桂冠詩人)이다. 알프레드의 작품은 아름다운 조사와 운율로 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의 작품 중 ‘샬롯의 여인(The Lady of Shalott)’은 아서왕 전설(Arthurian Legend)에서 영감을 받아 쓴 것이다.
* 계관시인(桂冠詩人) : 영국 왕실이 영국의 가장 명예로운 시인에게 내리는 칭호. 고대 그리스에서 훌륭한 시인이나 영웅에게 월계관을 씌워 주었던 데에서 유래했다.
알프레드의 시 ‘샬롯의 여인’은 아서왕 전설 속 여인 일레인(Elaine)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일레인은 에스톨렛의 왕 버나드의 딸이다. 그녀는 사람을 직접 마주하게 되면 저주를 받는 운명을 타고났다. 그렇기에 그녀는 모든 사람을 거울로 쳐다봐야만 했다. 저주를 피하고자 탑에 갇혀 생활하던 그녀는 랜슬롯 경(Lancelot)을 만나게 되고, 그를 거울을 통해 처음 만나는 순간 사랑에 빠져 그만 몸을 돌려 그를 직접 보게 된다. 그 즉시 일레인은 저주받고 생명을 점점 잃어간다. 그녀는 랜슬롯이 사는 카멜롯(Camelot)으로 가 숨을 거두길 원했고, 딸의 청을 거부하지 못한 버나드 왕은 작은 배 한 척에 그녀를 태워 강물에 흘려보낸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샬롯의 여인(The Lady of Shalott)',
1888년, 캔버스에 유채, 153×200cm, 영국 테이트 브리튼 미술관.
윌리엄이 1888년에 그린 작품 ‘샬롯의 여인’은 알프레드의 비극적인 시(詩)의 마지막 부분을 묘사한 것이다. 이 작품은 윌리엄의 대표작으로 꼽히기도 한다.
배를 타고 카멜롯으로 향하는 일레인은 절망과 슬픔에 가득 찬 표정이다. 그녀는 부두에 배를 묶었던 사슬을 풀고 사랑하는 이가 있는 곳으로 향한다. 그림 속 왼쪽의 제비는 불길한 징조를 예고하고 있다. 꺼져버린 촛불은 그녀에게 죽음이 임박했음을 암시한다.
워터하우스는 시인 테니슨(Alfred Lord Tennyson)이 '아서왕의 전설(Arthurian legend)'에서 모티브를 따서 지은 시를 테마로 여러 작품을 그렸다. 오른손에 묶여 있는 운명의 쇠사슬을 느슨히 풀고, 자신이 속하지 않은 세상을 향해, 막 떠나려는 모습이다.
그림 아래에 ‘The Victorans'(빅토리아 시대 사람들)라는 큰 글자가 보이고, 작은 글자를 확대해 보면 ’British Painting in the Reign of Queen Victoria, 1837-1901'(1837-1901년 빅토리아 여왕 통치 시기의 영국 회화)라는 내용이 보인다. 그 아래에는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February 16-May 11, 1997'(국립미술관, 워싱턴, 1997년 2월 16일-5월 11일)이라는 어구도 있다.
하지만, 뱃 머리에는 이미 자신의 죽음을 상징하는 이름이 새겨져 있고, 초(醋) 세개와 십자가, 역시 죽음을 상징하는 흰 드레스위에 떨어진 낙엽, 이미 자신의 장례식의 모습을 담고 있는 듯한... 살아 있지만 살아 있지 않은 여자. 사랑을 위해 먼길을 떠나지마는 그 여정의 끝에는 죽음이 기다리는,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거대한 사랑의 힘에 대한 작품이었다. 저주받은 소녀가 떠나는 마지막 여행이 소녀의 슬픈 표정과 아름다움으로 인해 더욱 비극적으로 느껴지는 그림으로 느껴진다. 모델은 그의 아내라고 한다.
✺ 샬롯의 아가씨(The Lady of Shalott)
이야기는 "아더왕과 원탁의 기사(King Arthur & The Knights of the Round Table)" 전설과 관련되어 있다. 아더왕(King Arthur)의 왕비인 기네비어(Guinevere)를 연모한 란슬롯(Lancelot), 그리고 그런 란슬롯을 짝사랑한 일레인(Elane)...
버나드 경(Bernard)의 딸이었던 일레인은 란슬롯에게 반해 그의 아내가 되고자 했지만, 기네비어를 사랑한 란슬롯은 그녀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오히려 그는 평생 결혼하지 않겠다는 맹세만을 남기고 카멜롯 으로 돌아간다. 일레인은 슬픔에 잠겨 먹지도 마시지도 못하고 눈물만 흘리다가 죽어버린다.
그녀는 자신이 죽으면 시신을 비단으로 감싸 배를 태워 카멜롯으로 보내달라고 유언한다. 얼마 후 백합과 비단으로 장식한 일레인의 시신을 실은 검은배가 카멜롯에 도착하고, 그녀가 손에 쥐고 있던 편지를 읽은 아서왕과 기네비어 왕비, 원탁의 기사들 그리고 란슬롯은 그녀의 죽음을 슬퍼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시인, 알프레드 테니슨(Alfred, Lord Tennyson, 1809~1892)에 의해 '샬롯의 아가씨(The Lady of Shalott)'라는 시(詩)로 각색되면서 더 유명해졌다. 이 후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아름다운 그림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했다. 다음은 테니슨의 시 "The Lady of Shalott"의 원문과 해석이다. 총 4부로 이루어진 장편 시이다.
The Enchanted Garden
PARTⅠ.
강의 양 옆으로는
보리와 호밀 밭들이 길게 뻗어 있고
평야는 뻗어 나가 하늘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들판을 가로 지르는 길은
수 많은 탑들이 솟아 있는 카멜롯에 이른다
사람들이 오르 내린다
저 아래 섬 주위로
백합 꽃이 피어있는 곳을 바라보면서
샬롯의 섬을
버드나무는 하얗게 세고, 사시나무는 떨리고 있다
미풍은 물결에 어스름을 몰고와 떨게 하고
그 위를 끝없이 불어댄다
카멜롯 아래로 흘러가는 강에 있는 섬 주위의 물결을
네 개의 회색 성벽(城壁)과 네 개의 회색 탑들이
꽃밭을 내려다보는 곳
나무는 섬을 조용히 감싸고 있다
샬롯의 아가씨를
기슭을 따라서 버드나무에 가리워진
느린 말들이 끄는 무거운 짐 배들이 미끄러져 나간다
부르는 이 없는 작고 가벼운 배는 비단 돛을 달고
카멜롯으로 스치듯 미끄러져 내려간다
누가 본 적이 있는가? 그녀가 손흔든 모습을...
그녀가 창가에 서있는 모습은?
아니면 온 나라에 알려져 있는가?
샬롯의 아가씨는?
오직 추숫꾼들만이, 아침 일찍
결실을 맺은 보리사이에서 추수하며
활기차게 메아리치는 노래를 듣는다
우뚝 솟은 캐밀롯으로부터
선명하게 구불거리며 흘러내리는 강이
그리고 지진 추숫꾼들이 달빛을 받으며
고지(高地)에서 곡식단을 쌓으며
속삼임에 귀 기울인다
"이건 바로 요정같은 샬롯의 아가씨야"
PARTⅠ.
On either side the river lie
Long fields of barley and of rye,
That clothe the wold and meet the sky
And through the field the road runs by
To many-towered Camelot
And up and down the people go,
Gazing where the lilies blow
Round an island there below,
The island of Shalott.
Willows whiten, aspens quiver,
Little breezes dusk and shiver
Through the wave that runs forever
By the island in the river
Flowing down to Camelot.
Four grey walls, and four grey towers,
Overlook a space of flowers,
And the silent isle embowers
The Lady of Shalott.
By the margin, willow-veil'd,
Slide the heavy barges trail'd
By slow horses; and unhailed
The shallop flitteth, silken-sail'd
Skimming down to Camelot
Yet who hath seen her wave her hand?
Or at the casement seen her stand?
Or is she know in all the land,
The Lady of Shalott?
Only reapers, reaping early
In among the bearded barley,
Hear a song that echoes cheerly
From the river winding clearly,
Down to tower'd Camelot:
And by the moon the reaper weary,
Piling sheaves in uplands airy,
Listening, whispers "'Tis the fairy
Lady of Shalott."
The Lady of Shalott (detail, bottom)
PART Ⅱ.
그녀는 밤낮으로
화려한 색깔의 마법(魔法) 옷감을 짜고 있다
그녀는 속삭이는 소리를 들었었다
그녀에게 저주가 내릴 것이라는
옷감짜는 일을 멈추고 카멜롯을 내려다 보면
그녀는 무슨 저주가 내릴지 알지 못한채
부지런히 옷감만 짰고
다른 것에는 조금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샬롯의 아가씨는
항상 그녀 앞에 걸려 있는
맑은 거울을 통해 움직이는
세상의 모습들이 보인다
거기에서 그녀는 카멜롯을 향해
굽이쳐 있는 근처의 큰 길을 본다
맴도는 강의 소용돌이가 비치고
무뚝뚝한 시골뜨기들과
빨간 외투의 장터 소녀들이
샬롯의 앞을 지나쳐간다
때로는 유쾌한 아가씨들의 무리가
느릿한 말에 올라탄 수도원장이
어떤 때는 곱슬머리의 양치기 소년이나
진홍색 옷을 입은 긴 머리의 시동이
우뚝 솟은 카멜롯을 지나간다
또 어떤 때는 파란 거울을 통해
짝을 지어 말을 타고 오는 기사들이 보인다
그녀에겐 진정으로 충성하는 기사가 없다
샬롯의 아가씨에게는
그러나 그녀는 여전히 즐거워 한다
거울에 비치는 마법같은 광경들을 짜 넣는 것을
종종 조용한 밤이면
깃털과 불빛, 음악소리와 함께
카멜롯으로 장례행렬(葬禮行列)이 떠나고
혹은 달이 머리위로 높게 떴을 때
갓 결혼한 젊은 연인이 왔다
"난 그림자들 때문에 병이 난 것 같아" 라고
샬롯의 아가씨는 말했다.
PART Ⅱ.
There she weaves by night and day
A magic web with colours gay
She has heard a whisper say,
A curse is on her if she stay
To look down to Camelot.
She knows not what the curse may be,
And so she weaveth steadily,
And little other care hath she,
The Lady of Shalott.
And moving thro' a mirror clear
That hangs before her all the year,
Shadows of the world appear.
There she sees the highway near
Winding down to Camelot;
There the river eddy whirls,
And there the surly village-churls,
And the red cloaks of market girls,
Pass onward from Shalott.
Sometimes a troop of damsels glad,
An abbot on an ambling pad,
Sometimes a curly shepherd-lad,
Or long-hair'd page in crimson clad,
Goes by to tower'd Camelot;
And sometimes thro' the mirror blue
The knights come riding two and two:
She hath no loyal knight and true,
The Lady of Shalott.
But in her web she still delights
To weave the mirror's magic sights,
For often thro' the silent nights
A funeral, with plumes and lights
And music, went to Camelot:
Or when the moon was overhead,
Came two young lovers lately wed;
"I am half-sick of shadows," said
The Lady of Shalott.
The Lady of Shalott (detail-top)
PART Ⅲ.
그녀의 집 처마로부터 화살이 미칠 정도의 거리에
그가 보릿단 사이로 말을 달려 왔다
햇빛은 나뭇잎 사이로 눈부시게 내리쬐고
용감한 란슬롯 경(卿)의
번쩍이는 갑옷위로 불타올랐다
붉은 십자가 기사는 언제나 무릎을 꿇었다
그의 방패에 있는 아가씨에게
황금 벌판에서 반짝이는
머나먼 샬롯 곁에서
보석이 박힌 말고삐가 번쩍거린다
금빛 은하수에 걸려있어
우리가 보는 별무리처럼
고삐의 방울은 즐겁게 울린다
그가 카멜롯으로 말을 달릴 때
문장(紋章)이 새겨진 식대(飾帶:어깨띠)에
커다란 은 나팔이 매달려있다
그가 말을 달릴 때 갑옷이 울렸다
머나먼 샬롯 곁에서
구름 한점 없는 파란 하늘에
보석이 가득 박힌 가죽안장이 빛나고
투구와 투구 깃은
마치 하나의 불꽃처럼 타올랐다
그가 카멜롯으로 말을 달릴 때
종종 자주빛 밤에
빛나는 별무리의 아래에서
긴 꼬리의 유성(流星)을 빛을 내며
샬롯 위로 넘어갔다
그의 넓고 훤한 이마가 햇빛에 빛났다
그의 군마(軍馬)는 빛나는 발굽으로 걸었다
그가 말을 달릴때면
투구 밑으로 그의 까만 머리가 곱슬거렸다
그가 카멜롯으로 말을 달릴 때
강둑과 강을 오가며
수정같은 거울에 그의 모습이 번쩍 비쳤다
강물이 첨벙첨벙
란슬롯 경을 노래했다
그녀는 옷감을 놓고 베틀도 내버려두고
세 걸음만에 방을 가로질렀다
그녀는 수련 꽃을 보았고
그녀는 투구와 깃털을 보았다
그녀는 카멜롯을 내려다 보았다
옷감이 날아가 넓게 펼쳐져 떠올랐다
거울은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금이 갔다
"나에게 저주가 내렸구나" 소리쳤다
샬롯의 아가씨가
〈'나는 정신나간 반쪽의 그림자'라고 레이디 살럿은 말했다
('I am Half Sick of Shadows,' said the Lady of Shalott)〉, 1915년,
옛날 샬롯이라는 어느 외딴 섬에 한 아가씨가 외로이 베를 짜며 살고 있었다. 그녀는 마법에 걸려 있어서 바깥세상을 직접 볼 수도 나갈 수도 없었다. 그녀가 할 수 있었던 것은 그저 거울로 바깥 풍경을 비춰보는 것뿐이었다.
'나는 그림자가 지긋지긋해'
PART Ⅲ.
A bow-shot from her bower-eaves,
He rode between the barley sheaves,
The sun came dazzling thro' the leaves,
And flamed upon the brazen greaves
Of bold Sir Lancelot.
A red-cross knight for ever kneeled
To a lady in his shield,
That sparkled on the yellow field,
Beside remote Shalott.
The gemmy bridle glitter'd free,
Like to some branch of stars we see
Hung in the golden Galaxy.
The bridle bells rang merrily
As he rode down to Camelot:
And from his blazon'd baldric slung
A mighty silver bugle hung,
And as he rode his armor rung
Beside remote Shalott.
All in the blue unclouded weather
Thick-jewell'd shone the saddle-leather,
The helmet and the helmet-feather
Burn'd like one burning flame together,
As he rode down to Camelot.
As often thro' the purple night,
Below the starry clusters bright,
Some bearded meteor, trailing light,
Moves over still Shalott.
His broad clear brow in sunlight glow'd;
On burnish'd hooves his war-horse trode;
From underneath his helmet flow'd
His coal-black curls as on he rode,
As he rode down to Camelot.
From the bank and from the river
He flashed into the crystal mirror,
Tirra lirra, by the river
Sang Sir Lancelot.
She left the web, she left the loom,
She made three paces through the room,
She saw the water-lily bloom,
She saw the helmet and the plume,
She look'd down to Camelot.
Out flew the web and floated wide;
The mirror crack'd from side to side;
The curse is come upon me, cried
The Lady of Shalott.
PART Ⅳ.
사나운 동풍(東風)에 힘입어
창백한 노란 숲이 시들어지고
둑사이로 넓은 강물이 난리를 치고
낮게 드리워지 하늘은 억수같이 비를 퍼붓는다
높이 솟은 카멜롯의 위로
그녀는 내려와서 배를 발견했다
버드나무 아래 둥둥 떠 있는
그녀는 뱃머리 주위에 적었다
샬롯의 아가씨라고
희미하게 펼쳐진 넓은 수면 저편을
자신의 재앙을 모두 보면서
비몽사몽에 빠진 대담한 예언자인 것 처럼
멍한 표정으로
그녀는 카멜롯을 바라보았다
날이 저물자
그녀는 사슬을 풀고 누웠다
넓은 강물은 그녀를 멀리 실어갔다
샬롯의 아가씨를
좌우로 느슨하게 나부끼는
눈처럼 흰 옷을 입고 누워
나뭇잎들이 그녀위에 가볍게 내려 앉았고
밤의 속삭이는 소리를 들으며
그녀는 카멜롯으로 흘러갔다
뱃머리가 흔들리면서
버드나무와 언덕들 사이로 구불구불 돌고
그들은 그녀가 마지막으로 부르는 노래를 들었다
샬롯의 아가씨의
때로는 크게 때로는 나지막하게 부르는
슬프고 거룩한 노래를 들었다
그녀의 피가 서서히 얼어붙고
눈앞이 완전히 캄캄해질 때까지
높게 솟은 카멜롯으로 향했다
물결을 타고
강가에 있는 첫번째 집에 도착하기 전에
그녀는 노래를 부르며 죽었다
샬롯의 아가씨는
탑과 발코니 아래로
정원의 담과 회랑 옆으로
빛나는 모습으로 그녀는 떠내려갔다
높다란 집들 사이로 죽어 창백한 모습으로
조용히 카멜롯으로
사람들이 선창가로 나왔다
기사와 백성, 영주와 귀부인
그들은 뱃머리에 쓰인 그녀의 이름을 읽었다
샬롯의 아가씨
이게 누구야? 이게 뭐지?
가까이의 불빛 찬란한 궁전에서
왕실의 떠들썩한 소리가 사라지고
카멜롯의 모든 기사들은
공포에 떨며 성호를 그었다
하지만 란슬롯은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그가 말하기를 "아름다운 얼굴이구나,
자비로우신 하나님, 은총을 내려주소서,
샬롯의 아가씨에게"
PART Ⅳ.
In the stormy east-wind straining,
The pale yellow woods were waning,
The broad stream in his banks complaining.
Heavily the low sky raining
Over tower'd Camelot;
Down she came and found a boat
Beneath a willow left afloat,
And around about the prow she wrote
The Lady of Shalott.
And down the river's dim expanse
Like some bold seer in a trance,
Seeing all his own mischance --
With a glassy countenance
Did she look to Camelot.
And at the closing of the day
She loosed the chain, and down she lay;
The broad stream bore her far away,
The Lady of Shalott.
Lying, robed in snowy white
That loosely flew to left and right --
The leaves upon her falling light --
Thro' the noises of the night,
She floated down to Camelot:
And as the boat-head wound along
The willowy hills and fields among,
They heard her singing her last song,
The Lady of Shalott.
Heard a carol, mournful, holy,
Chanted loudly, chanted lowly,
Till her blood was frozen slowly,
And her eyes were darkened wholly,
Turn'd to tower'd Camelot.
For ere she reach'd upon the tide
The first house by the water-side,
Singing in her song she died,
The Lady of Shalott.
Under tower and balcony,
By garden-wall and gallery,
A gleaming shape she floated by,
Dead-pale between the houses high,
Silent into Camelot.
Out upon the wharfs they came,
Knight and burgher, lord and dame,
And around the prow they read her name,
The Lady of Shalott.
Who is this? And what is here?
And in the lighted palace near
Died the sound of royal cheer;
And they crossed themselves for fear,
All the Knights at Camelot;
But Lancelot mused a little space
He said, "She has a lovely face;
God in his mercy lend her grace,
The Lady of Shalott.
―알프레드 테니슨(Alfred Tennyson, 1809-1892)
'랜슬롯을 바라보는 샬롯의 여인(The Lady of Shalott)', 142.2×86.3cm.
존 앳킨슨 그림쇼(John Atkinson Grimshaw, 1836-1893·영국), 점점 식어가는 그녀의 몸을 싣고 배는 끊임없이 물살을 타고 흐른다. 목적지는 그녀와 물살만이 알고 있을 것이다.
아서 휴즈(Arthur Hughes, 1830-1915·영국), 흘러흘러 배는 어느덧 사람들에게 발견되고 만다. 두려워하는 사람들, 그러나...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Dante Gabriel Rossetti, 1828-1882·영국), 그녀가 사랑했던 용감한 기사 랜슬롯만은 그녀를 보고 하느님의 자비를 빌어준다. 그녀는 죽어서만이 자신의 존재를 그에게 알릴 수 있었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카프리에서(Capri)’
1890년의 일부, 캔버스에 오일,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학교에서 교육받으며 당시 미술학계가 좋아하던 형식과 내용을 주로 그림 소재로 삼았지만, 윌리엄은 점점 예술적 감성이 황폐해짐을 느끼며 관습적인 교육과 그림에 환멸을 느꼈다. 그리고 그는 이탈리아에서 유년기를 보낼 때 주로 접했던 고대 그리스·로마 신화, 르네상스 시기의 예술이 진정한 삶과 예술의 표현이라고 깨닫게 되었다. 이후 윌리엄은 한층 높은 차원의 예술을 추구하고자 그리스·로마 신화, 고대·중세 문학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면서 신화를 자신이 그리는 그림의 주요 소재로 삼았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판도라(Pandora)’,
1896년, 캔버스에 오일,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그리스·로마 신화에 대한 윌리엄의 관심은 그의 작품 ‘판도라’에서 잘 나타난다. 판도라는 그리스·로마 신화 속 최초의 인류 여성으로 하늘의 신 제우스가 만들어낸 인물이다. 그녀의 이름은 ‘모든 선물을 받은 여인’이라는 뜻을 지녔다. 그녀는 창조주인 제우스에게서 상자를 선물 받는다. 제우스는 그녀에게 상자를 절대 열지 말라고 경고한다. 그러나 호기심을 이겨내지 못한 판도라는 상자를 열어 버렸고 그 속에 있던 질병, 가난, 슬픔, 전쟁, 증오 등의 악들이 세상으로 쏟아져 나왔다.
윌리엄은 판도라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어 1896년, 상자를 열어보는 판도라를 그림으로 표현했다. 그림 속 상자는 황금빛이 선명하고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판도라는 그 상자를 조심스러우면서도 호기심이 가득한 표정과 손짓으로 열어본다. 상자의 열린 틈에서는 악의 기운인 잿빛 연기가 세상으로 뻗어 나오고 있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오필리아(Ophelia)’, 1867년.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오필리아(Ophelia)’,
1894년, 캔버스에 오일,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문학과 고전을 사랑한 예술가 윌리엄은 이 외에도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하나인 햄릿 속 인물인 오필리아를 소재로 한 그림과, 호메로스의 고대 장편 서사시 오디세이 속 이야기를 소재로 한 그림도 즐겨 그렸다.
자연 풍경을 사실적이면서도 아름답게 묘사하고, 특히 이야기 속 여인의 모습을 매혹적으로 표현했던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그는 예술의 근원과 탄생 배경, 문화에 대한 학문적 탐구를 바탕으로 아름답고 가치 있는 작품을 대거 탄생시켜 지금까지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워터하우스는 초기에는 앨머 태디마에게서 깊은 영향을 받았지만 이후 좀 더 시적인 주제를 다루었다, 특히 빅토리아시대의 대표적인 시인인 알프레드 테니슨(Alfred Tennyson, 1809-1892)의 시와 호메로스(Homeros)의 <일리아스>,<오디세이아>에서 작품의 소재를 구했다. 1891년 무렵 한 여인을 모델로 삼게 되었고, 이후 그의 주요한 작품에서 이 여인이 계속해서 등장한다.
워터하우스의 동화적이면서고 사실적인 작품은 점점 인기가 높아졌고 그의 명성은 높아져서 번 존스(Edward Coley Burne Jones)와 레이턴경(Lord Frederick Leighton)과 비견될 정도가 되었다. 하지만 라파엘전파의 인기가 시들면서 워터하우스 역시 주류에서 밀려나 말년은 쓸쓸하게 보냈다고 한다.
빅토리아 여왕이 통치했던 이 시대에는 아서 왕의 전설이나 단테,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여인들이 갑자기 미술의 전면에 등장했다. 그리고 몇백 년 동안 되풀이되어온 라파엘 풍의 양식화된 미술을 과감히 집어던진 새로운 화풍이 유행처럼 번지면서 그 어느 때보다 유미주의적인 열정과 신비로운 상징이 가득한 미술이 탄생했다. 그것이 바로 라파엘전파이다.
빅토리아 시대는 영국사를 통틀어 성적으로 가장 엄숙했던 시기였다. 올바른 가정을 꾸리는 것이 국가의 제1신조로, 가장 중요한 덕목이 여성은 순결과 정조, 남성은 금욕과 절제였다. 그러나 통제가 심할수록 인간의 욕망은 더욱 강해지는 법. 이 시기에는 매춘과 성병 또한 기승을 부렸다. 정상적인 가정의 틀에서 벗어난 여인들은 멸시의 대상이 되었고, 그런 여인들은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평생 숨어 지내야 했다. 물에 빠져 죽은 매춘부나 물에 떠오른 익사체의 여인이 많이 그려진 것은 그러한 사회상을 반영한다. 워터하우스 역시 직설화법보다 문학이나 신화 속 이야기에 당시의 현실을 은유적으로 그려내었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오디세우스에게 술잔을 주는 키르케(Circë offering the Cup to Ulysses)',
1891년, Oil on canvas, 149x92cm, 영국 올덤 아트 갤러리.
눈부신 미모와 마법으로 남자들을 굴복시키는 능력을 지닌 태양신 헬리오스의 딸 키르케가 오디세우스에게 마법의 술을 권하는 장면이다. 이미 빠져버린 듯한 오디세우스의 모습이 거울에 비치고 키르케의 마법지팡이 때문에 이미 돼지로 변해버린 그의 부하중 하나가 그녀의 발아래 드러누워있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키르케 인비디오사(Circe Invidiosa)',
1892년, Oil on canvas, 179x85cm, Art Gallery of South Australia.
키르케는 질투심도 무척 강했다. 바다의 신 글라우코스가 아름다운 아가씨 스킬라에게 사랑에 빠진 사실을 키르케에게 털어놓는데 오히려 키르케는 글라우코스에게 빠진다. 글라우코스에게 거절을 당하자 키르케는 스킬라가 평소 목욕을 즐기는 연못에 마법의 약을 풀어 그녀를 아주 무서운 괴물로 만들어버리고 만다. 그녀의 표정은 무척이나 차갑고 요염해 보인다.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 '힐라스와 님프들(Hylas and the Nymphs)',
1896년, Oil on canvas, 98x163cm, Manchester City Art Galleries, Manchester.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할 수 있을 때 장미를 모으라’, 1908년.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너희가 할 수 있는 동안 장미꽃봉오리를 모아라’, 1909년.
✺ 소녀들에게의 충고(Counsel To Girls)
너희들이 할 수 있는 동안, 장미 봉오리를 모아라.
늙은 시간은 끊임없이 날아가며
오늘 미소 짓는 바로 이 꽃도
내일이면 죽으리라.
하늘의 찬란한 램프,
태양이 높이 솟으면 솟을수록
그만큼 더 빨리 그의 달림은 끝날 것이고
황혼에 더 가까와지리라.
젊음과 피가 한결 더웠던 첫 시절이 가장 좋고
그것이 사라지면 더 나빠지고,
가장 나쁜 시절이 잇따르리니
그러니 수줍어 말고, 시간을 활용하라.
그리고 할 수 있는 동안에, 결혼하라.
청춘을 한번 잃기만 하면,
영원히 너희는 기다려야 하리니.
Gather ye rose-buds while ye may,
Old time is still a-flying:
And this same flower that smiles today,
Tomorrow will be dying.
The glorious lamp of heaven, the sun,
The higher he's a-getting,
The sooner will his race be run,
And nearer he's to setting.
That age is best which is the first
When youth and blood are warmer;
But being spent, the worse, and worst
Times still succeed the former.
Then be not coy, but use your time;
And while ye may, go marry:
For having lost but once your prime,
You may forever tarry.
-로버트 헤릭(Robert Herrick, 1591-1674)
✵ 로버트 헤릭(Robert Herrick, 1591-1674)은 영국의 런던 출생 시인이다. 1620년 케임브리지대학교 졸업. 1623년 성공회 목사가 되었고, 1629년 데본셔의 딘프라이어의 목사로 부임하였다. 내란 때인 1647년 청교도에 의해 성직에서 쫓겨나 런던에 돌아왔다가, 1662년 다시 그 곳 목사로 부임하여 생애를 마쳤다. 왕당파 서정시인 인 그의 시작품은 《헤스페리데스 Hesperides, or the Works both Human and Divine of Robert Herrick Esq.》(1648)에 수록되어 있다. B.존슨의 시풍을 계승하여 격조를 갖춘 목가적 서정시를 발표, 신변의 가련한 것들의 아름다움을 정묘하게 읊었다.
「Seize the day(오늘을 잡으라)」
Carpe diem. Seize the day boys. Make your lives extraordinary.
"카르페 디엠, 오늘을 즐겨라, 소년들이여, 삶을 비상하게 만들어라."
―로마 시인 퀸투스 호라티우스 플라쿠스(Quintus Horatius Flaccus)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돌체 파 니엔테, 아무것도 하지않는 즐거움(Dolce Far Niente), 1879년, 유화, 36.2x49.6cm, Private Collection.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돌체 파 니엔테, 아무것도 하지않는 즐거움(Dolce Far Niente), 1880년, 유화, 97x50cm, 커콜디미술관 영국.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liam Waterhouse, 1849-1917), ‘바람꽃(Windflowers)’,
1903년, 캔버스에 유채, 114.3x78.7cm, 개인소장.
[출처 및 참고문헌: 조선일보 2023년 12월 21일(목) 김철중 의학전문 기자, Daum·Naver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 ∙ 고앵자,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