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홀 부페 정보제공]

9.11테러의 주동자 오사마 빈 라덴.
본명 오사마 빈 무함마드 빈 아와드 빈 라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태어난 석유 재벌 출신,
이슬람 근본주의적 성향의 국제 테러리스트 조직 '알 카에다'의 지도자
'빈 라덴'
그의 사망일 2011년 5월 2일.
2001년 9월 11일 발생한 '9.11테러' 발생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한 미국이 10년 만에 이룬 일이다.
그동안, 그리고 지금까지도

9/11 테러 이후 미국은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였으며
아프가니스탄에서의 탈레반 조직을 공격하고 알카에다 조직원들에 대한 체포에 돌입,
여러 국가들이 향후의 테러 공격에 대히바히 위해 대(對)테러 준비를 강화하고
CIA에 신설된 특별 부서는 빈라덴을 추적하여 생포하거나 제거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렇게 10여년의 시간동안 이어진 필사의 추적.

2001년 9.11 테러가 발생한 후
2011년 빈 라덴의 사망에 이르기까지
미국은 무려 10년간 약 430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빈 라덴을 추적하는 데 쏟아부었다.
그러나 그러한 천문학적인 비용과 긴 세월동안 이어졌던 추적 과정은
숨겨져 왔던 것이 너무나도 많았다.

최근, 파네타 장관은 최근 미국의 한 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이 영화 속 너무도 생생하고 리얼한 추적 과정,
폭파, 고문, 심문 장면 등 그 모든 것을 "영화의 내용은 모두 사실" 이라며 시인함에 따라
더욱 논란이 가속화되었던 바 있다.
그만큼, 사망한 후에도
여전히 미국 내에서는 뜨거운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는 빈 라덴.

2011년 5월 1일, 오바마 대통령은 직접 빈라덴의 사망을 공식화하며
"정의는 실현되었다"고 말하였다.
최소 2,974명이라는 엄청난 사상자를 낸 9.11테러의 주범인 빈 라덴의 사망은
영원히 그날을 잊지 못할 유족들과 전 세계적으로 큰 의의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정말 빈 라덴이 사살된것이 맞을까?
빈 라덴이 사망한지도 2년이 지나고 있음에도
여전히 이러한 의문들이 존재한다.

빈 라덴의 죽음을 둘러싼 몇가지 의혹들을 상세히 보도한 바 있다.
1. 빈 라덴의 제거
"왜 미국이 빈라덴을 체포하지 않고 죽였을까?"
르몽드지가 제시한 의문이자 많은 사람들의 의문이기도 하다.
빈 라덴의 사살 당일 이른 저녁시간,
미국 특공대는 빈 라덴을 생포할 것이라고 확신했다고 한다.
그런데 반나절이 지나자 이러한 지시를 번복하며
말을 바꾸어 사살하라고 지시했다는 것이다.
2. 시신 신원 확인
빈라덴이 머리에 총을 맞고 사망했다는 발표이후,
시신의 신원 확인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었다.
공식적 발표에 따르면 빈 라덴은 미군 정예부대의 총에 맞아 총살당했다고 한다.
그러나 공개된 사진을 보면 총살당한 시체에 멍 자국이 너무 많다라는 것.
미국 정예부대가 당초 발표했던 것과는 달리
빈 라덴을 구타하여 죽인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기도 하였는데,
미국측은 DNA 검사 결과 100% 그의 시신이 맞다고 했지만
언제, 어떻게 검사가 진행됐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또한 그 시신 사진을 두고 CIA의 전문가들이 옛날 사진과 분석한 것에 의하면
기존에 존재했던 다른 이의 사진과 95%가 일치한다고 한다.
즉, 사진 속 주인공은 진짜 빈 라덴이 아닌 조작된 합성 사진이라는 것.
3. 시신 수장
시신을 매장하면 그 곳이 테러리스트들의 본거지나 성지가 될 것을 우려한 미국은
빈 라덴의 시신을 바다에 수장했다고 밝혔는데,
미국 측은 24시간 안에 장례를 치르는 이슬람 의식에 따랐다고 주장했지만
그 방식으로 수장을 택한 것에는 의혹이 터져나오고 있다.
파리와 카이로에 있는 이슬람 협회에 따르면
수장은 이슬람 의식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하며
보통 사우디아라비아 서쪽에 있는 도시인 멕크 방향으로 매장하는 것이 그들의 전통이라고 한다.
또한 미국은 시신이 수장된 곳이 어느 바다인지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고 있다.
4. 파키스탄의 협조
과연 파키스탄이 아보타바드라는 도시에 있었던 빈라덴을 물리치기 위해
알카에다에 저항해서 미국측에 협조했는지도 의심스럽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파키스탄의 도움에 경의를 표하며,
파키스탄 대통령의 이름을 거론하기도 했지만
빈 라덴의 사살 작전은 미국의 단독 작전이었다는 것.
미국은 파키스탄에 통보도 하지 않았고,
군사 행동에 대한 윤리적합법적인 의무에 의한 지상권 침해를 정당화했다.
파키스탄 전 대통령 Pervez Musharraf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파키스탄 군대가 이끌었어야한다. 외국군이 우리땅에 들어와서는 안되는 것이다. 환호하는 파키스탄 국민들을 보기를 원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우리땅이 침해당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피키스탄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수백명이 모여 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오직 미국만이 알고 있는 빈 라덴 사살작전의 진실.
르몽드지는 빈라덴이 알 카에다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지는 못하고 있기에
그의 죽음이 보다 상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고 하였는데,
그만큼 상징적인 의미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죽음 그 자체에 대한 진실규명은 흐려졌다는 평이다.

그러나 이같은 끊임없는 의혹과 음모론이 식지 않는 와중,
최근 빈 라덴 사살작전의 전말을 담아낸 영화 <제로 다크 서티>가 개봉하며
영화 속에 담긴 사실적이고 생생한 작전 과정에 초점이 맞춰지며 다시금 화제가 되고 있다.

이 영화는 'CIA 측에서 기밀 문서를 영화사 측에 흘린 것이 아니냐'라는
또 다른 형태의 의혹이 일 만큼 사실적인 묘사로 주목받고 있는데,

영화 속에 그려진 빈 라덴의 사실에 이르기까지의 상세한 추적 과정의 실체가 드러난다면
빈라덴 사살에 대한 의혹들을 잠재울 수 있을지
특히 마지막 숨막히는 30분에 대한 기자들과 평론가들의 찬사가 끊이질 않는 가운데
충격적일만큼 굉장히 사실적인 내용으로,
지금껏 한번도 공개되지 않았던 빈라덴 검거작전 직전 30분에 대한 실체가 담겨있다고 한다.
지금까지 무수한 추측과 억측, 논란을 낳고 또 낳았던 빈라덴 암살작전 30분에 대한 기록.
영화를 통해 궁금증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제로 다크 서티>는 전미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데 이어서
곧 국내에서도 3월 7일 개봉 예정.

함께하는 멋진세상 부페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