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도 차면 기운다
물극필반이란 무엇 뜻일까?
"사물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전하게 된다"
우리나라 속담으로
"달도 차면 기운다"와 같은 뜻입니다.
그럼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를 통해 알아 보겠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무학대사와 가끔 바둑을 두고는 했습니다. 실력은 대등했으나 이기는 쪽은 언제나 이성계였습니다.
이에 이성계가 말하죠.
''대사는 나무를 보고 있지만, 나는 숲을 보는 중이라오''
무학대사는 잔 수에 밝았고, 이성계는 대세에 밝아 반상을 두루 살폈던 것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길을 가다 한 농부가 산 밑에 집을 짓고 있는 광경을 보게 되었습니다.
풍수지리에 능한 무학대사는 농부는 3년 안에 거부가 될 거라고 말합니다.
고래 등 같은 기와집이 들어설 자리라고 말이죠.
그와 반대로 이성계는 저곳은 몇 년 안에 폐허가 될 거라고 말합니다.
그리고서는 둘이 내기를 하게 됩니다.
그로부터 3년 후, 그곳을 지나던 무학대사는 자신의 생각과 반대로 폐가가 들어서 있는 광경을 보게 됩니다.
이 사실을 이성계에게 전했습니다.
이성계는 웃으며 대사는 잔 수에 밝으나 대세에는 약하다고 말합니다. 그곳이 폐허가 된 것은 대사의 풍수지리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대사의 예상대로 그 농부는 큰 부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무학대사가 본 것은 여기까지입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부자가 된 사람이 이런 골짜기에 살지 않을 거라 본 것입니다.
분명 사람이 많은 곳으로 가서 떵떵거리며 살거라고 말이죠. 그래서 폐허가 될 거라고 예측했던 것입니다.
무학대사는 풍수지리를 읽는 것에는 분명 능했지만 이성계처럼 사람의 마음을 읽는 데에는 부족했던 모양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은 집터가 명당임을 아는 것까지는 배움의 단계라고 합니다.
부자가 된 농부가 그 집을 떠날 것까지 볼 수 있는 것은 비움의 영역이라고 합니다.
바둑에서는 이를 "통유"의 단계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통유란 채우는 단계를 지나 비움으로써 또 다른 세계가 있음을 발견하게 되는 경지를 말합니다.
현재의 삶 보다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살아가려면 자기만의 틀을 깨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그동안 보지 못했던 다른 측면들을 발견할 수 있을 거라고 얘기합니다.
"부분적으로는 옳을 수 있어도 전체적으로 틀릴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물극필반, 달도 차면 기운다."
지나친 욕심을 부리지 말라는 뜻으로 보입니다.
왜?
흥망성쇠는 반복하기 때문입니다.
-펌 글-
첫댓글 네...3번이나 흥망성쇠...
지금은 기력없는 노인의 백수 생활하여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