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用神)과 격국(格局)의 개념(槪念)
(1) 용신(用神)을 논하다
八字用神專求月令以日干配月令地支而生剋不同格局分焉 |
팔자의 용신(用神)은 오로지 월령(月令)에서 구한다. 이것을 용신전구월령(用神專求月令)이라 말한다. 용신을 월령에서 찾았다고 하면 그 다음에는 일간을 월지(月支)에 십신으로 대조하면 된다. 그러면 생하고 극하는 현상이 사주마다 다르게 나는데 이로써 격국이 나뉘어진다.
【설명】
① 용신은 월령(月令)에서 구한다
② 그런 후에 일간을 월지에 십신을 대조하면 격국이 만들어진다
③ 고로 월령(月令)을 기반(基盤)으로 하여 용신과 격국이 탄생하므로 용신이 곧 격국이 된다
財官印食此用神之善而順用之者也殺傷劫刃用神之不善而逆用之者也當順而順當逆而逆配合得宜皆爲貴格 |
재관인식(財官印食)은 선(善)한 용신(用神)이니 이를 순용(順用)하고 살상겁인(殺傷劫刃)이면 불선(不善)한 용신(用神)이니 이를 역용(逆用)하여야 한다. 순용(順用)할 것을 순용(順用)하고 역용(逆用)할 것을 역용(逆用)하여 배합이 적당하면 어느 격국이든지 귀격(貴格)이 될 수 있다.
【설명】
① 재성, 정관, 인수, 식신은 길한 용신이다
② 칠살, 상관, 겁재, 양인은 흉한 용신이다
③ 건록월겁격과 양인격을 용신(用神)이라고 선언하고 있다
(2) 상신(相神)을 논하다.
월령에 이미 용신이 있으면 다른 곳에는 반드시 상신(相神)이 있게 된다.
癸生亥月透丙爲財財逢月劫而卯未來會則化水爲木而轉劫以生財者全賴於卯未之相[論相神緊要] ●癸●丙 ●卯亥● |
계수(癸水)가 해월(亥月)에 나고 천간에 정재 병화(丙)火가 투출했다. 재봉월겁(財逢月劫)이 되면 재성이 겁재를 겁탈하므로 흉하게 된다. 이때 지지에서 해묘(亥卯) 혹은 묘미(卯未)가 모여 화수위목(化水爲木)이 되면 해수 겁재(劫財)는 식상(食傷)으로 변화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식상(食傷)이 재성(財星)을 생조(生助)하므로 성격(成格)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전적으로 묘(卯)와 미(未)의 한 글자에 의지하여 성격이 되는 것이므로 이를 상신(相神)이라 말한다.
【설명】이 구결은 용신(用神)변화를 일으키는 한 글자를 상신(相神)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해수(亥水) 겁재(劫財)는 용신인데 묘목(卯木)을 만나 해묘합목(亥卯合木)으로 기상(氣象)변화(變化)를 일으켰습니다. 즉 해월(亥月)이지만 목(木)의 계절인 봄철의 날씨가 나타나는 겁니다. 그러므로 재봉월겁(財逢月劫)으로 재성파손의 우려가 있었지만 목생화(木生火)하므로 오히려 재성을 생조하게 되어 성격이 된 것입니다. 이렇게 좋게 만드는 한 글자가 상신(相神)이 되는 것입니다.
庚生申月透癸泄氣不通月令而金氣不甚靈子辰會局則化金爲水而成金水相涵者全賴於子辰之相如此之類皆相神之緊要也[論相神緊要] ●庚●癸 ●子申●
|
경금(庚金) 일간이 신월(申月)에 나고 계수(癸水)가 투출하여 설기를 한다. 그러나 계수(癸水)가 월지에 통근하지 못하여 설기가 원활하지 못하였다. 이때 지지에서 자진(子辰)이 모여 국(局)을 이루면 곧 화금위수(化金爲水)가 되어 금(金)이 수(水) 용신(用神)으로 변화하였다. 이런 경우에는 오로지 자(子)와 진(辰)의 상신(相神)에 의지하여 쓸모가 있게 된다. 이와같은 유형은 모두 상신(相神)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3) 용신(用神)변화(變化)를 논하다
용신은 이미 월령이 주인이 되는 것이지만 월령에 소장된 것이 하나같지 않으니 이로써 용신의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
【설명】인목(寅木)을 예로 들면 갑목(甲木)이 본래 주인이니 군의 지부와 같습니다. 병화(丙火)는 장생이니 군(軍)의 동지와 같으며 무토 역시 장생이니 군의 통판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예로 들면 인월(寅月)이 제강(提綱)이 되는데 갑목(甲木)이 투간하지 않았다고 하면 일단 갑목은 용신이 될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동정론(動靜論)이론에 의해 갑목(甲木)은 정(靜)의 형태로 암장이 된 물건이니 움직이지를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천간에서 갑목을 만나게 되면 목(木)이 투간하였다고 하여 정(靜)이 곧 동(動)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이때 비로서 용신(用神)으로 잡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갑목(甲木)이 투간하지 않고 다른 지장간인 병화(丙火)가 투간하였다고 하면 이것은 병화(丙火)는 암장으로 정(靜)한 상태였기 때문에 용신으로 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병화(丙火)가 투간하여 동(動)으로 변한 것입니다. 이것은 비유하자면 군에 갑목 총수(總帥)가 부임하지 않고 보좌관이 와서 주인의 역할을 맞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병화(丙火)를 용신으로 잡는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용신의 변화가 생기는 것입니다.
(3) 용신이 변화하여 더욱 吉해지거나 혹 더욱 凶해지는 게 있다
變之而善其格愈美變之不善其格遂壞故若丁生亥月本爲正官支全卯未則化爲印己生申月本屬傷官藏庚透壬則化爲財凡此之類皆用神之變化也 |
변화하여 좋게 되면 그 격(格)이 더욱 좋아지고, 변화하여 나쁘게 되면 그 격이 더욱 나빠진다. 만약 정화(丁火) 일간이 해월(亥月)에 생했다면 본래는 정관격(正官格)이다. 그런데 지지에 묘(卯) 와 미(未)가 있으면 화관위인(化官爲印)이 되는 것이다. 곧 정관이 변화하여 인수가 되면 더욱 길해지는 것이다. 또 기토(己土) 일간이 신월(申月)에 생하면 본래 상관격(傷官格)이다. 그런데 신(申)의 지장간에서 본기(本氣)인 경금(庚金)은 투출하지 않고 임수(壬水)가 투출했다면 상관격(傷官格)이 재격(財格)으로 변화한다. 곧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된 것이다. 무릇 이와 같은 종류가 모두 용신(用神)의 변화(變化)이다.
(4) 용신변화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다
是故八字非用神不立用神非變化不靈善觀命者必於此細詳之 |
그러므로 팔자는 용신(用神)이 없으면 세울 수가 없으며 용신(用神)은 변화(變化)가 없으면 영험(靈驗)하지 못한 것이다. 올바르게 사주를 보려는 자는 반드시 이러한 용신변화를 세밀히 살펴야 한다.
자료출처 격국론[자평진전정해]-7월달 출간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