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예찬禮讚
음성 듣기
텍스트 보기
年末이 다가오면서 公私間에 送年會 일정이 잡혀 평시보다 일정을 바쁘게 지내는 주변을 봅니다.
한 해를 마무리하는 행사이다보니 자연이 飮酒가 따르기 마련인데 가끔은 過飮으로 고생아닌 고생을 사서하게되는 경우를 봅니다.
다행히 저는 그럴때마다 우리 고유의 술 "막걸리"를 愛用하는데 언제인가 우리 술 막걸리에 대한 禮讚글을 보았기에 참고하시라고 전해 올립니다
" 막걸리예찬禮讚,"
막걸리는 이름도 여러 가지랍니다. 그 色이
희다해서 백주(白酒), 탁하다 해서 탁주(濁酒) 또는 회주(灰酒)라 했고, 집집마다 담가 먹는다 해서 가주(家酒), 농사 지을 때 새참이라 하여 농주(農酒), 제사 지낼 때 제상에 올린다 하여 제주(祭酒)라고도 불렀습니다.
그런가하면 백성들이 즐겨 마시는 술이라 하여 향주(鄕酒), 나라를 대표하는 술이라 하여 국주(國酒)라고도 했답니다.
또 고려 때는 막걸리용 누룩을 배꽃이 필 무렵에 만든다 하여 이화주(梨花酒)라 불러 꽤 낭만적인 이름을 갖기도 했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쌀과 누룩으로 빚어 ''막 걸러낸 술''이란 "막걸리"가 제일 친근한 느낌입니다. 서민적 정취를 흠뻑 담고 있기 때문이아닐까요?
막걸리의 오덕(五德)과 삼반(三反)이란 말도 있습니다
조선조 초의 명상 정인지(鄭麟趾)는 젖과 막걸리는 생김새가 같다하고 아기들을 젖으로 생명을 키워 나가듯 막걸리는 노인의 젖줄이라고 했답니다.
조선조 중엽에는 막걸리를 좋아하는 이(李)씨 성(姓) 판서(判書)가 있었다는데 언젠가 아들들이 "왜 아버님은 좋은 약주나 소주가 있는데 막걸리만을 좋아하십니까?" 하고 물었을때
이판서는 소(牛) 쓸개 세 개를 구해 오라 시키고는 한 쓸개 주머니는 소주, 다른 쓸개주머니에는 약주,
나머지 쓸개주머니에는 막걸리를 가득 채우고 처마 밑에 매어 두었던바바,
며칠이 지난 후에 이 쓸개주머니를 열어 보니 소주 담은 주머니는 구멍이 숭숭 나있고 약주 담은 주머니는 상해 얇아져 있는데 막걸리 담은 주머니만은 오히려 이전보다 두꺼워져 있는것을 발견하였다는 말도 전해 옵니다.
막걸리는 오덕(五德)이 있고 삼반(三反)의 생명수(生命水)란 말도 있답니다.
1. 막걸리 오덕(五德)이란?
01. 취하되 인사불성일 만큼 취하지 않음이 일덕(一德)이요,
02. 새참에 마시면 요기되는 것이 이덕(二德)이며,
03. 힘 빠졌을 때 기운 돋우는 것이 삼덕(三德)
이고,
04. 안 되던 일도 마시고 넌지시 웃으면 되는 것이
사덕(四德)이며,
05. 더불어 마시면 응어리 풀리는 것이 오덕
(五德)이랍니다.
옛날에는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큰잔에 막걸리를 넘치게 부어 돌려가며 마셔서 품었던 크고 작은 감정을 풀었으므로 향음주(鄕飮酒) 라고도 했다는데,
2. 막걸리의 삼반(三反)이란?
01. 놀고먹는 사람이 막걸리를 마시면 속이 끓고
트림만 나며 숙취를 부른다 해, 근로지향(勤勞
志向) 의 반유한적(反有閑的)이요,
02. 서민으로 살다가 임금이 된 哲宗이 궁(宮)
안의 그 미주(美酒)를 마다하고 토막의
토방에서 멍석 옷입힌 오지항아리에서 빚은
막걸리만 찾아 마셨던 것처럼 서민지향의 반
귀족적(反 貴族的)이며,
03. 군관민(軍官民)이 참여하는 제사나 대사에
합심주로 막걸리를 돌려마셨으니 평등지향의
반 계급적(反 階級的)이기에 막걸리는
삼반주의(三反主義)라는 말도 있었답니다.
정인지를 비롯 문호 서거정(徐居正), 명신 손순효(孫舜孝)등은 만년(晩年)에 막걸리로 밥을 대신했는데 병 없이 장수했다고 하는데 노인의 젖줄이라 함은 비단 영양 보급원일 뿐 아니라 무병장수의 비밀을 암시하는 것이 되기도 한답니다.
1950~60년대 서울 명동 막걸리집 "은성"은 탈랜트 최불암씨의 어머니가 운영하셔서 전후(戰後) 배고픈 예술인들의 사랑방으로 부르기도 했답니다.
그 지집 여주인은 술값은 주는 대로 받고 외상값을 따지지 않았다며 "은성" 여주인이 사발이 철철 넘치도록 권하던 막걸리. 그 막걸리는 마음을 여는 나눔의 술이었답니다.
최불암이 대학에 간다고 하자 "은성" 단골인 수주(樹州) 변영로선생이 막걸리를 따라줬는데
최불암이 벌컥벌컥 받아 마시고 잔에 찌꺼기가 남아 있어 바닥에 털었다가
수주(樹州)선생이 최불암의 뺨을 한대 치면서 “이놈이 곡식을 버리는 놈이구먼!”하는 소리를 들었다는 이야기도 전해 온답니다.
논두렁 새참 때 농부의 갈증과 허기를 함께 달래주던 농주(農酒). 막걸리는 술이 아니고 밥이나 마찬가지였으며 하나님의 은총이었답니다.
* 막걸리는 고향이었습니다. 한국인의 몸과 마음에 깊이 육화(肉化)한 생명수였습니다.
막걸리는 다섯 가지 덕(德)이 있고 세 가지를 반대하던 민주주의 술이며 사람의 감정을 좋게 하는 해원주(解寃酒)이고
건강을 지키는 보신주(保身酒)이며. 노인의 영양(營養)을 보급하는 무병장수주(無病長壽酒)였습니다.
사랑합니다! 응원합니다! 함께합니다!
인생은 주객(酒客)이고 세상은 주막(酒幕)이란 말이 있습니다
구천(九泉)을 떠 돌던 영혼이 사람의 모습으로 세상에 오는 것은 주막에 온 것이고 단술 쓴술로 취하러 오신 것이랍니다.
잔 안들고 왔다고 술 안파는 주막없고 잔 없어서 술 못 마실 주막도 없지만 네가 쓰는 그 잔은 네 것이 아니기에 갈 때는 주막에 다시 놓고 가야되듯
인생은 주객(酒客)인 것이랍니다.
“주(酒)“자를 보십시요! 물수 변에 닭유 아닌가요? 술은 닭이 물을 먹듯 조금씩 조금씩 천천히 마셔야 하느니 원샷 하시면 몸에 해로운 것이니
모름지기 酒席은 근신하고 절제하고 조심할 일입니다.
건강 유의하십시요! 존경합니다! 믿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