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보은군의 산 29개와 장구봉 산행기
충북 보은군의 산을 이야기할 때면 대략 다음의 세가지가 관심사가 될 것이다. ①보은군의 3산으로서, 국립공원과 법주사로 유명한 속리산(父山), 아름다운 바위 봉우리의 구병산(母山), 그리고 아들산인 금적산(子山)이다. ②‘충북알프스’라 명명된 ‘활목고개~미남봉~상학봉~묘봉~관음봉~문장대~비로봉~천황봉~구병산~서원리’ 능선 종주 ③’속리산 천황봉~말티재~수철령~구티~시루산~구봉산~국사봉~머구미’로 이어지는 한남금북정맥이 그것이다. 이외에 자연휴양림이 있는 구룡산 정도만 산행이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발길이 뜸하여 옛길의 흔적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오늘은 국립지리원의 1/50000 지도상에 나타난 보은군의 산중 마지막 답사로서 장구봉을 올라보았다. 장구봉은 한남금북정맥에서 살짝 벗어나 있어 일반 산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장구봉(480.8m) 산행기
▪일시: '06년 1월 30일
▪날씨: 갬, 8℃
▪출발: 오후 1시 10분 경 보은군 산외면 白石里 ‘白石一里’ 입구
인근의 구봉산과 시루산 산행을 마치고 산외면 백석리 ‘白石一里(흰돌)’ 표석이 있는 마을 입구에는 1시 10분 경 도착하였다.
(13:10) 동쪽으로 나아가 마을 사거리에 이르니 오른편에는 ‘白石里敬老堂’이 자리한다. 직진하니 길은 오른쪽(남남서쪽)으로 휘어 T자 형 갈림길에 닿는데, 오른쪽은 경노당에서 온 길로 보인다. 왼쪽(남동쪽)으로 오르니 대략 동쪽으로 시멘트 임도가 지그재그로 이어진다. ‘백석2교’ 방면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 너무나 잘 닦여 있어 임도 수준 이상이다.
(13:26) ‘출입통제’ 안내판이 있는 능선에 이르니 좌우로 산판 갈림길이 나 있는데, 오른편 능선으로 붙으면 한남금북정맥으로 이어진다. 왼쪽(북쪽)으로 나아가니 무덤 몇 개를 지나 산판길이 끝나고 흐릿해진 길이 이어진다. 정상 직전 모처럼 노란색 ‘RCY산악문화제’ 표지기가 눈에 띄었고, 이어 최고점인 듯한 언덕을 지났다.
(13:38) 도상의 삼각점(△480.8m)이 있을 듯한 언덕에 이르니 아쉽게도 잡목과 풀섶 때문에 조망은 막힌다. 삼각점을 한참 찾으니 바로 길가의 풀섶 사이에 숨어 있는데, 워낙 마모되어 보통의 돌처럼 보인다. 북북동쪽으로도 흐릿한 길 흔적이 있으나 백석마을로 가기 위해서 서쪽으로 내려서야 한다.
(13:42) 삼각점에서 몇 걸음 후퇴한 뒤 서쪽으로 잡목 사이를 헤치며 내려서니 흐릿한 길 흔적이 보인다. 안부에 이르니 ‘RCY산악문화제’ 표지기가 다시 눈에 띄었으나 직진하여 묵은 무덤이 자리한 둔덕에 이르니 길 흔적이 애매하다. 서남쪽으로 잡목 사이를 나아가니 다시 흐릿한 길 흔적이 보인다.
(13:55) ‘恩津宋公秉九之墓’에 이어 산판길에 내려섰고, 왼쪽(남쪽)으로 나아가 비탈밭 사이를 지나서 시멘트길이 이어지고 여기서 백석1리 마을은 지척이다.
충북 報恩郡의 山들(1/50000 국립지리원 지도 기준, 가나다順)
(길 상태; A:아주 좋음, B:좋음, C:양호, D:다소 불량, E:극히 불량)
•거멍산(494.5m), 정상 조망(×)
수한면 질신리 질고지 마을에서 동쪽 소골로 능선에 이르면 흐릿한 길이 정상까지 이어짐(D). 옥천군 안내면 방하목리에서 동쪽 이동통신안테나로 시멘트길이 나 있으며, 안테나 직전에서 정상까지 뚜렷한 길이 이어짐(C).
•구룡산(549m), 정상 조망(×)
회북면 쌍암리 구룡산휴양림에서 구룡산을 일주할 수 있음(B).
•구병산(876.5m), 정상 조망(○)
마로면 적암마을에서 북북동쪽 골짜기로 들면 뚜렷한 등산로가 능선까지 나 있음(A). 보은위성지구국 뒷편 골짜기로 들면 정상 동편 능선까지 뚜렷한 길이 나 있음(B). 외속리면 삼가리 삼가저수지에서 정상 서편 능선까지 뚜렷한 길이 나 있음(C). 구병리 느진목이 마을에서 남쪽으로 두 가닥의 등산로가 나 있음(B).
•구봉산(506m), 정상 조망(△)
내북면 이원리 이원교에서 북쪽으로 나아가 이른 갈림길에서 왼쪽 골짜기로 들면, 도랑이 마을로 넘어가는 고갯길 자취를 거쳐 한남금북정맥에 닿을 수 있음(C).
•국사봉1(586.7m), 정상 조망(×)
내북면 화전리 또는 청원군 낭성면 개태울 마을에서 살티재에 오르면 한남금북정맥을 따라 길이 잘 나 있음(C). 정상에서 정맥을 따라 머구미 마을, 또는 그 도중에 낭추골로 내려설 수 있음(C).
•국사봉2(551.6m), 정상 조망(△)
회남면 금곡리에서 조곡리로 넘어가는 시멘트 포장길을 따르다가 왼편(북동쪽) 지능선으로 붙으면 비교적 뚜렷한 길이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정상으로 이어짐(C). 정상에서는 북쪽 하추동 또는 송평리로 지능선길이 이어짐(C).
•국사봉3(319.7m), 정상 조망(×)
회남면 어부동에서 남쪽 텃밭을 거쳐 지능선으로 붙는 길이 있음(C). 대전시 동구 주촌에서 산판길을 거쳐 지능선으로 붙으면 흐릿한 길이 정상으로 이어짐(D).
•금단산(768.3m), 정상 조망(△)
산외면 대원리 활목고개에서 능선을 따라 갈 수는 있음(D). 보통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에서 능선을 타고 덕가산 어깨로 붙은 뒤 금단산을 거쳐 신월교 방면으로 내려섬(C). 서남쪽 신선봉쪽으로 흐릿한 능선길 나 있음(D).
•금적산(652m), 정상 조망(△)
삼승면 원서원에서 서쪽 골짜기로 들면 뚜렷한 길이 정상 북쪽 능선으로 이어짐(B). 삼승초교에서 배나무골을 거쳐 정상 북북동쪽의 614m 봉으로 뚜렷한 길이 나 있음(C). 삼승 은밤이 마을에서 북편 지능선으로 붙으면 정상까지 길이 이어짐(C).
•노성산(507m), 정상 조망(×)
회북면 송평리에서 남동쪽 골짜기, 또는 수한면 차정리에서 서쪽 골짜기를 따라 능선에 닿아 정상에 오를 수 있으나 길이 거의 묵어서 덤불 투성이임(E).
•덕대산(573m), 정상 조망(×)
수한면 거현리 문티재(동진휴게소)에서 남쪽 능선으로 뚜렷한 길이 나 있음(B). 거현리 거리고개 마을에서 남서쪽 고개로 붙으면 정상까지 이어짐(C). 옥천군 안내면 동대리 도로변(가든 오른편)에서 북동쪽 지릉으로 붙으면 정상 서편 언덕(‘전망대’ 표식 있음)으로 길이 이어짐(C). 동대리 음지말에서 북동쪽으로 묘원을 지나면 기도터를 거쳐 정상까지 뚜렷한 길이 이어짐(C).
•부수봉(360.4m), 정상 조망(×)
회북면 부수리 안모실 마을에서 애곡리 애치 마을로 넘어가는 고개에서 북쪽 능선으로 붙음(D). 정상에서 북북서쪽으로 나아가 우무실 마을과 복우실 마을을 잇는 고갯길로 내려설 수 있음(D).
•사자봉(~380m), 정상 조망(×)
회북면 죽암리 죽바위 마을에서 서북쪽 골짜기로 흐릿한 길이 나 있음(D). 내곡2교 방면에서 지능선을 타고 오를 수도 있음(D). 정상을 포함, 서편으로는 채석장이 자리하여 출입이 불가능함.
•삼승산(574.4m), 정상 조망(×)
삼승면 내망1구에서 산판길을 따라 정상 서북쪽 지릉에 붙을 수 있음(D). 옥천군 청성면 능월리 어재 고개에서 북쪽 능선으로 붙으면 흐릿한 능선길이 정상까지 이어짐(D).
•속리산(1058.4m)
- 천황봉, 정상 조망(○)
내속리면 사내리 법주사(세심정휴게소)에서 상환암을 거쳐 오르는 것이 일반적임(A). 대목리 윗대목골 마을에서 북동쪽 골짜기로 정규등산로가 나 있음(B). 또는 북북서쪽 골짜기로도 길이 양호하며, 한남금북정맥상의 안부로 이어짐(C). 상주시 화북면 상오리에서도 길이 잘 나 있으나 통제구역임(B).
- 문장대, 정상 조망(○)
내속리면 사내리 법주사(세심정휴게소)에서 보현재(휴게소)를 거쳐 오르는 것이 일반적임(A).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에서도 정규등산로가 나 있음(A).
- 관음봉, 정상 조망(○)
법주사에서 북북동쪽 골짜기로 석문을 거쳐 관음봉과 문장대 사이의 능선으로 오를 수 있으나 현재 통제구역임(D). 상주시 화북면 대흥동에서 남남동쪽 골짜기를 따라 오를 수 있음(D).
- 묘봉, 정상 조망(○)
산외면 신정리에서 길이 잘 나 있음(B). 상주시 화북면 운흥리 ‘서부수퍼’에서 남남동쪽 북가치를 거쳐 오를 수 있음(B). 내속리면 사내리 여적암에서 북쪽 골짜기로 올라 북가치를 거쳐 오를 수 있음(C).
※산외면과 화북면의 경계인 활목고개에서 미남봉~상학봉~묘봉~관음봉~문장대~천황봉으로 능선산행(충북알프스의 주요 구간임)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
•수철령(535.9m), 정상 조망(×)
보은읍 종곡리 삼성동 마을에서 종곡저수지를 지나고 구룡치를 경유하여 한남금북정맥 능선으로 붙으면 되나 상단부에서 길이 묵은 상태임(D). 혹은 모정골 마을에서 북쪽 골짜기를 거쳐 고개에 닿은 뒤 동북쪽 능선으로 나아가면 정상에 이를 수 있음(D).
•시루봉1(505.7m), 정상 조망(△)
마로면 세중리 마을에서 북쪽 골짜기로 들어 좌측 산판 임도를 따라가다가 능선으로 붙으면 정상 서북쪽 능선봉으로 이어짐(D). 또는 우측 산판길을 따르다가 능선으로 붙으면 정상으로 이어짐(D).
•시루봉2(417m), 정상 조망(×)
미로면 적암마을 끝, 등산안내도가 있는 데서 15m 전방의 동쪽 길로 골짜기로 들면 비교적 뚜렷한 등산로가 정상까지 이어지는데, 구병산의 제9번째 정규등산로임(C).
•시루산(482.4m), 정상 조망(×)
중치리 아랫말에서 남서쪽 산판길을 따라 한남금북정맥 능선으로 붙을 수 있음(C). 곰쟁이 마을에서 북북동쪽 산판길을 따라 한남금북정맥 능선으로 붙을 수도 있음(D).
•신선봉(630m), 정상 조망(×)
산외면 대원리 체메기 마을에서 서쪽 고개로 오른 뒤 북쪽 능선으로 붙으면 됨(D). 신선봉에서 금단산까지 능선길 나 있음. 청원군 미원면 어암리 후운정 방면으로 흐릿한 내리막길이 나 있음(D).
•울미산(450.6m), 정상 조망(△)
마로면 기대교에서 서쪽 골짜기 좌측 능선(C), 우측 능선(D)으로 길이 나 있음.
•장구봉(480.8m), 정상 조망(×)
산외면 백석1리 마을에서 동쪽 임도를 따라 주릉에 이른 뒤, 북쪽으로 나아가면 됨(C). 삼각점이 있는 정상에서 북북동쪽 및 서쪽 지릉으로 흐릿한 길이 나 있음(D).
•주봉(587m), 정상 조망(×)
산외면 원평리 싸리재에서 동북쪽 지능선으로 흐릿한 길이 나 있음(D). 정상에서 북쪽 지릉으로 내려서면 임도에 닿고, 서쪽으로 나아가면 싸리재에 이름(D).
•탁주봉(550m), 정상 조망(△)
산외면 구티리 구티 고개에서 한남금북정맥을 따라 북서쪽으로 오르다가 갈림길에서 오른쪽 능선길로 가면 됨(C). 역시 한남금북정맥이 지나는 거북치에서 올라도 됨(C). 거북치를 넘어 질골방죽에 이른 뒤 동쪽으로 보이는 지능선으로 오르면 흐릿한 길이 정상의 산불감시초소로 이어짐(D).
•피난봉(393.6m), 정상 조망(×)
수한면 장선리 궁터골 마을에서 오를 수 있으나 길 흔적은 거의 잡목과 가시덤불에 묻혔음(E).
•형제봉(832m), 정상 조망(○)
내속리면 만수리 만수동에서 동쪽 골짜기로 들면 뚜렷한 길이 한남금북정맥 능선으로 나 있음(B). 상주시 화북면과 하남면의 경계인 갈령에서 뚜렷한 길이 나 있음(B). 정상에서 남쪽으로 약간 내려섰다가 오른편(북서쪽)으로 만수동으로 내려서는 하산로가 나 있음(C). 상주시 화남면 동관음 절골에서 북쪽 골짜기로 들면 암자에서 흐릿한 길이 정상까지 이어짐(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