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訶子(肉)가자육
1) 열매. 씨는 빼고 肉육만 用 (말려서 깨어)
2) 印度인도 등 남양지방, 싼 값, 떫다. 澁劑(收斂)삽제(수렴)
3) 苦酸고산, 溫온, 收斂수렴
4) 작용
1. 收斂劑수렴제 ~ 治 泄瀉설사 痢疾이질
加 烏梅오매 益效익효 ~ 眞人養臟湯진인양장탕p220(앵속 대신 씀)
2. 下氣劑하기제 ~ 아랫배가 無力後重무력후중, 잘 통하지 않는 것
加 陳皮진피=오래될수록 好, 厚朴후박=가스 배출
3. 補肺(肺弱)보폐(폐약) ~ 慢性咳嗽病만성해수병에 用
(드물다) °氣亂기란하여 短氣단기현상, 肺結核폐결핵, 노체말기=숨차고 피곤(폐결핵 말기)
°沙蔘사삼 或혹 人蔘인삼을 倂用병용
2. 葛根갈근
1) O, 전분(밀가루와 異이)이 多
2) 辛甘신감, 升發승발, 輕경 *辛=발산
3) 작용 *술 먹고 두통시 갈화의 효능이 더 좋음.
1. 解熱發汗劑해열발한제 ~ 肌熱기열=근육열 + <*麻黃마황, 桂枝계지 ~ 表熱표열>
2. 生津劑생진제 ~ 止渴지갈, 당뇨병(止消지소)
泄瀉설사多時다시 止瀉劑지사제 ~ 錢氏異功散전씨이공산p139, 錢氏白朮散 전씨백출산p246
3. 解酒毒해주독 ~ 葛粉갈분을 먹어도 좋다.
~ 貸金飮子 대금음자p148 + 葛根갈근 2~ 3 錢돈
陳皮진피, 厚朴후박, 蒼朮창출, 甘草감초 (食傷식상)
葛花解醒湯갈화해성탕
* 근육을 풀어주고 땀을 적절히 배출해 줌
*당뇨병 善渴선갈 ~ 上消상소 갈증에 好
善飢선기 ~ 中消중소 기갈에 好
善尿선뇨 ~ 下消하소 소변에 好
3. 甘草감초 (=國老국노)
1) 中國, 광동=原辛生(元甘)원신생(원감), 우리나라(土甘토감), 미국, 유럽(美甘미감) ~ 각각 성질이 異
2) 生甘草생감초 ~ 凉량한 氣가 있다
炙甘草적감초 ~ 溫온한 氣로 變化변화 (꿀을 살짝 발라 굽는다.)
3) 緩和완화
4) 작용
1. 補益緩和劑보익완화제 ~ 糖分補充당분보충 (대개 포도당), 극도 피로
예민증(예민 독성 강한 것을 用할 時는 補助劑보조제로 첨가)
단 肥濕비습한 사람은 去거 (用용 燥濕劑조습제)
=陰痰음담
2. 解毒劑해독제 ex) 甘豆湯(黑豆)감두탕p263(흑두) *녹차 ~ 약효를 없앤다.
3. 祛痰劑거담제 ~ 燥痰조담 (감기 등으로 가래 生時생시)
(溫痰온담에는 X)
cf. 濕습>水수>飮음>痰담
4. 羌活(實證)강활(실증) 證=증후
1) O, 元羌活원강활은 形態不明형태불명
2) 우리나라 것은 當歸당귀와 비슷, 냄새 異이
cf. 當歸당귀 ~ 달콤, 無色무색(자른 머리쪽)-생약시
羌活강활 ~ 톡 쏘는, 紫色자색-생약시→ 건재(고동색)
3) 辛苦신고, 散溫산온 *辛=發散
4) 작용
1. 鎭痛劑진통제 ~ 血液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통증 溫散온산
鎭痛發表劑진통발표제로 多用다용 (감기로 쑤시고 痛통)
加가 蘇葉소엽, 麻黃마황(에페드린성분.진토작용)
ex) 九味羌活湯구미강활탕p133 ~ 痛症통증을 심하게 수반하는 感冒감모
大羌活湯대강활탕p125 ~ 內傷性내상성 관절 등이 저려서 쑤시는 것(노화, 내상,..)
* 外感性외감성 頭痛두통(냉방병,..), 관절통, 內鬱痛내울통 ~ 濕除去습제거
2. 鎭痙劑진경제 ~ 경련, 쥐가 일어날 때
* 단 1. 2.에서 虛症허증으로 오는 症狀증상은 不用불용
ex) 人蔘敗毒散인삼패독산p145, 羌活星宿湯강활성수탕, 羌活愈風湯강활유풍탕p122 獨活寄生湯독활기생탕p217(桑寄生상기생 대신 羌活강활)
첫댓글 *^^*~加油(지아요! 힘내!).....!!!! 謝謝 大哥(씨에쉐 따거 감사합니다.큰형님)ㅎㅎㅎ~
그렇군 장 따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