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의에 보면은요 지배엘리트와 이해관계와 일치하는 사회문제만 정책의제화된다라고 나와 있거든요
그런데 기출문제에 보면은요 정책 결정자의 이익과 합치될 때 발생한다가 틀렸다고 나오거든요
일치하고 합치하고 같은 말 아닌가요?=.=;;;;
그리고 발생 원인에는요 관료의 이익과 상충될 때 나타난다라고 나오는데요 상충이란게 서로 맞지 않고 맞물리다 어긋나다라고 나오거든요 그러면 일치하고 상충하고 다른 말 아닌가요?
ㅜ.ㅜ.;;;;;
일치 합치 상충이 다른 뜻이면서요 제 눈에는 이 단어를 넣으면은 다 맞는 말 같은데요 일단은 책에서 보면은요 일치 상충은 맞는 말이고 합치는 틀린말 같거든요
발생원인은 상충 할 때 발생하고 그결과 일치하는것만 무의사 결정을 하게 된다 뭐 이렇게 이해 해야 하나요? 국어를 못하는것 같네요..ㅜ..ㅜ;;;; 고수님들 또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지배엘리트와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사회문제만 정책의제화 되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지만 무의사 결정 자체는 정책결정자의 이익과 상충될때 그 문제나 의제가 선택되지 않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어서 그런 것 아닐까요.
문제 이해를 잘못하신것 같은데요...이해관계가 일치(합치)하는 문제는 정책의제화되고, 상충될때에 정책의제화를 의도적으로 방해하는 무의사결정이 발생합니다.위에 나온 말은 다 맞는 말이네요. 그러니까 기출문제에서 합치될 때 (무의사결정이) 발생한다..가 틀린게 맞는거죠.
아 그렇네요 이제야 알겠습니다 정책의제화하고 무의사결정은 다른거죠 두분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