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적은 당신안에 있습니다.
미국 동부 볼티모어에 위치한 세계 최고의 병원, 존스홉킨스 병원 재활의학과 병동에 들어서면 아주 특별한 의사 한 명을 만날 수 있다. 휠체어를 타고 병동을 누비는 한국인 의사 로보트 리(Rogert Lee). Robert 보다 이승복이라는 한국 이름으로 기억되기를바라는 그는 놀랍게도 사지마비 장애인이다. 이승복 씨는 여덟 살 때 미국으로 이민 간 이민 1.5세대다.
낯선 삶속에 하루하루 움츠러들던 힘든 이민생활 속에서 체조는 그의 가슴을 시원하게 뚫어주었다. 고등학교 3학년 시절, 전미 올림픽 최고 상비군으로 인정 받았고, 미시간대, UCLA, 펜실베니아 주립대, 스탠포드대, 웨스트포인트 군사학교 등 많은 대학에서 스카우트 제안을 받는 등 그의 미래는 창창했다. 1983년 7월 4일, 그날 그의 인생은 한순간에 바뀌어버린다. 공중회전을 하다 목을 쭉 늘인 상태로 턱을 땅에 박은 것이다. 미래가 산산조각 나는 순간이었다.
그는 곧 사지마비 라는 청천벽력 간은 선고를 받는다. 그는 의사들의 종결선언보다 다시 체조를 할 수 없다는 사실을, 올림픽 꿈을 포기해야 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는 곧 자신의 분노를 그 앞에 놓인 현실, 재활훈련에 쏟아 내었다. 재활은 빠른 속도로 진전됐고 물리치료를 한 지 4개월이 지나자, 가능한 근육들을 거의 쓸수가 있었다.
어느 날 그는 조무사가 건네준 의학책을 읽고 의학을 공부해보고 싶다는 강한 충동을 느꼈다. 장시간 책상 앞에 앉아 있을 수도 없었고 손으로 글씨조차 쓰기 힘들었지만, 체조에 쏟던 정열을 고스란히 학업으로 돌렸다. 그리고 누구도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콜럼비아 대학 공중 보건학 석사학위, 명문 다트머스 의대를 거쳐 하버드의대 인턴 과정을 수석으로 졸업, 마침내 세계 최고의 병원인 존스홉킨스 병원의 재활의학 수석 전문의가 되었다.
병원에서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그의 모습은 환자들에게 희망의 상징이다. 그에게 '슈퍼맨'이라는 별명이 붙은 것은 그의 소식이 신문과 잡지, 뉴스를 통해 전해지면서부터이다. <뉴욕타임스>는 그와의 인터뷰를 하였고, <볼티모어 선>지와 <미국의 AP통신>은 그의 기사를 대서 특필했으며, 美 방송사 <폭스TV> 뉴스는 그의 이야기와 인터뷰를 내보내면서 이승복은 사람들에게 불꽃같은 희망과 한국인의 긍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전했다.
존스홉킨스 병원의 환자들이 그의 진료를 특별히 요청할 정도로 그의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을 남기고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얼마 전 한국에서도 KBS <인간극장>을 통해 그의 이야기가 방영된 뒤 <인간극장> 시청자 게시판에는 수천 개의 격려와 감사 글들이 쏟아졌고, 각종 유명 포털 싸이트들에 '슈퍼맨 닥터 리'라는 이름의 팬 카페들이 형성되는가 하면, 수많은 블로그에서는 그의 감동어린 이야기를 서로 전하며 함께 나눴다.
그에게는 치열한 삶의 모습에 감동했다는 수 백통의 메일이 쏟아졌다. 이제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가 아닌 휠체어를 타고 있지만, 그의모습은 사람들에게 신뢰와 웃음, 삶의 희망과 용기 그 이상을 불어넣어 준다. 환자들에게는 주치의이자 고통을 이겨내는 디딤돌이, 절망에 빠진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도전과 희망의 증거가 되고 있다.
책을 읽은 지는 오랜 시간이 지나서 나의 소감을 쓰려고 했는데 나의 소감보다는 책을 소개하는 앞 표지내용이 나를 대신해 주는듯 하여 그대로 옮겨 봤다. <인간 극장>을 방영할 시간에 학교를 가야해서 다 보지는 못했지만 그의 책은 다 읽었다. 그가 쓴 본문 내용중에 여동생 양금이가 여자친구 두 명과 함께 나란히 서서 춤을 추며 주인공에게 글로리아 게이노의<I Will Survive)를 불러주었는데 주인공은 그 모습을 보고 배꼽을 잡고 웃었다고 한다. 표정들이 모두 너무나 진지해서였다고...... 하지만 그 노래 가사 중 일부는 두고두고 생각을 한다고 해서 나도 한번 적어 본다.
무너지지 않기 위해 안간힘을 썼지 부서진 마음의 조각들을 붙이느라 정말 힘들었어 나 자신을 불쌍해 하며 많은 밤을 보냈어 나는 울곤 했지 하지만 이제는 나는 고개를 높이 들고 있어 보여? 나는 이제 새로운 사람이야 난 이겨낼거야 난 이겨낼거야
힘든 시기를 끈기와 인내로 이겨낸 그에게 박수를 보낸다. 나도 내가 하는 일들이 잘 되기를 바라며 이 책에 대한 한줄의 소감을 적어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