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 폐나 위의 출혈로 피를 토할 때 ≫
옛날 중국의 한 장수가 벼슬을 버리고 시골에서 지내고 있었다. 그런데 황제가 명령을 내려 그를 황제의 근위대장으로 임명하고 불러 올렸다. 그는 서울로 올라가는 도중에 서융족 장수 10명을 만나 싸움을 벌여 물리쳤다. 산해관에 거의 다다랐을 때 서융족 장수 10명이 그를 포위했다.
“네 이놈, 우리 형제들을 죽이고 살아서 돌아갈 줄 알았더냐!”
“썩 비켜라. 나는 황제의 부름을 받고 가는 몸이다.”
장군은 장수 10명과 싸움을 벌였다.
그러나 먼길을 오느라 지친 데다가 앞서 서융족 장수 10명과 싸웠던지라 힘이 빠져 있어 그들을 물리칠 수가 없었다.
간신히 빠져 나오긴 했으나 몸의 네 군데에 칼을 맞았고 가슴에 활을 맞았다. 그러나 의연하게 말을 달려 황제 앞에 당도했다.
황제는 감동하여 즉시 태의를 불러 치료하게 했다.
태의가 즉시 응급처치를 하여 피는 멈추고 잘린 근육과 뼈는 다시 이어졌지만
화살이 폐를 뚫어 숨이 가쁘고 피를 토하는 등 목숨이 위급한 지경에 이르렀다.
황제는 전국에 명의를 초빙한다는 명령을 내렸다.
그날 한 늙은 농부가 약초 몇 뿌리를 가지고 왔는데 잎은 종려 잎을 닮았고 뿌리는 마름을 닮았다.
농부는 황제에게 약초를 바치며 말했다.
“이 약초를 불에 구어 가루를 내어 절반은 물과 함께 먹고, 나머지 반은 상처난 데에 싸매 주면 나을 것입니다.”
과연 그대로 하였더니 장군의 병이 나았다.
황제 늙은 농부를 기특히 여겨 벼슬을 내렸으나 한사코 받으려 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그대는 무엇을 바라는고?”
“소인은 다만 이 약초를 의학책에 실어 세상에 널리 알리는 것이 소원입니다.”
황제는 그 뜻을 장하게 여겨 고개를 끄덕이며 물었다.
“이 약초의 이름은 무엇인고?”
“아직 이름이 없습니다. 폐하께서 이름을 정하여 주시옵소서.”
황제는 잠시 생각하고 나서 물었다.
“그대의 이름이 무엇인고?”
“소인의 이름은 백급(白及)이라고 하옵니다.”
“그렇다면 이 약초의 이름을 백급이라고 하라.”
그 뒤로 이 약초는 백급으로 부르게 되었다.
백급은 난초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자란이라고 부른다.
5∼6월에 빨갛게 피는 꽃이 아름다워 정원에 더러 심는다. 우리나라의 제주도 남부지방,
섬지방의 바닷가 돌 많은 흙에 드물게 자라며 온실에서 가꾸기도 한다.
키는 50센티미터쯤 자라고 잎은 넓은 칼 모양이며 세로 줄이 빽빽하게 나 있다.
뿌리는 둥글고 흰 구경으로 지름이 3∼4센티미터쯤된다.
뿌리에 점액질이 많아 접착제를 만드는 원료로 쓰기도 하고 구황식품으로도 먹는다.
백급은 폐를 튼튼하게 하고 출혈을 멈추게 하며 부은 것을 내리고 새살이 잘 나오게 하는 약으로 쓴다.
폐나 위의 출혈로 피를 토할 때나 위 및 십이지장궤양, 갖가지 종기, 종양에
백급 뿌리를 캐서 말린 것 3∼9그램을 달여 먹는다.
피를 토할 때는 백급 뿌리 4그램, 띠꽃 8그램에 물 200밀리리터를 붓고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마신다.
백급의 약리 효과에 대해 <동의학사전>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가을에 덩이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증기에 쪄서 말린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서늘하다.
폐경에 작용한다. 폐를 보하고 피나는 것을 멈추며 부은 것을 내리고 새살이 잘 돋아나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지혈작용,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치료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폐가 허하여 기침하는 데,
각혈, 코피, 외상으로 인한 출혈, 옹종, 창양, 덴 데, 손발이 튼 데 등에 쓴다.
하루 3~9그램을 달인 약, 알약, 가루약 형태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서 뿌리거나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백급을 약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 결핵으로 피를 토할 때 백급 뿌리를 말려 가루 내어 한번에 3~5그램씩 하루 두 번 따뜻한 물로 먹는다.
3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다. 갑작스런 각혈에는 7~10그램을 달여서 단번에 마신다.
■ 칼이나 낫에 다친 상처, 화상 백급 뿌리를 가루 내어 뿌리면 흉터가 남지 않고 잘 낫는다.
■ 기침, 코피 백급 뿌리를 가루 내어 한번에 3~5그램씩 먹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