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3상일때 델타 결선으로 리액터를 연결하는 이유와
어떤 원리로 5고조파가 제거 되는지 궁금합니다.
첫댓글 회로상에서 WL = 1 / WC 일때 그 주파수 성분은 제거가 됩니다.5고조파이므로 5WL = 1/5WC --------->WL = 0.04 / WC 직렬리액터의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4% 정도를 선정하지만실제설치는 여유율를 줘서 6%를 설치합니다.전력용콘덴서와 직렬리액터, 방전코일은 보통 한세트로 제작됩니다*3상일때 델타결선이란 말이 헷갈리네요....직렬리액터는 말 그대로 각 상과 직렬로 접속합니다혹시 전력용콘덴서 델타결선을 말하시는건지.....전력용콘덴서는 와이결선시보다 델타결선시 용량이 3배 커져서효율적이라 델티결선으로 합니다만....
커패시터 회로 투입에 의해 고조파가 전원 측 리액턴스 이외에 커패시터 리액턴스의 L-C 공진에 의해 확대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로를 유도성으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커패시터에 직렬 리액터를 삽입합니다.제5고조파에 대하여 공진하는 L, C 값 5ωL = 1/5ωC 이므로5ωL > 1/5ωC 의 식으로 콘덴서 용량에서 몇 %로 직렬 리액터 용량을 선정합니다.
첫댓글 회로상에서 WL = 1 / WC 일때 그 주파수 성분은 제거가 됩니다.
5고조파이므로 5WL = 1/5WC --------->WL = 0.04 / WC
직렬리액터의 용량은 콘덴서 용량의 4% 정도를 선정하지만
실제설치는 여유율를 줘서 6%를 설치합니다.
전력용콘덴서와 직렬리액터, 방전코일은 보통 한세트로 제작됩니다
*3상일때 델타결선이란 말이 헷갈리네요....
직렬리액터는 말 그대로 각 상과 직렬로 접속합니다
혹시 전력용콘덴서 델타결선을 말하시는건지.....
전력용콘덴서는 와이결선시보다 델타결선시 용량이 3배 커져서
효율적이라 델티결선으로 합니다만....
커패시터 회로 투입에 의해 고조파가 전원 측 리액턴스 이외에 커패시터 리액턴스의 L-C 공진에 의해 확대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로를 유도성으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커패시터에 직렬 리액터를 삽입합니다.
제5고조파에 대하여 공진하는 L, C 값 5ωL = 1/5ωC 이므로
5ωL > 1/5ωC 의 식으로 콘덴서 용량에서 몇 %로 직렬 리액터 용량을 선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