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수산시장, 디에프 회색 날씨, 아침, 1902년, 댈러스 아트 뮤지엄 소장.
|배뇨 장애 고통 속에서도… 72세 화가의 그림엔 활기 넘치네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는 19세기 말 프랑스 화가로, 인상주의 창시자로 불린다. 폴 세잔과 고갱은 피사로를 스승이라고 불렀다. 그는 말년에 눈물관의 염증 누낭염으로 흐르는 눈물을 주체하지 못해 밖으로 나가지 못했다. 그럼에도 실내 창문을 통해 본 야외 풍경 그림은 온기가 넘쳤고, 따스함이 충만했다.
피사로가 세상 뜨기 1년 전에 그린 <수산 시장, 디에프: 회색 날씨, 아침>은 제목대로 프랑스 항구 도시의 수산시장 아침을 묘사하고 있다. 특징적인 짧은 붓 놀림과 밝은 색채가 눈에 띈다. 옅은 회색 하늘과 푸른 바다는 절묘하게 어울린다. 사람들은 마치 수산시장에 올라온 생선처럼 오밀조밀하다.
피사로가 이 그림을 그릴 때는 72세로, 배뇨 장애로 고생했다. 그러다가 방광폐색으로 삶을 마감했다. 당대의 진단명 방광폐색은 요즘으로 치면 전립선 비대증이 심해져 생기는 요로 폐색을 말한다. 당시에는 소변이 갑자기 안 나오는 원인을 알지 못했다. 요도 안으로 도뇨관을 밀어 넣어서 소변을 밖으로 배출시켰다고 한다.
전립선은 방광 바로 밑에 위치하며 방광에서 나오는 요도를 감싼다. 전립선이 빵빵해지면 방광 하부에서 요로를 폐색시킨다. 이럴 때는 방광이 터질듯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바로 응급실로 가야 한다.
이승욱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항문 통해 손가락을 넣어 전립선을 만져보는 경직장수지검사 또는 경직장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어느 정도 전립선이 비대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다”며 “소변 나오는 속도를 재는 요속 검사, 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실제로 요로 폐색이 어느 정도 생길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요로가 폐색될 정도의 중증도의 배뇨증상 유병률은 80대에는 약 50%까지 상승한다. 이승욱 교수는 “초기 전립선 비대증을 적절히 치료한다면 중증 전립선 비대증 증상인 급성 요폐에 이르지 않게 할 수 있다”며 “배뇨 불편감이 있는 경우 초기에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 방광이 폐색될 일은 없다.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는 19세기 프랑스의 인상주의 화가로 주요 작품은 <테아트르 프랑세즈의 광장>과 <브뤼주의 다리>. 부유한 유대인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풍경화가인 카미유 코로를 스승으로 생각했고, 장 프랑수아 밀레와 귀스타브 쿠르베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는 오랫동안 재정적으로 어려웠으면서도 인상주의의 목표에 대한 신념을 잃지 않았으며, 심한 눈병에도 불구하고 후기에 가장 많은 작품을 만들어냈다. 후기에 풍경이나 시골 풍경을 소재로, 조르주 쇠라의 신인상주의 이론을 받아들여 한때 점묘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그는 젊은 인상파 화가들에게는 아버지와 같은 존재였다.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테아트르 프랑세즈의 광장’,
1897년. 72.4×92.6㎝,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 돼지고기 정육점',1883년.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밤의 몽마르트르 거리', 1897년 작품,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솥을 씻고 있는 여인',1879년.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시장'.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개울에서 발을 씻는 여인', 1894년.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양을 데려오는 목자', 1886년.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디에프의 장이 선 일요일 오후', 1901년.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루브시엥의 역마차'.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오스니의 들판과 방앗간', 1884년.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겨울 아침의 몽마르트르 거리', 1897년.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파리 몽마르트르 대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예르미타시박물관.
카미유 피사로(Camille Pissarro, 1830-1903), ‘농장의 아이들', 1887년.
[출처 및 참고문헌: 조선일보 2024년 1월 4일(목) 김철중 의학전문 기자, Daum·Naver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 ∙ 고앵자,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