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用神)의 변화(變化)에 대한 이해
(1) 변격(變格)이론은 고전(古典)에서도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此格當推提綱若月令合財官印綬或合他格或從化類當以他格斷不可拘以陽刃[삼명통회] |
이러한 격들은 응당 제강 월령을 보아야 한다. 만약 월령이 재(財), 관(官), 인수(印綬)와 합하거나 혹 다른 격과 합하거나 혹 종화(從化)하거나 하면 이것은 다른 격으로 분류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양인(陽刃)으로 집착하여 보면 안 된다.
(2) 자평진전의 목차에서 용신변화를 기재하고 있다
어느 학인은 화상위재(化傷爲財)에서 화(化)를 단순히 변한다고 말했던 것이지 이것을 변격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반박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자평진전 목차에서 보면 분명하게 “논용신변화”를 언급한다는 점에서 변격의 여부는 부정하기 어려운 증거기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화상위재(化傷爲財)에서 말했던 화(化)는 변격의 일환으로 용신변화로 이해함이 마땅한 것입니다.
(3) 자평진전에는 용신 변화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을 하고 있다
是故八字非用神不立用神非變化不靈善觀命者必於此細詳之 |
그러므로 팔자는 용신 없이 존재할 수 없고 용신은 변화 없이는 해석할 수 없으니 사주를 보려는 자는 반드시 이러한 변화를 세밀히 살펴야 한다.
(4) 심효첨이 책을 읽기전에 첨부하여 특별히 당부하다
至若地支刑沖會合可解已見前篇不必再述而以後諸格亦不談及矣 |
자평진전은 앞부분에서 형충회합의 해소법 및 논변격, 상신법 등을 구체적인 사례들을 들어 자세히 설명합니다. 그러나 격국편의 실전에서는 거의 언급을 안한다고 합니다. 그러한 이유를 심효첨은 미리 알려줬는데 “지지에서 형충이 있어서 파격이 된 경우에 회합(會合)이 있어서 해소(解消)하는 것은 이미 앞에서 서술하였으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겠다. 여타의 격국에서도 마찬가지로 회합과 형충에 대한 설명은 알체 생략할 것이다.”
이러한 언급은 심효첨의 앞장에서 자세히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는 실전에서는 반복 설명하지 않겠다는 의지입니다. 즉 상신(相神)을 드러내지도 않았고 형충(刑沖)회지(會支)로 격국을 이루는 과정도 생략하고 바로 용신으로 들어가겠다는 입장입니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 뜻을 빨리 이해하고 따라오지 않는다면 자평진전이 난해하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그래서 격국편도 읽기 전에 반드시 이해를 해야 할 대목이 많습니다. 즉 격국편에서는 일단 월령에서 용신을 찾았지만 변격을 소개한 구절이 많이 등장한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변격된 장에서 용신을 소개한 것이 아니라 전구월령용신법에 의거해 월지 용신을 그대로 소개한 뒤에 변격을 구체적으로 지적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서락오도 말하길 이 명조는 정관격에서 소개해야 하는데 인수격에서 소개하고 있다는 말을 적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식을 모르는 사람들이 자평진전의 격국편에서는 월지를 그대로 수용(受容)하여 용신을 소개하였으니 따라서 변격을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을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변격에 해당하는 용어를 많이 언급하고 있습니다. 곧 투병화관(透丙化官)으로 정관격이 되었다, 혹은 화생위재(化生爲財)로 재성이 되었다. 또는 화겁위생(化劫爲生)으로 귀하다라는 글귀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것들이 모두 변격을 언급하는 내용인 것입니다. 이처럼 화(化)하여 변격(變格)이 되는 구절들이 각 격국편에 2개에서 3개 이상이 꾸준히 발견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격국편에서는 변격을 말하지 않았다고 하는 분들은 원문을 읽어야 거기서 변격이라는 용어를 발견하고 뜻을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5) 변격 용어들
자평진전에는 변격의 뜻으로 활용이 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화위인(則化爲印), 즉화위재(則化爲財), 봉병이화재위관(逢丙而化財爲官), 상화위재(傷化爲財), 겁화위식(劫化爲食), 투무즉위식상생재(透戊則爲食傷生財), 즉화위살(則化爲殺), 투병화관(透丙化官), 투임화인(透壬化印) 등이 보여집니다. 예를 들어 화상위재(化傷爲財)라 함은 “상관이 변화하여 재성이 됨”을 구체적으로 서술을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변격(變格)에 대해 이해도가 높지 않은 번역가들이 “상(傷)이 재(財)로 화(化)했다”고만 간단히 서술을 하는 바람에 일반인들은 좀처럼 그 뜻의 깊이를 제대로 인식하기가 어려웠던 것입니다.
(6) 용신의 변화를 설명하고 있는 구결
己生申月本屬傷官藏庚透壬則化爲財凡此之類皆用神之變化也 |
기토(己土) 일간이 신월(申月)에 생하면 본래 상관격인데 신(申)의 지장간 무(戊), 임(壬), 경(庚) 가운데 본기(本氣)인 경금(庚金)은 투출하지 않고 임수(壬水)가 투출했다면 상관격이 정재격으로 변화한다. 이처럼 지지의 회합과 지장간의 투출에 의해서 사주의 구조가 변하니 이와 같은 종류가 바로 용신의 변화이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 일간 |
| 정재 | 六 神 |
| 己 |
| 壬 | 天 干 |
|
| 申 |
| 地 支 |
|
| 상관 |
| 六 神 |
【사례】이 사주는 월지가 신금(申金)으로 상관격(傷官格)을 구성했으나 신(申)중의 임수(壬水)가 천간에 투출하였으니 상관격(傷官格)이 임수(壬水) 정재격(正財格)으로 변화한다
정화(丁火) 일간이 해월(亥月)에 출생했다면 본래는 정관격(正官格)이다. 그런데 지지에 묘미(卯未)가 있으면 화관위인(化官爲印)이 되는데 곧 정관(正官)이 변화하여 인수(印綬)가 되는 것이다.
【사례】이 사주는 정화(丁火) 일간(日干)이 해월(亥月)에 태었났으므로 정관격을 구성한다. 그런데 묘목(卯木)이 붙어 있어 묘미합(卯未合)이 이루어진다고 하면 정관이 변해서 인수가 되었다고 말한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 일간 |
|
| 六 神 |
| 丁 |
|
| 天 干 |
|
| 亥 | 卯 | 地 支 |
|
| 정관 | 인수 | 六 神 |
상관(傷官)이 변해서 재성(財星)이 된 것이므로 곧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되었다. 그러므로 상관(傷官)이 더 이상 상관(傷官)이 아닌 것이다.
(7) 상관격에 소개가 된 화상위재(化傷爲財)의 명조
然亦有非金水而見官何也化傷爲財傷非其傷作財旺生官而不作傷官見官如甲子壬申己亥辛未章丞相命也 |
금수상관격이 아니면서도 정관을 보아도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어떤 경우인가? 장승상(章丞相)의 명조는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되어 신금 (申金) 상관(傷官)이 변화하여 수국(水局)의 재(財)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재왕생관(財旺生官)이 된 것이지 상관견관이 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사례】장승상(章丞相) 명조는 기토(己土)일간이 신월(申月)에 출생한 것이므로 본래 상관격(傷官格)에 해당이 된다. 그런데 년간에 갑목(甲木) 정관을 본 것이므로 상관견관(傷官見官)의 흉(凶)이 있을 수가 있었다. 그런데 신자(申子)가 합수(合水)하므로 화상위재(化傷爲財)가 된 것이니 곧 상관(傷官)이 재성(財星)으로 변화를 한 것이다. 이것은 상관이 사라지고 재성으로 변한 것이니 재왕생관(財旺生官)이라 말해야 한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식신 | 일간 | 정재 | 정관 | 六 神 |
辛 | 己 | 壬 | 甲 | 天 干 |
未 | 亥 | 申 | 子 | 地 支 |
비견 | 정재 | 상관 | 편재 | 六 神 |
(8) 식신격편에 등장하는 장식노상(藏食露傷)의 명조
藏食露傷主人性剛如丁亥癸卯癸卯甲寅沈路分命是也[식신격] 甲 癸 癸 丁 寅 卯 卯 亥
|
식신(食神)이 지지에 감추어져 있고 상관(傷官)이 투출 해 있는 사람은 그 성격이 매우 강하다. 예를 들면, 장식노상(藏食露傷)의 경우는 주인의 성격이 강하다 심로분(沈路分)의 명조가 이에 해당한다.
【사례】이 명조는 계수(癸水)일간이 월지가 묘목(卯木)이니 식신격(食神格)편에 소개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천간에 갑목이 투출해 있습니다. 이것을 심효첨은 장식노상(藏食露傷)이라 소개하고 있습니다. 장식노상(藏食露傷)이란 식신은 암장(暗藏)이 되었고 상관(傷官)이 노출(露出)이 된 것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월지의 묘목(卯木)을 용신으로 본 것이 아니라 천간의 갑목(甲木)을 용신(用神)으로 본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묘(卯)중에 을목(乙木)은 지장간이니 숨어 있는 식신이라 정(靜)하다라고 본 것입니다. 동정론(動靜論)의 입장에서는 묘(卯)중 을목(乙木)은 정(靜)이라 용신이 될 수 없고 때를 기다리는데 갑목(甲木)이 투출하였므로 갑목이 동(動)하니 갑목을 용신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곧 장식노상(藏食露傷)은 변격(變格)을 말했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묘(卯)중에서 투갑화상(透甲化傷)이라 할 수 있는데 곧 식신이 상관격으로 투출하여 변한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비록 월지가 묘목(卯木)이니 식신격에 해당하므로 식신격에서 소개는 하였지만 그 뜻의 정의는 상관격으로 파악한 것입니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상관 | 일간 | 비견 | 편재 | 六 神 |
甲 | 癸 | 癸 | 丁 | 天 干 |
寅 | 卯 | 卯 | 亥 | 地 支 |
상관 | 식신 | 식신 | 겁재 | 六 神 |
(9) 변격(變格)도 본래의 본격(本格)을 잃지 않으면 겸격(兼格)이 된다
又有變之而不失本格者如辛生寅月透丙化官而又透甲格成正財正官乃其兼格也
|
변화해도 본래의 격국을 잃지 않는 것이 있다. 예컨대 신금(辛金)이 인월(寅月)에 생하고 병화(丙火)의 정관이 투출하면서 동시에 갑목(甲木)도 투출했다면 격국은 여전히 정재격(正財格)이면서 정관격(正官格)을 겸격으로 한다.
【사례】신금(辛金)일간이 인월(寅月)이면 정재격(正財格)인데 갑목(甲木)과 병화(丙火)가 동시에 투출하였다, 그러므로 정재격(正財格)과 정관격(正官格)을 겸격(兼格)으로 하였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 일간 | 정관 | 정재 | 六 神 |
| 辛 | 丙 | 甲 | 天 干 |
|
| 寅 |
| 地 支 |
|
| 정재 |
| 六 神 |
(10) 실전 사주 통변에서 변격으로 직업을 찾는데 활용한다
【사례】이 사주는 월지에 신금 편재가 놓였으므로 재격에 해당한다. 그런데 천간에 신중의 임수 편관이 투출하였다. 그렇다면 이 사람은 신금(申金)의 재성을 썼는가 아니면 임수(壬水)의 칠살을 썼는가? 만약 재격(財格)을 쓰면 명예(名譽), 번영(繁榮), 자산(資産) 또는 신용(信用)을 의미하고 복록(福祿)과 길상(吉祥)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원리원칙이 강하여 보수적 성향이 있는데 관성이 있으면 대기업(大企業), 공무원(公務員), 은행권(銀行券), 금융권(金融權), 국가기관(國家機關) 종사자가 많다. 그러나 만약에 투간한 임수 칠살을 쓴다고 하면 직업의 적성은 무관(武官), 특수직(特殊職), 검찰(檢察), 군인(軍人), 경찰(警察), 법관(法官), 수사관(搜査官), 감사관(監査官), 세관원(稅關員), 교도관(矯導官)가 적합하다. 그런데 이 사람은 현역 육군대위이다. 따라서 신(申)중의 임수(壬水) 투간을 변격으로 하여 칠살(七殺)을 용신(用神)으로 사용 하였음을 알 수가 있다.
時 | 日 | 月 | 年 | 건 명 |
편관 | 일간 | 비견 | 비견 | 六 神 |
壬 | 丙 | 丙 | 丙 | 天 干 |
辰 | 申 | 申 | 寅 | 地 支 |
식신 | 편재 | 편재 | 편인 | 六 神 |
【사례】이 사람은 월지의 신금(申金) 칠살을 썼는가 아니면 병화(丙火) 식신(食神)을 썼는가? 칠살(七殺)을 쓰게 되면 무관(武官), 특수직(特殊職) ,검찰(檢察) ,군인(軍人). 경찰(警察), 법관(法官), 수사관(搜査官), 감사관(監査官), 세관원, 교도관 근무가 적합하다. 그런데 만약 식신을 쓴다면 적합한 업종으로는 문학(問學), 교육(敎育), 예술(藝術), 서비스 판매(販賣), 홍보(弘報), 제조(製造), 식품(食品) 등이 나올 수가 있다. 그런데 이 사람은 교사(敎師)이다. 즉 신금(申金)중에 투출한 글자가 없었는데 병병(丙丙)이 복음홍광(伏吟弘光)이고 인오술(寅午戌)삼합(三合)으로 화세(火勢)가 무척 강하였으니 인신충거(寅申沖去)가 된 칠살(七殺)을 버리고 식신(食神)을 얻었다
時 | 日 | 月 | 年 | 곤 명 |
비견 | 일간 | 식신 | 식신 | 六 神 |
甲 | 甲 | 丙 | 丙 | 天 干 |
戌 | 寅 | 申 | 午 | 地 支 |
편재 | 비견 | 편관 | 상관 | 六 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