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모든 환우님들의 건강을 기도드리며..글올립니다..
저희 엄마께서는 모태간염으로 B형간염에서 만성간염 간경화로 오래도록 1~3달 간격으로 병원에 추적,관리하시며
약을 복용해왔습니다..
(약은 아침식전 바라크루드정1mg , 아침식후 5mg 트리테이스정 , 아침저녁식후 디세텔과 테프라정40mg 를 오래 복용)
초음파를 주기적으로 6개월간격으로 해왔었는데 요번 초음파결과에서 간암초기진단을 받으셨습니다.
의사선생님 말씀으로는 너무 재수가좋다시며 모든 검사들이 정상수치고 초기라고..수술하기 최고좋은 조건이라하십니다.
간안에 암이 있는게 아니고 간밖에 암3cm정도가 달려있다고 .. 그부분만 절제하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엄마께서는 주위에서 칼로 절제수술을 하면 암이 싹퍼진다는말을 들으셨는지 절대수술을 하지않으시고 색전술치료를 원하십니다.
저도 제 동생,오빠,모두 모태간염으로 항상 간에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살고있습니다.
이런일이 나중에 저희의 숙제이기도 하구요..
의학적으로 전문지식이 없어서 이렇게 환우님들에게 질문드립니다..
이식이 암의 뿌리를 모두 제거하는거라 최상의 방법이라고하나..비용도 물론이거니와
저희가 모두 b형간염보균자라 기증자도 찾기힘들어 이식은 배제를 하고 여쭙니다..
이상태에서 절제술이 맞는것인지 색전술이 맞는것인지 너무 혼란스럽습니다.. 부디 환우님들 답변 꼭 좀 부탁드립니다.
첫댓글 - 간이식 빼고는 절제술이 제일 좋은 것으로 알려저 있습니다.
- 절제술이 불가할 경우(간경화가 심한 경우등) 다음으로 색전술, 고주파시술, 에타놀주입술등 치료법을 시행 한다고 들었어요
간절제술은 간경변증이 없는 절제 가능한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1차치료법이며, 간경변증이 있는 경우에도 잔존 간기능이 충분하다고 예상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수술 전 검사 및 수술 술기의 발전, 수술 후 환자 관리의 향상으로 국내 전문기관의 간절제술 사망률은 1~3% 이하로 감소하였고 5년 생존율은 50% 이상으로 높아졌다. 간암에서 근치적치료는 간절제술, 간이식, 고주파열치료술, 알코올주입술이며, 비근치적치료는 간동맥화학색전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등 입니다. 의사를 신뢰하세요.
간절제 빨리 하세요..... 간이식 다음으로 가장 좋은 치료고요.... 또 간도 비교적 건강 하셔야 가능 하고요....
간절제 후에 남아 있는 간에 암이 재발시에는 간 이식도 가능은 합니다.
일단 종양의 위치가 간절제술을 시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만도 다행입니다. 우선 수술을 하시되 이식술도 염두에 두시고 뇌사자 장기등록도 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색전술은 간 기능의 급격한 저하를 초래 할수도 있습니다. 최고의 치료법이 절제술이고 버금 가는 효과를 내고 있는것이 고주파로 알고 있습니다. 절제술을 할수 있다는것은 간기능이 그만큼 좋으시다는 것으로 행복한 조건에 드시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