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손민수 이야기
그의 첫 골드베르크’는 대학 졸업 연주였습니다
캐나다의 호넨스 국제 콩쿠 우승자로 음반을 낸 2011년에도 손민수는 주저 없이 이 곡을 골랐고, 음반은 그 해 뉴욕타임스의 명반 톱 25에 들었습니다.
2007년 캐나다에서 피아니스트 글렌 굴드의 75주년 기념 음악회,
2012년 뉴욕의 카네기홀에서 골드베르크를 연주했습니다.
한국에 돌아왔던 첫 독주회(2016년), 2022년 명동성당에서도 골드베르크를 연주했습니다
그리고 손민수 피아니스트는 다시 거대한 변주곡을 이달 미국과 캐나다의 연주를 거쳐 13일 서울 예술의전당, 16일 한남동의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 17일 부산, 31일 보스턴까지 한 달 내내 골드베르크를 연주합니다
그에게 골드베르크는
"이 곡을 다 듣고 나면 인간의 수많은 감정이 정화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나의 스승 러셀 셔먼이 해준 ‘죽어있는 영혼과 살아있는 천사들을 위해 노래하라’는 말과
가장 잘 어울리는 작품”
이라고 합니다
왜 수많은 피아니스트가 이 곡을 연주하는가 라는 질문에
“모든 것이 다 들어있기 때문이다. 피아니스트의 꿈이자 건반 악기의 백과사전이다. 바흐의 바로크 시대에서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이 있다. 과거뿐 아니라 미래까지 있다. 10번 변주에서는 모차르트가, 19번에서는 슈베르트가 보인다. 15번은 20세기의 12음계까지 예견하는 듯하다.”
라고 손민수는 이야기합니다
이제 그의 제자 임윤찬도 내년 초부터 골드베르크 변주곡 연주에 들어가는데
4월 뉴욕 카네기홀을 비롯한 공연장에서 10여년 전 손민수가 했던 것처럼 베베른의 변주곡과 함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연주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제 그를 만났습니다
더 할 말을 잃었습니다
손민수님 속에는
사자도, 독수리도, 여우도, 그리고 순한 양도
있었습니다
저는 마지막 한 음의 터치를 이렇게 감동적으로 타건하는 연주자를 본 적이 없습니다
피아니시모의 아주 짧은 라스트 타건이
내내 잊혀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들었던 그 어떤 골드베르크 변주곡과도 다른
손민수 피아니스트의 골드베르크 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아리아 첫음, 두번째음의 음량의 대비로 시작된 첫부분부터 울컥하는 감정이 끓어오르고
그리고 뒷부분으로 갈수록 더 역동적이고 다이내익하면서도 더없이 아름다운, 피아노가 낼 수 있는 극강의 소리를 들으며 행복했습니다
두번째 파트(변주16~30)에 이르러서는
손민수님의 표정에 간간히 떠오른 미소에
저도 함박 미소가 지어지는 걸 느낍니다
손민수님의 손가락에서 나오는 이세상 소리가 아닌 듯 한 소리들 중에 끼어드는 기침소리 다 죽이고 싶었습니다
(거친 표현 죄송, 벋 진심)
손민수님, 그리그 그의 제자 임윤찬군을 품고있는
우리나라가 정말 좋다는 생각마저 듭니다
음악계 노벨상이 있다면
그에게 바치고 싶습니다
100분이 준 음악의 경험이 우리를 달라지게 합니다
진지함, 순정이 실종된 이 시대에
그 가치를 알려주는 것 같은 연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