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ory
프랑스 오베르뉴 지역에 있는 영화 속의 학교는 단 하나의 학급으로 이뤄져 있다. 전교생이라고 해봤자 고작 열세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 이 작은 학교에서 저학년에서 고학년에 이르는 모든 학생들은 한 교실에서 조르주 로페즈 선생님과 함께 공부한다. 영화는 2000년 12월부터 2001년 6월까지 7개월 동안 이 학급에서 일어난 작은 일들을 뒤쫓아가 만들어졌다.
■ Review
우리의 기억 속에는 영화 속에서 교사로 등장해 깊은 인상을 남겨줬던 인물들이 꽤 여럿 있다. 당장 기억 속에서 몇명만을 불러오자면, 자신에게 시비를 걸어오는 문제아 학생들을 진심으로 대하고자 했던 <언제나 마음은 태양>의 풋내기 교사 마크(시드니 포이티어)나 나름의 방식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참다운 인생에 눈뜨도록 도움을 주었던 <죽은 시인의 사회>의 키팅 선생(로빈 윌리엄스) 등이 그런 인물들이다. 이제 <마지막 수업>이란 영화를 보는 사람이라면 여기에 또 한 사람의 기억할 만한 영화 속 교사 한 사람을 더 추가해도 좋을 것 같다. 바로 이 영화 속의 초등학교 교사인 조르주 로페즈를 말이다.
비록 그는 앞에서 언급한 마크나 키팅처럼 연기자가 만들어낸 허구 속의 인물이 아니라 다큐멘터리를 찍는 카메라 앞에 몸을 내맡긴 현실 속의 인물이고 그런 만큼 앞의 인물들처럼 매우 드라마틱한 상황 속에 놓여 있어서 겉으로 보기에도 무언가 영웅적인 행위를 수행해내는 인물은 결코 아니다. 그러나 픽션을 대할 때와 논픽션을 대할 때는 그 태도상의 차이가 분명 존재하는지라 결코 ‘영웅적’이지는 않지만 교사로서의 충분한 자질을 지닌 ‘실존’하는 인물 로페즈 선생을 스크린을 통해 지켜보는 건 특별한 영화적 경험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는 것이다.
영화 속에서 한번 나오는 인터뷰 장면에서 이야기하듯이, 프랑스 오베르뉴 지역의 한 초등학교에 20년째 재직하고 있는 로페즈는 가르친다는 것을 정말로 좋아하고 그것을 자기 삶 자체로 끌어안고 있는 사람인 것처럼 보인다. 이건 무엇보다도 그가 어린 학생들을 지도하는 진실한 태도로부터 자연스레 드러난다. 로페즈는 아이들에게 단지 받아쓰기와 셈하는 법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규칙을 어기는 아이에겐 마땅한 처벌도 내려야 하고 싸운 아이들을 화해시키기도 해야 하며 또 아이들의 사연도 들어줘야 한다.
아이들의 교육에 필요한 이 일들을 해나가는 데 로페즈 선생은 항상 조용하지만 애정이 깃들어 있는 목소리로 아이들을 이끌어간다. 아무래도 그는 자신의 소명이 무엇인지를 잘 알고 있고 또 그것에 충실한 사람임에 분명하다. 그런 그가 이제 그만 교직을 그만둘 때가 되어 방학을 맞아 아이들을 떠나보내며 눈가에 눈물을 보일 때, 보는 이의 가슴에 조용히 스며드는 감정의 파장은 자연스럽다고 표현해도 좋을 반응이 되어버린다.
그러나 아무리 로페즈 선생이 그의 작은 학교를, 그리고 그 학교에 대한 다큐멘터리영화를 ‘조직’해가는 데 비중이 큰 역할을 하는 인물임에는 틀림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그 학교의, 그리고 이 영화의 유일한 ‘주인공’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요컨대 <마지막 수업>은 훌륭한 인물로서 로페즈의 초상을 그리는 영화가 아닌 것이다. 그도 물론 잘 알고 있을 테고, 또 영화를 만든 니콜라 필리베르 감독도 이미 인정했을 것 같은, 새롭지는 않지만 중요한 사실은 교육이란 교사 혼자 이끌어 나가는 것이 아니라 그와 학생들이 함께해 나가는 것이라는 점이다.
<마지막 수업>은 교사와 학생들이 만나 관계를 맺으면서 진행되어가는 교육의 과정을 어떤 거창한 목적을 세우지 않고 다만 꼼꼼히 지켜볼 뿐이다. 그리고서는 놀랍게도 픽션에서는 느낄 수 없는 종류의 은근한 재미와 감동을 기어이 빚어내고야 만다.
그래서 영화는 아이들 역시 카메라의 중심에 놓아야 한다는 점을 잊지 않는다. 이런저런 저마다의 개성들을 가진 영화 속 아이들은 로페즈 선생과의 만남을 통해 이제 막 성장의 ‘에트르’(etre)와 ‘아부아’(avoir), 다시 말하면 앞으로 오랜 시간 이어질 교육과 성장과정의 첫걸음을 내디딘 것이다(영화의 원제는 <에트르 에 아부아>인데 여기서 에트르와 아부아는 활용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두 가지 동사, 즉 영어의 ‘be’와 ‘have’에 해당하는 단어들이다). 내레이션 같은 설명을 위한 전형적인 다큐멘터리 장치를 이용하지 않는 다큐멘터리영화인 <마지막 수업>은 교육 시스템의 문제라든가 제언 같은 이른바 ‘문제’들을 설명하고 논증하려는 영화가 아니다. 영화는 다만 교사와 학생들이 만나 관계를 맺으면서 진행되어가는 교육의 과정을 어떤 거창한 목적을 세우지 않고 다만 꼼꼼히 지켜볼 뿐이다. 그리고서는 놀랍게도 픽션에서는 느낄 수 없는 종류의 은근한 재미와 감동을 기어이 빚어내고야 만다.
적절한 배경과 인물들을 찾아낸 필리베르 감독의 끈기와 상황을 들여다보고 카메라에 담아내는 그의 애정의 시선이 잘 결합되어 만들어진 <마지막 수업>은 다큐멘터리영화는 대중적이지 않다고 하는 속설을 배반하는 영화였다. 영화는 지난해 프랑스에서 무려 170만명에 이르는 관객을 극장에 끌어들여 지금껏 프랑스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다큐멘터리영화의 지위에 올랐다. 한편으로 <마지막 수업>은 칸영화제, 뉴욕영화제 등에서 상영되며 평자들로부터도 치료적 효과를 가진 진정한 인간적인 만남이란 식의 너른 호평을 받았다.
첫댓글 꼭 보고 싶던 영화네. 알트루사에서 함께 보면 더 재미있겠다. 1박2일 자원활동가 캠프때 봐도 좋겠다 싶었어.
와~ 언제해요 캠프.. 영화도 기대되고 신난다.
저 마지막 수업이라는 영화 꼭 보고 싶다. 최근에 합창을 지도하는 선생님이 나오는 오래된 유명한 영화를 보았는데 재미있으면서도 남성적인 시각-자신은 옳지만 결국 타인들이 보기엔 실패한 음악가일 뿐이다라는 장면-이라고 생각되는 결론부때문에 속상해서 추천하지 못한 영화인데, 이 영화도 기대만빵!
코러스였나?
혹시 홀랜드오퍼스는 아니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