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是非終日有(시비종일유)
不聽自然無(불청자연무)
시비가 종일 있어도
듣지 않으면 저절로(자연히)
사라진다. "
📑조선의 열 번째 임금을 지낸
悖倫(패륜)의 군주 연산군은 신하들에게
諫言(간언)을 듣기가 싫었습니다.
그는 口是禍之門 舌是斬身刀
(구시화지문 설시참신도)
"입은 화를 부르는 문이고 혀는 몸을 베는 칼"이라는 뜻의 목패를 만들어 조회에 참석하는 신하들의 목에 걸도록 했다는 일화는 유명합니다.
연산군이 인용한 시는 舌詩(설시)로 전문은
口是禍之門 舌是斬身刀
(구시화지문 설시참신도)
閉口深藏舌 安身處處牢
(폐구심장설 안신처처뢰)
"입은 화를 불러들이는 문이요,
혀는 몸을 베는 칼이니
입을 닫고 혀를 깊숙이 감추면
네 일신이 가는 곳마다
편안 하리로다"라는 뜻입니다.
중국의 당나라 말기부터 전개되던
5대 10국 시절
五朝八姓十一君(오조팔성십일군)
다섯 나라 여덟 성씨를 가진 11명의
임금을 섬기면서 40년 동안을 재상을 지낸
前代未聞(전대미문)의 정치업적을 기록한
풍도 재상은 기회주의 자라는 일부의
평판에도 불구하고 오직 백성을 위하는
마음으로 정사에 임했고 임금을 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해서는 때로 諫言(간언)과
阿諂(아첨)도 필요에 따라 응용했으며
청렴한 태도로 백성을 위해 일했기
때문에 天壽(천수)를 누릴 수 있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중요한 건 풍도 재상이 말을 할 때에는
진실한가?
필요한가?
친절한가? 라는
세 가지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진 뒤
자신이 세운 그 세 가지 기준에 맞춰
자신의 생각을 말했다는 후인의
가늠적 평가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교훈적인 의미로 다가옵니다.
중국의 측천무후라는 여자 황제 때
재상을 지낸 루사덕의 처신도
곱씹을 만한 대목입니다.
하루는 루사덕의 동생이 대주지방
총관으로 임명돼 형인 루사덕에게
부임인사를 위해 들렀습니다.
루사덕은 동생에게 타일렀습니다.
우리 형제는 황제와 나라의 은혜를 입어
부귀영화를 누리고 있는만큼 사심 없이
나라와 백성을 위해 일해야 하고 그 기본으로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형의 의중을 알아챈 루사덕 제상의 동생은,
"형의 뜻을 잘 받들어 소임을 다하기 위해
충성 진력하면서도 누가 내 얼굴에 침을 뱉는
모욕을 주어도 대꾸하지 않고 말없이
침을 닦아내는 인내심으로 응대하겠습니다,
하고 말했습니다.
루사덕은 동생의 그 말을 듣고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누가 너를 미워해 침을 뱉었는데
네가 그 침을 닦아낸다면 그 사람은
더 화가 날 것이다. 당장은 견디기 어려운
侮辱(모욕)이겠지만 상대방이 뱉은 침이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리는 참을 성이
필요한 것이다" 라고 타일렀습니다.
거기에서 "얼굴의 침을 저절로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의
唾面自乾(타면자건) 이라는
사자성어가 생겨났습니다.
말이나 행동이나 참기 어려운 것을
참아내는 인내심을 涵養(함양)하는 것이
세상 살아가는 지혜 공부의 첫걸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람들은 흔히들 주변에 난무하는
세상의 풍문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래서 불필요한 감정적인 대응으로
葛藤(갈등)과 反目(반목)으로 돌이킬
수 없는 길라섬으로 스스로 외로운
처지가 되는 사례도 頻繁(빈번)합니다.
명심보감에 이르기를 시비가 하루 종일
계속 된데도 듣지 않으면 스스로 사라진다는
뜻의
是非終日有(시비종일유)
不聽自然無(불청자연무)는
于先
불필요한 是非(시비)는 삼가는 것이
타인에게 반드시 지켜야 할 예의입니다.
자신이 하는 간섭이 옳은지 그른지
易地思之(역지사지)로
그 입장이 되어 헤아려 보기를 권합니다.
그리고 불가피한 상황이 아니면
불필요한 시비에 맞대응하는
것보다 馬耳東風(마이동풍),
(말 귀에 부는 동쪽 바람) 그냥
스쳐지나는 바람처럼 흘려버리는
대처 방법이 좋을듯 합니다.
더 도움 무궁인
❤ 익자삼우, 빈자삼우 ❤
(益者三友, 貧者三友)
꼭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세계적 갑부였던
월마트의 창업자 샘 월튼이
임종을 앞두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니
친구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것을 한탄을 하며
크게 후회 하였다고 한다.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는
내가 다른 사람의 친구가
되어 주지 않았기 때문이란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좋은 친구를 얻는 일은
전적으로,
자신이 하기에 달렸다.
🔺️예로부터
친구로 삼지
말아야 할 사람으로는
五無를 들고 있다.
🔹️ 무정(無情),
🔹️ 무례(無禮),
🔹️ 무식(無識),
🔹️ 무도(無道),
🔹️ 무능(無能)한 인간을 말한다.
🔸️그렇다면 과연 참된 친구란?.
논어에
공자님이 제시한
세 가지 기준이 나온다.
먼저,
유익한 세 친구
🔺️익자삼우(益者三友)는,
🔹️ 정직한 사람,
🔹️ 신의가 있는 사람,
🔹️ 견문이 많은 사람이다.
반면,
해로운 세 친구
🔺️손자삼우(損者三友)는,
🔹️ 아첨하는 사람,
🔹️ 줏대 없는 사람,
🔹️ 겉으로 친한 척하고
성의가 없는
사람이라고 하였다.
🔸️살면서
내가 益者三友만 찾지 말고,
내가 먼저 남에게 損者三友보다,
益者三友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親' 字에 담긴 뜻...
어느 마을에
어머니와 아들이 살았습니다.
하루는 아들이
멀리 볼 일을 보러 갔습니다.
저녁 다섯시에는
꼭 돌아온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다섯시 반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여섯시가 되었는데도
아들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어머니는
걱정이 태산 같았습니다.
아들이 왜 안 돌아올까? 어머니는
마을 앞에 나아갔습니다.
아들의 모습이
보이지가 않았습니다.
멀리까지 바라보려면
높은 데 올라가야 했습니다.
어머니는
큰 나무 위에 올라가서
아들이 오는가 하고,
눈이 빠지도록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멀리서 오는
아들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 '정성스러운 광경'을
'글자로 표시한 것'이
친(親) 자라고 합니다.
🔸️
나무[木] 위에 올라서서[立]
아들이 오기를 바라보고[見] 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 3자가 합하여서
친(親) 자가 되었습니다.
🔹️나무 위에 올라가서
아들 오기를 바라다 보는
부모님의 지극한 마음,
그것이 친(親)자 입니다.
🔸️친(親)은
어버이 친자입니 다.
🔹️어머니(母親),
🔹️아버지(父親),
어버이는
다정하고 사랑이 많습니다.
어버이는 나와
제일 가까운 분입니다.
그래서
🔹️친구(親舊)
🔹️친절(親切),
🔹️친밀(親密),
🔹️친목(親睦),
🔹️친화(親和),
🔹️친애(親愛),
🔹️친숙(親熟),
🔹️친근(親近)이란
낱말이 생겼습니다.
또,
🔹️절친(切親)이니
🔹️간친(懇親)이니 하는
다정한 말도 나왔습니다.
🔺️친(親)자 밑에 붙은 말 치고,
나쁜 말이 하나도 없습니다.
서로 친하다는 것은
얼마나 좋은 일인가요?
우리들 관계에도 있는 근본 감정은 친(親)자 입니다.
🔺️찰리 체프린의 명언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 보면 비극이다".
🌲🌲🌲
어느 나무꾼이
산에 나무를 하러 갔습니다.
칡넝쿨을
거두려고 붙들었는데,
그것이 하필
그늘에서 자고 있던
호랑이 꼬리였습니다.
잠자는 호랑이를
건드린 나무꾼은
깜짝놀라
나무 위로 올라갔습니다.
화가 난 호랑이는
나무를 마구 흔들었습니다.
나무꾼은
놀라서 그만 손을 놓아
나무에서 추락했는데,
떨어진 곳이 하필
호랑이 등이었습니다.
이번에는 호랑이가
놀라 몸을 흔들었고,
나무꾼은 호랑이 등에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썼습니다.
호랑이는
나무꾼을 떨어뜨리기 위하여
달리기 시작했습니다.
나무꾼은 살기 위해서
사력을 다해 호랑이 등을
더 꽉 껴안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한 농부가
무더운 여름에 밭에서 일하다가
이 광경을 보고는 불평을 합니다.
“나는 평생
땀 흘려 일하면서 사는데,
어떤놈은 팔자가 좋아서
빈둥빈둥 놀면서,
호랑이 등만 타고 다니는가?”
농부는 죽기 아니면 살기로,
호랑이 등을 붙들고 있는
나무꾼을 부러워 했습니다.
때로 남들을 보면
다 행복해 보이고,
나만 고생하는 것 같습니다.
나는
뜨거운 뙤약볕에서 일을 하고,
남들은 호랑이 등을 타고
신선 놀음을 하는 듯합니다.
그러나, 실상을 알고보면
사람 사는 것이
거의 비슷합니다.
나와 똑같은 고민을 하고,
나와 똑같은 외로움속에서
몸부림을 칩니다.
남과 비교하면,
다 내것이 작아 보인답니다.
나에게만
아픔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실상을 들어가 보면,
누구에게나 아픔이 있습니다.
비교해서 불행하지 말고,
내게 있는 것으로
기뻐하고, 감사하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인생은
희극처럼 살아도,
짧은 시간입니다.
우리 모두 건강하시고
서로 사랑하고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이글을 읽으시고,
삶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당신을 축복합니다.
가까운 분들과도
함께 나누어 보시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