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을 알면 RC의 50% 이상을 알았다고 할 만큼 엔진셋팅은 다양한 경험과 연륜이 필요한 어려운 부문
인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는 고급기술을 연기하는 상급자의 영역을 포함한 뜻이고 취미생활로 즐기는
대다수의 유저에게는 엔진에 무리를 주지 않는, 트러블 없는 무난한 셋팅이 가장 좋은 셋팅이라 생각
합니다. 저 또한 경험과 지식이 짧아 엔진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는 불가능하지만 입문자에 필요한 무난한
셋팅에 초점을 맞춰 설명 하고자 합니다.

카브레터의 구조나 원리등 원론적인 설명은 인터넷이나 각종 책자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니 생략하고
실질적인 아이들과 니들 밸브에 관해서만 알아봅니다. 흔히 니들,아이들 하면 그냥 고속과 저속을 담당
하는 밸브이고 조이면 엔진 힘이 좋아지고 지나치면 힛팅하며 풀면 힘이 없다고만 알고 있는데 서로의
상관관계를 알면 입문자라 할지라도 충분히 기본적인 엔진 셋팅이 가능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 니들밸브는 엔진으로 들어가는 연료를 가장 먼저 제어하는 밸브로써 엔진으로 들어
가는 연료의 양을 결정합니다.
니들의 조절로 카브레터를 통과하는 공기에 연료를 진하게 혹은 연하게 섞어(연료/공기 혼합비) 안정된
상태(윤활,냉각)와 적절한 RPM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이들 밸브는 저속회전(공회전)시 엔진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밸브입니다.
그럼 여기서 “왜 니들로 결정된 혼합비로 엔진을 돌리면 되지 따로 아이들 밸브를 설치하느냐” 라는
의문이 생기는데........
니들셋팅은 일반적인 혼합비 다시 말해 엔진의 중,고속시 가장 좋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혼합비를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하지만 저속에서는 캬브레터의 구조적 특성상 줄어든 공기량에 비해 연료가 같은
비율로 줄어들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저속에서는 상대적으로 농후한 혼합비로 인해 엔진 정지를
유발하게 됩니다. 저속에서만 연료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기계적으로 보정한 구조가 아이들 밸브입니다.
저는 아이들 밸브가 왜 필요한지 알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
1. 니들 밸브

위 그림은 OS 30의 니들입니다. 아이들 스크류와 마주보는 구조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그림과 같은 가장
기본적인 엔진 구조입니다. 니들은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1.5바퀴 풀린 지점을 기준으로
±3클릭씩 조절하여 1.25~1.75바퀴 사이에서 최적점을 찾습니다.

위 그림은 OS 50(Hyper포함)의 니들 입니다. 신품 엔진일 경우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잠긴상태에서
2바퀴를 풀어준 상태(약간진한)상태로 길들이기를 시작하며 1.5바퀴를 기준으로 1.25~1.75사이에서
연료,기온,습도를 감안한 최적의 포인트를 찾습니다.

위 그림은 OS 91(61,70포함)의 니들입니다. 니들밸브가 30,50과 다르게 2개입니다. 고속,중속이라고
하고 메인,서브니들이라고도 합니다. 기본원리는 대동소이하며 길게 나온 니들이 고속을 담당하고 짧은
니들이 호버링(중속)영역을 담당합니다. 하지만 중속,고속 모두 서로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므로(YS 엔진
은 구조가 달라 분리됩니다.) 적절히 조화된 셋팅이 필요합니다. 초기치는 고속 2바퀴 중속 1바퀴이며
고속은 1.25~1.75 중속은 0.75~1바퀴에서 최적의 포인트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새로 출시된 OS MAX-91SZH 엔진의 초기는 중속,고속 모두 2바퀴이고 고속은 1.5~2바퀴 저속은
1.75바퀴 전후에서 최적점을 찾습니다.

위 그림은 YS 91(61,80포함)의 니들입니다. YS엔진은 OS사와 반대로 짧은 니들이 고속, 긴 니들이
중속입니다. 중속1.75 고속1.25 바퀴가 초기치 이며 중속은 1.5~1.75 고속은 0.75~1.25바퀴에서
최적의 포인트를 설정합니다.
참고로 제이슨 선수가 밝히는 YS80 셋팅 추천치는 30% 연료에 중속 1.25 고속 0.75 입니다.
2. 아이들 밸브

위 그림은 OS 30엔진의 아이들 밸브를 카브레터 흡기구 쪽에서 본 그림입니다. 다른 엔진에 비해
30엔진은 아이들 밸브 초기치 셋팅이 까다로운 편입니다. 그림처럼 노즐과 아이들 스크류를 조절해야
하지만 기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브레터 개구부를 볼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합니다. 먼저 니들 밸브를 완전히 잠근 상태에서 아이들 스크류 또한
완전히 잠금니다. 그 상태에서 2~3 바퀴 정도 아이들 스크류를 풀어주면 위의 그림과 같게 됩니다.
하지만 오차가 많은 편이라 몇번의 수정이 필요합니다.
이런 불편한점 때문인지 새로 출시된 37엔진 부터는 아래 그림과 같이 개선 되었더군요.
아이들 스크류를 YS엔진처럼 카브레터 바디면에 높이를 맞추는 편리한 방식입니다.
1회전에 0.5mm가 내려가면 표준셋팅이 됩니다.


위 그림은 OS50 ~ 91엔진의 아이들 밸브입니다. 초기치(공장출하상태)는 그림과 같이 일자 나사의
홈이 카브레터의 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이며 YS엔진의 초기치는 아이들 조절나사의 머리 높이와 아이들
바디가 같아지는 높이입니다. 엔진의 저속영역을 담당하며 시동성을 결정하는 밸브입니다.
시계방향으로의 조절은 옅은 혼합기를 반대방향은 진한 혼합기를 엔진에 공급하게 됩니다. 연료를
바꾼후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비행 중 저속에서 엔진이 꺼지는 경우는 대부분 연료의 점성변화로 인한
아이들 부조화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플러그
가솔린 엔진의 점화는 스파크 플러그를 통한 불꽃점화 방식이지만 글로우 엔진은 플러그 필라멘트의
적열로 점화를 합니다. 시동초기에 전기로 가열된 필라멘트는 실린더 내부에 압축, 기화된 연료를 폭발
시키고 시동 후에는 전기공급이 없어도 적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대부분 플러그는 시동만 걸리면 끊어져서 사용할 수 없을 때 까지 사용하고 그 중요성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데 시동뿐만 아니라 점화 타이밍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품이기에 엔진의 컨디션을 100% 유지하기
위해서 교환,점검을 자주해야 합니다. 따라서 플러그를 점화하기 위한 부품으로 보기보다는 엔진 셋팅의
한 방편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아래에 O.S사에서 제시한 관리기준과 교환시기를 보여줍니다.
관리요령
● glow plug를 고속 회전역에서는 플러그 히트의 전원을 끌것. ● 너무 니들을 조이지 말 것. ● 엔진에 적합한 플러그를 사용한다. ● 가능한 한 저니트로 연료를 사용한다.
교환기준
●filament의 표면이 거칠어져 백색화되고 있는 경우. ●이물이 부착하고 있는 경우. ●filament가 변형된 경우. ●filament의 표면이 더러워져 있는 경우. ●플러그의 본체가 녹슬고 있는 경우. ●혼합기체가 진할 때에 엔진이 잘 멈출 때. ●저속 회전시 시동이 잘 꺼질 때. ●시동성이 나쁠 때.
아래는 열가에 따른 플러그의 종류로써 O.S사의 2사이클 헬기엔진은 대부분 No.8을 사용하고 엔진
길들이기에 A3플러그가 트윈 플러그 헤드에서 A5플러그가 사용됩니다.

4. 최종셋팅
엔진의 최적 셋팅은 딱히 이거다 라고 하기에는 엔진상태, 연료, 기온, 습도, 기어비, 요구하는 비행특성등
변수가 너무나 많습니다. 위에서 기술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주변에 셋팅이 잘된 상태의 엔진
소리, 배기연, 기체의 반응성, 파워등을 기억하고 자신의 기체에 적용시키는 방법이 좋을 것 입니다.
대구RC클럽 |
첫댓글 이른거 몰라서 엔진 접을려했는데.. 요번앤 정확히 이해하고 이번주부터 테스트 해볼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