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5세 이상 인구 비중 30% 넘는 수퍼 초고령 지역 25곳... 화성·기장·세종은 점점 젊어져
아이 낳을 젊은 여성 인구 급감

조사 결과 국내 지자체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이 7% 이상인 곳은 249곳이었다. UN은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정의한다. 우리나라 기초단체 중 99%가 이미 고령화 사회 이상으로 진입했다는 얘기다. 또한 고령 인구 비중이 7~14% 미만은 112곳(44.4%), 14%가 넘는 고령 사회는 51곳이다. 65세 이상 인구가 이미 20%를 넘은 초고령 사회는 74곳(29.4%)이었다. 전북 고창·장수, 경남 하동·창녕, 충남 태안·부여, 강원 양양·횡성, 부산 서구 등이다. 고령 인구 비중이 30%를 넘는 수퍼 초고령 사회도 25곳(9.9%)에 달했다.
20~39세 여성 비중 10% 미만 78곳

20~39세 여성 인구 비중이 전체의 10%에 미치지 못하는 지역은 2004년 6곳에서 지난해 78곳으로 증가했다. 경북·경남·전남 지역이 특히 낮았다. 경북 의성군은 전체 인구 중 20~39세 여성 인구 비중이 6.2%로 가장 작았다. 다음은 경북 군위(6.6%), 전남 고흥(6.6%), 경남 남해(6.7%) 순이었다. 반대로 20~39세 여성 인구 비중이 가장 큰 지역은 서울 관악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여성 인구 비중이 18.2%(9만1093명)다. 다음은 서울 마포구(17.8%), 서울 광진구(17.3%), 서울 강남구(17%) 순이다.
결과적으로 20~39세 여성 인구 비중이 10% 미만이고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가 넘는 곳은 80곳이다. 기초단체 10곳 중 3곳이 소멸할 위험이 매우 높다는 얘기다. 특히 젊은 여성 인구 비중이 가장 작은 20곳을 살펴보면 20~39세 여성 비중이 6.2~7.8%에 불과한 반면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대부분 30%를 넘었다. 두 지표 간에 상대 비중은 0.17~0.25에 불과했다. 즉 20~39세 여성 인구가 65세 이상 고령 인구 대비 17~25%라는 얘기다.
경북 의성군 인구 5년 새 1만명 줄어

젊은 여성 끌어들일 정책에 집중해야
최근 10년 간 인구 변동 추세를 보면 젊은 여성이 어느 지역을 선호하는지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난 10년 간 20~39세 여성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도 화성시로 86.2%로 늘었다. 다음은 부산 기장군으로 57.1% 증가했다. 세종시(52.6%)와 경기 오산시(44.6%), 경기 파주시(43.7%), 대전 유성구(34.8%), 경기 김포시(32.9%) 등도 젊은 여성이 크게 늘어난 도시다. 신도시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거나 여성을 고용할 수 있는 대기업이 새로 입주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같은 기간 젊은 여성 감소율이 가장 큰 곳은 전남 고흥군으로 45.1%나 줄었다. 경북 군위(-45%), 경북 청송(-44.4%) 등도 10년 새 젊은 여성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눈에 띄는 것은 부산 영도군이다. 이 지역은 10년 사이 젊은 여성 인구가 44% 줄었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박사는 “젊은 여성의 비중이 위험 수준은 아니지만 감소 속도가 빠른 지역 중 일부는 대도시의 전통 제조업 집적지가 포함돼 있다”며 “산업단지의 낙후성과 쇠퇴가 젊은 여성을 떠나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가지 더 주목할 것은 젊은 여성이 이미 모여 있는 곳과 새로 모여드는 곳이 다르다는 점이다. 젊은 여성들이 집중적으로 모여 있는 곳은 주로 서울과 수도권 일부다. 비수도권 중에서는 대도시권의 베드타운이나 교육 중심지, 서비스업 중심지 등이다. 이와 달리 젊은 여성이 모여들고 있는 곳은 신도시가 들어선 수도권 지역과 지방 광역시의 세력권 도시가 많다. 경기 화성시, 충남 세종시, 전남 무안군이 대표적이다. 무안군은 전남도청이 이주하면서 젊은 여성 인구가 급증했다. 그런데 여성 인구 비중이 원래 큰 수도권은 출산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반면 세종시나 무안군 등은 출산율이 높은 편이다. 여기에 중요한 메시지가 있다.
이상호 박사는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젊은층이 블랙홀처럼 흡수되고 있지만 대도시의 높은 생활비와 일자리 경쟁 등으로 자녀를 낳기 어렵다”며 “젊은 여성이 모일 수 있는 매력적인 도시를 개발하는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젊은 여성들이 누릴 수 있는 문화와 여가시설, 결혼해서 살기 좋은 주거환경, 자녀를 키우기 좋은 양육과 교육 여건을 제공하는 등 정책을 펴야 한다”며 “무엇보다 젊은 여성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매력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젊은층 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호한 정책보다 20~39세 여성에 집중한 정책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 김태윤·장원석 기자 pin21@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