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시대 주화의 앞면에 관해 논의하기 전에 각각의 올바른 이름과 그것들이 주화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언급하는 것이 좋은데
다음 두가지의 중요한 사실을 기억한다면 주화해독이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첫째: 로마인 최초의 이름(praenomen)은 항상 규칙적으로 축약된 형태였는데,
이것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로마시민이 정한 것이었다.
*둘째: 약자 IMP(Imperator)는 제국시대 초기부터 praenomen(이름)으로서 사용되었다.
NOMEN, PRAENOMEN, COGNOMEN을 기술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현재의 쓰임을 알아보는 것이다.
라틴어인 NOMEN은 '이름'을 뜻하고 접두사 PRAE는 앞(before)을 뜻한다.
따라서 PRAENOMEN은 이름을, COGNOMEN은 성(姓)을 말한다.
로마의 이름은 고정적이거나 절대적인 형태는 아니었고 로마의 전역사에 걸쳐 다양한 형태를 보였다. 처음에는 단 하나의 이름으로 불렸고 점차 소유격과 결합되어 발전하다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권한아래에 있다는 것을 뜻하게 되었다. 즉 딸은 아버지의 권한아래에 있었고 부인은 남편, 노예는 주인의 권한아래 있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러한 방식으로 쓰여진 이름을 보게된다;
Marcus Marci f (Marcus, Marcus의 아들).
여기서 "f"는 filius 라틴어로 아들을, 여자의 경우 filia 즉 딸을 뜻한다.
그 내용에 대해 좀 더 심도있게 들어가서 구체적으로 논해보자.
praenomen, nomen, cognomen을 각각 first, middle, last name이라 하는 대신
praenomen은 이름, 즉 개인의 이름이고 nomen은 씨족의 이름이며, cognomen은 그 씨족의 일부인 일가(一家)의 이름이다.
따라서 L.Corlelius Scipio, 여기서 "L"은 라틴어 이름 Lucius의 약자로 praenomen 즉 개인의 이름이고 "Corlelius"는 이 사람의 가문이 속해있는 씨족의 이름이며 Scipio는 가문의 이름이다. 그것은 또한 성(姓)이며 Scipio가문은 Cornelian의 일부분이다.
PRAENOMEN(이름)
praenomen은 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명확한 개인의 이름이다. 남자아이의 경우 생후 9일째 되는 날 부모에 의해 이름이 주어졌고 여자아이는 생후 8일째에 주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에는 많은 논란이 있는데- 그것은 많은 비문에서 더 나이가 많은 아이들의 이름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고 "pupio(아동을 의미)" 라는 단어가
많은 이름없는 비석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전에 언급한대로 praenomen(이름)은 nomen(씨족의 이름), cognomen(가문의 이름,성)과 사용될때 규칙적으로 축약되었는데 선택의 문제가 아닌 로마시민을 나타내는 확립된 관습이었다. 이 점은 주화를 해독하는데 있어 기억해야할 아주 좋은 포인트이다. 왜냐하면
이름(praenomen)은 아주 다양하게 축약되기 때문에.
아래의 목록을 보면 더욱 일반적인 이름과 그것의 약자들을 알 수 있다.
AULUS.....A, AU, AUL(드뭄), O(아주 드뭄)
DECIMUS.....D, DEC(드물고 후기의 것)
CAIUS or GAIUS.....C
GNAEUS.....CN, GN(아주 드뭄)
LUCIUS.....L, LU(드뭄)
MARCUS.....M
PUBLIUS.....P, PUP(드뭄)
QUINTUS.....Q
SERVIUS.....SER
SERGIUS.....S(드뭄)
SEXTUS...SEX, SX
SPURIUS.....S, SP
TIBERIUS.....TI
TITUS.....T
APPIUS.....AP, AP P(드뭄)
NUMERICUS.....N
VIBIUS.....V
귀족가문들은 보통 그들 가문의 모든 일원을 위해 같은 이름을 사용했다.
즉 같은 이름의 그룹을 형성했다.
아래 목록들은 비교적 더 많이 알려진 가문들과 그들이 사용했던 이름들을 알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들이다.
AEMILII.......C,CN,L,MAM,M,Q,TI
CLAUDII.....AP,C,D,L,P,TI,Q
CORNELII.....A,CN,L,M,SEX,SP
JULII.....C,L,SEX
MANLII.....A,CN,L,M
NOMEN(씨족의 이름)
nomen은 같은가문의 모든 일원이 속해있는 이름이다.처음에 이 이름은 특정지역에 따라서 차별화 되다가 후에 같은 씨족에 속한 일원을 나타내는 이름이 되었다. nomen은 주로
"ius", "aius", "eius", "eus"로 끝난다. Aemilius, Cornelius, Furius, Manlius,
Pompeius 처럼.
Cognomen(姓)
Cognomen은 처음에는 개인의 이름이었고 후에 특정 씨족에 속한 가족의 이름 즉 성(姓)이 되었다. 따라서 Cornelius의 씨족중에 Cethegi, Lentuli, Scipiones 등이 있었다. 라틴어 이름의 전체적인 내용을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아마도 현재의 유사한 이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음의 유사한 이름들이 다소 거리가 멀어보일 수도 있지만 우리의 목적에는 부합할 것이다.
몇몇 사람들은 그들 어머니의 처녀적 이름을 second, 즉 middle name으로 쓰기도 하는데- John Scott Pauley의 예를 들면 그의 이름(praenomen)은 John, 그의 어머니의 성은 Scott(nomen), 그리고 성(姓)은 Pauley 이다.
이 예를 기억한다면 주화해독에 도움이 될것이다.
The observe Inscriptions(주화 앞면의 명칭들)
로마의 주화를 수집하는 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어떤 컬렉션들은 주화의 뒷면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하면 Concordia(조화), Fides(믿음)
같은 특정 이미지 또는 다른 인물들이나 신의 이미지를 담은 다양한 주화의 뒷면을
강조하기도 한다.
물론 대부분의 컬렉션들은 인물위주의 컬렉션들로 황제나 동시대의 사람들이
주화 앞면에 있는 것들이다.
가장 흥미로운 컬렉터들은 아마도 sestertii로 알려진 큰 청동 주화를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이 동전의 크기 덕분에 고대의 조각가들은 작은 면적에 표현하기
어려웠던 많은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었다.
물론 어떤 칼렉션이든 그것은 특정 컬렉터의 취향의 문제이고 소재에 상관없이 인물위주의 좋은 컬렉션들은 가장 매력적인 디스플레이가 될것이다.
새로운 컬렉터들은 주화를 해독하는데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데 이것은 매우 흥미롭다.
라틴어를 전공하는 많은 학생들조차 주화에 나타나는 약자들이 많아서 해독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멋진 컬렉션을 소유한 많은 사람들은 라틴어 전공학생이 아니며 또 그럴
필요도 없다. 보통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자들을 기억함으로써 많은 주화들을 물론 해독해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주화를 해독할 때 가장 혼란스러운 점은 로마인들이 명칭을 쓸 때 단어와 단어 사이를 중간에 끊어서 표시하지 않고 통째로 쓰는 습관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네로를
새긴 청동주화에 나타난 명칭들이 대표적인 예가 된다. 좀 더 명확하고 단순한 이해를 위해서 주화를 부분별로 나누어 보았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볼 수 있는데
NERO CLAUD CAESAR AUG GER PM TR P IMP PP
만약 주화를 해독하는 사람이 제국시대 초기의 거의 모든 주화에 계속해서 나타나는 단 몇개의 축약어를 기억한다면 이러한 명칭들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
Aug- Augustus (또는 여자인 경우 Augusta). 이것은 모든 황제의 이름 중 가장 독특한 것으로 Augustus와 그 가족의 일원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쓰지 않았다.
이 이름은 주화위에서 가장 빈번하게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PM- 매우 일반적인 황제의 명칭. Pontifex Maximus는 로마종교의 최고 지위자로서 황제의 명칭이었다. 이 타이틀은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서 지켜졌고 그의 뒤를 잇는 모든 황제들이 사용했다.
TR P- Tribunicia Potestate. 호민관직. 로마제국 초기부터 호민관은 로마시민의 대표자였고 수많은 시대를 걸쳐 엄청난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호민관의 파워는 비록 그가 시민을 대표하는 자리에 있음을 의미함에도 불구하고 황제의 지위를 대표한다. TR P는 그 이후 로마의 주화에 아주 흔하게 발견되는데
이것은 특정 주화의 주조년도를 결정하는데 훌륭한 도구가 된다.
(이 책에는 그러한 날짜를 결정하기 위해 차트가 수록되어 있다)
Cos- Cos는 consul(집정관)의 약자이다. 집정관은 로마의 두명의 주요 행정판사 중 하나였는데 대부분 황제 자신이 하나를 맡았다- 그렇지 않을 경우 황제는 그의 자리를 보좌할 수 있는 사람을 직접 임명했다. Cos는 TR P와 함께 많은 주화에서 발견된되는데 집정관의 지위는 일년이상 지속되지 못했으므로 이것 또한
이 책의 차트를 참고하면 특정 주화의 주조년도를 결정하는이 가능하다.
PP- PATER PATRIAE. 로마의 창조자. 이 명칭은 많은 주화에 나타나는데 원래 원로원이 황제에게 수여한 것으로 몇몇 황제들은 이 직함을 거부했다.
IMP-IMPERATOR. 비록 그 타이틀이 로마제국 시대 초기 전쟁에서 승리한 장군들에게 수여된 이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황제를 의미한다.
Tiberius황제 이후로 그 타이틀은 오직 황제만이 쓸 수 있었다.

이제 위의 네로주화의 명칭들을 다시 한 번 살펴보면 각각의 명칭들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
1. Nero.....그의 이름
2. Claud.....Claudius. 그의 가족이 속한 씨족의 이름. 그의 nomen.
3. Caesar.....Julian일가의 계승된 이름. Claudian일가에 의해 채택되고 그 이후 황제들에 의해서 또한 채택되었으며 후에 후계자들에 의해서 사용됨.
4. Augustus...가장 독특한 황제의 이름.
5. Ger.....Germanicus. 명예로서 주어지는 세습적인 직함.
6. PM..... Pontifex Maximus. 가장 높은 사제. 로마 종교의 정상.
7. TR P..... Tribunicia Potestate. 호민관. 로마시민의 정상.
8. IMP-IMPERATOR. 이 타이틀은 전장에서의 승리를 축하하기 위한 타이틀로 황제 또는 그의 종속자들에 의해서 사용됨.
9. PP.....PATERPATRIAE. 로마의 창조자.
이제 Titus황제의 청동 주화를 소개하려고 한다. 역시 편리성을 의해 각각의 타이틀을 분리해보면, 주화의 전체적인 명칭은
IMP T CAES VESP AUG PM TRP PP COS VIII 이다.
다시 분석하면
1. IMP..... Imperator 황제.
2. T.....Titus. 그의 이름 즉 praenomen.
3. Caes.....Caesar.
4. Vesp.....Vespasian. Titus황제의 姓. 선조가 황제를 법률상 후계자로 지목했거나 Titus황제의 경우처럼 자동적으로 후계자가 되는 경우, 그의 이름 중 일부를 그의 선조의 이름에서 취하는 것이 그 당시 관습이었다.
5. Aug- Augustus.
6. PM..... Pontifex Maximus.
7. TR P..... Tribunicia Potestate.
8. PP.....PATER PATRIAE. 로마의 창시자.
9. COS VIII.....8번째 집정관직. 이 주화는 Titus황제의 8번째 집정관 임기동안
주조되었다. 이 책에 있는 차트를 확인해보면 Titus황제의 8번째 집정관 역할은 AD80년에 이루어졌는데 따라서 여기에 그려진 이 주화는 그 해에 주조된 것이다.

마지막 예로 Domitian의 AS주화를 들려고 한다.
이것 역시 각각의 명칭대로 분류해보면
IMP CAES DOMIT AUG GERM COS XIII CENS PER PP이 된다.
1. IMP..... Imperator. 황제. 그러나 여기서는 약간 다른 뜻으로 사용되어praenomen즉 이름을 뜻한다.
2. Caes.....Caesar.
3. DOMIT.....Domitian. 그의 이름.
4. AUG..... Augustus.
5. GERM.....Germanicus.
6. COS XIII.....13번째 집정관직. 이 책에 있는 차트를 보면 Domitian황제의 13번째 집정관직이 AD87년에 이루어졌고, 이것이 이 주화의 주조년도 이다.
7. CENS PER.....Censor Perpetus(종신 감찰관직). 감찰관직은 로마의 주요한 행정판사였는데 빈번하게 황제에 의해서 굳게 지켜졌고 평생동안 수여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Perpetus(관직따위가 영구함을 의미)"이다.
8. PP......Pater Patriae. 로마의 창시자.
--------------------------------------------------------------------------------
알고있는분도 있을듯 합니다.
로마의 동전해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