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 물량 산출 방법이라로 해서 인터넷에 떠도는 자료? 인데
한번 살펴봅시~~~다아~~
|
㎡(헤베) : 1M를 기준으로 하여 가로x세로=헤베(㎡) 헤베는 일본말로 압니다만 앞 설명 그대로 가로곱하기 세로입니다.
보통 현장을 운영하다보면 자재를 납품하거나 일을 하는 인부들에 따라 쓰는 용어가 많이 다른데요. 헤베는 미장하시는 분들이나 파벽,벽돌,내장재등을
취급하시는 분들이 많이 쓰시더군요.
평 : ㎡(헤베)x0.3025=평 가로와 세로를 곱해서 0.3025를 다시 곱해주면 정확한 평수가 나옵니다. 제가 좋아하고 흔히 예전에 많이 쓰던 단위인데 요즘엔 건축설계도등에서 쓰지않도록 권고? 하더군요.
클클....왜 그럴까요?
제가 좋아하는 이유는 제게 건축 의뢰를 해오시는 거의 모든 예삐 건축주분들이 평머로님이 짓는 통나무집은 평당 얼마입니까? 하고 물어오기 때문입니다.
이럴때만큼 난감할때가 없습니다만 대강 제가 요즘 짓는 어느 어느 현장 기준으로보자면 평당 얼마입니다라고 답변드리는데....평당 개념에 익숙한 우리나라 실정을 무시하고 건축 설계도상에사 사용을 금지하는 이유는 무얼까요?
보통 한평이라고 하면 그 크기를 가늠하기가 그리 쉽지많은 않습니다.
최진사댁은 논이 만평이야! 라고 했을땐 그 크기가 음...그래 크구나 정도이지만
'한 ~~두어평 될라나" 라고 했을때 당췌 어느정도인지 명확하지 못한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그리고 건축비용을 평당 얼마라고 하는것도 어느정도 어폐가 있습니다.
정확히 얘기해서 몇 제곱미터가 오히려 더 정확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껏 사용해오던 단위를 쓰지 말라고 하는것도 문제는 있어보이는군요.
3x6합판 / 9mm석고보드(3x6) 석고보드와 합판은 보통 3곱하기 6의 합판과 4곱하기 8짜리 합판이 있습니다. 12.5미리는 4*8석고(합판은 주로 11.5미리)이고 3*6석고은는9미리가 일반적입니다.
크기는 3*6이 900미리에 1800미리
4*8은 1220미리에 2440미리입니다.
1장 900x1800mm이므로 0.9x1.8=1.62㎡(x0.3025=0.49(약 반평)가 나온다
2장 1800x1800mm이므로 1.8x1.8=3.24㎡(x0.3025=0.98(약 한평)이 나온다.
그러면 실내에 3x6합판을 사용하고자 하는 공간의 평수가 나온다면 3x6합판의 물량을 뽑을 수 있을 것이다.뭐 당연한 얘기고....
4x8합판
1장 1200x2400mm이므로 1.2x2.4=2.88㎡(x0.3025=0.87평)
2장 2400x2400mm이므로 2.4x2.4=5.76㎡(x0.3025=1.74평)글쵸? ^^
각재 물량 산출
각재로 천정이나 가베(벽)의 틀을 짤 때 들어가는 물량은 합판을 2장으로 했을 때 각재의 물량을 뽑는 것이 편하다.
합판 2장에 들어가는 각재의 물량은 합판의 크기와 석고 보드일 때가 다르지만, 합판 2장에 들어가는 각재의 갯수인 11개를 기준으로 한다.
30x30mm('한치각'이라함.)의 한 단은 각재가 20개가 기준이다. 위 3x6, 4x8합판의 2장 이였을 때의 평수를 각재(11개를 기준)와 곱하여 20개를 1단으로 하면 한치각의 물량이 나올 것이다.
(참고) 30x45mm('순고'라고 함)의 각재 15개를 한 단(묶음)으로 한다. 여유 분으로 2-3% 추가 물량의 확보가 필요하다.아마도 이글을 처음 작성하신분은
내장목수이거나 대목이 아닌 소목일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우린(통나무혹은 미국식 목조주택을 짓는 빌더)한옥이나 내장목수들이 쓰는 용어나 단위 대신 영어식
용어나 단위에 익숙한 편이라..... 예를 들면 합판 한장에 들어가는 구조재의 양은
2*4를 16인칙 간격으로 혹은 2*6를 24인치 간격으로 얼마 얼마가 들어간다하는 식이지요. 그리고 길이도 몇 피트짜리냐라고 혹은 몇 미리짜리냐고 묻는게 일반적입니다.
|
|
숫자 개념
* 평 = 3.3058 제곱미터 (훼베) 1.818 * 1.818 = 3.3058 제곱미터 한평은 정확히 3.3058제곱미터이고 1.818곱하기1.818헤베가 한 평이라는 얘깁니다.
* 1자 = 0.303 m ex) 27.68 = 27평6흠8작 보통 한옥 현장에서 많이 "자"단위를 쓰는데요 12자짜리는 보통 3.6미터 10자는 3미터라고 보심 되겠습니다.
* 1치 = 3.03 센티미터 * 1푼 = 0.303 센티미터 --1치 = 잇증 (30 미티미터) 1푼 = 이찌부 (3 미리미터) --2치 = 니승 (60 미티미터) 2푼 = 니부 (6 미리미터) --3치 = 산승 (90 미리미터) 3푼 = 산부 (9 미리미터) --4치 = 욘승 (120 미리미터) 4푼 = 용부 (12 미리미터) --5치 = 고승 (150 미리미터) 5푼 = 고부 (15 미리미터) --6치 = 록승 (180 미리미터) 6푼 = 로꾸부 (18 미리미터) --7치 = 나나승(210 미리미터) 7푼 = 나나부 (21 미리미터) --8치 = 핫승 (240 미리미터) 8푼 = 하찌부 (24 미리미터) --9치 = 큐승 (270 미리미터) 9푼 = 큐부 (27 미리미터) --1자 = 잇싸꾸(300 미리미터)
ex) 일과 이분의일 = 105 푼 = 이찌부 고링 (고링은 반을 말함.또는 항이라고도 하는데
항은 못에 많이씀 ex)2인치반 = 투인치항) * 기성각재 --1.0 치 * 1.6 치 = 잇승 * 잇승 - 덴죠/가베 공사( 기성각재로 많이 사용 ) --1.0 치 * 1.5 치 = 잇승 * 승고 --1.2 치 * 1.5 치 = 승니 * 승고 - 덴죠/가베 공사( 기성각재로 많이 사용 ) --1.5 치 * 1.5 치 = 승고 * 승고 - 덴죠/가베 공사( 기성각재로 많이 상용 ) --2.0 치 * 2.0 치 = 니승 * 니승 --1.2 치 * 2.5 치 = 승고 * 니고 --3.0 치 * 3.0 치 = 산승 * 산승 - 기둥/보 ( 90 미리 * 90 미리 ) --1.5 치 * 3.0 치 = 승고 * 산승 - 문틀/칸막이 ( 45 미리 * 90 미리 ) --1.2 치 * 3.0 치 = 승니 * 산승 * 문짝 심재 및 가구 심재용 --1.0 치 * 0.6 치 = 30 미리 * 18 미리 --1.0 치 * 0.7 치 = 30 미리 * 21 미리 --1.0 치 * 0.8 치 = 30 미리 * 24 미리 --1.0 치 * 1.0 치 = 30 미리 * 30 미리 * 미터 = 원. 센티미터 = 전. ex) 1 미터 50 센티 = 1원 50 전
헐 ....-.-;;;; 위 용어의 거의는 왜놈(?)말이네요. 일제 36년간의
치욕스런 강점기에 어쩔 수 없이 몸에 베인 노가다 용어!!
쓰지 않은게 옳다고 보고 차라리 몇미리 단위로 쓰는게 맞다고 봅니다.
자,혹은,치, 푼은 우이 용어이나 이것도 현대식 수의 개념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그다지 실제적으로 다가오지 않는 용어이므로 통일이 필요하겠네요.
|
|
목재의 명칭 |
-널(이다):두께가 6 Cm 미만이고 폭이 두께의 3배 이상인 것.
-좁은 널 :두께가 3 Cm 미만이고 폭이 12 Cm 미만인 것.
-보통 널 :두께가 3 Cm 미만이고 폭이 12 Cm 이상인 것.
-두꺼운 널:두께가 3 Cm 이상이고 폭이 두께의 3배인 것.
흔히 널판지라고 하는 것들은 비교적 큰 나무판재를 지칭하는것은 아실테고...
-각재:두께가 6Cm 미만 폭이 두께의 3배 미만인 것이나 두께와 폭이 각각 6 Cm 이상.
-작은 각재:두께가 6 Cm 미만 폭이 두께의 3배 미만인 것으로 횡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은 정 오림목 횡단면이 직사각형인 것은 평 오림목
-보통 각재:두께 및 폭이 각각 6 Cm 이상인 것.
횡단면이 정 방향인 정 각재와 횡단면이 장 방향인 평각재가 있음.
각재는 위 널판재보다는 작은 것들인데 ...
기성제 제목
-각재의 단면-7푼 각 (2 Cm 각)
- 1치 각 (3 Cm 각)
-1치 2푼 각 (3.5 Cm 각)
-1치 반푼 각 (4.5 Cm 각)
-1치 7푼 각 (5 Cm 각) - 2치 각 (6 Cm 각) |
|
판재의 두께
-3푼널(1센티미터두께)
-4푼널(1.2센티미터 두께)
-5푼널(1.5센티미터 두께)
-6푼널(1.8센티미터 두께)
-7푼널(2센티미터 두께)
-8푼널(2.4센티미터 두께)
-1치널(3센티미터 두께)
-1치2푼널(3.6센티미터 두께)
-2치널(6센티미터 두께)
-2치5푼널(7.5센티미터 두께)
-3치널(9센티미터 두께)
목재의 길이
-6자(182센티미터)
-9자(273센티미터)
-12자(364센티미터)
-15자(455센티미터)
-18자(546센티미터)
-6자 미만은 단척물이라 하여 별도 취급함.
목재의 치수표시에는 제재치수, 제재 정 치수, 마무리치수 3종이 있다.
일반제는 제재치수,정치수로 주문하지만 가구,창호재와 같이 마무리
치수로 해야 할 때는 3.5센티미터 정도 더 크게 주문해야 한다.
|
일상 쓰이지 않으니 몰라도 됩니다.
건축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도 현대식 건축물에는 잘 쓰이지 않고
한옥이나 일제시대의 잔재로 남아오은 노가다 현장에서도 제 각각으로
쓰이는 단위인데 한옥건축에서는 아직도 표준단위처럼 쓰이는 ....
|
|
유리의 물량 산출
유리는 크기는 '사이'라고 하는데 '사이'를 산출하는 방법은 합판과는 그 방법이 다르다. 유리의 '1사이'는 가로300mm X 세로300mm를 '1사이'로 본다. 그래서 유리창의 크기는 600mmx300mm, 900mmx1200mm, 1200mmx1200mm, 1500mmx1500mm...등의 크기로 기성 제품이 만들어져 나온다. (참고)주문제작으로 크기와 모양이 많이 다를 수도 있다 | |
사이라는 용어는 유리뿐 아니라 원목의 물량을 일컬을때도 쓰이는 일본식 용어입니다.
보다 정확하고 실제적인 단위로의 대체가 필요한 단위가 되겠는데
저도 많이 어쩔 수 없이 쓰는 단위이기 하지만....뭐 뾰족하게 대체할 만한 단위가 없어보이네여
몇 제곱미터로 표기하는게 그중 제일 나은듯....
이상이 위 산출표에 대한 제
짧은 설명이였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