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 니도 솔찮어.
남편은 전라도 해남이 고향이다. 어릴 때 상경해서 살다가 지금은 부산에 자리를 잡았다. 평소에는 표준말 쓰는 ‘서울사람’이라는 소리를 듣지만, 동향인을 만나면 대번에 “그 짝은 집이 워디요?”하며 고향 사투리를 구사한다. 사투리 농담은 희한하게 반복해도 웃겨서 우리집 단골 유머 레퍼토리다.
시어머님은 남편보다 고향말이 더 심하신데, 말씀도 그렇거니와 사투리랑 겹쳐져서 재미가 배가된다.
예전에 텔리비젼에서 프랑스 배우 브리짓 바르도가 한국의 '개고기 문화'를 강하게 비판한다는 뉴스를 보고 있었다.
(뉴스 엥커의 멘트) “한국의 개 식용 문화가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게 되면서...”
어머님은 혀를 끌끌 차시며
“개를, 키우는 게 문제제, 먹는 게 뭣이 문제데?”
남편은 옆에서 수박을 먹다가 뿜을 뻔했다.
“엄마, 그 게 무슨 말이야?”
“그라제, 안 그냐? 요즘 사람들 개를 아주 요로코롬 안고 유모차에 태우고 데리고 다님시롱 물고 빨고 하드만. 나는 그 거이 더 이상혀야.”
한바탕 웃고 넘겼지만 여러 화두를 던지는 말씀이다.
한번은, 함께 TV 요리 프로그램을 보고 있을 때였다. 색색의 과일을 먹지도 못하게 그저 꾸미는 용으로 깎고 있었다.
(요리전문가) “플레이팅하실 때는 크리미함을 풍성하게 하시는 센스가 중요하거든요...”
(출연자) “어머나, 너무 예뻐요!”
어머님이 유심히 보시다가 또 한 방 멕이셨다.
“먹는 걸로 뭔 옘병이데?”
여자가 무슨 공부냐고 구박하는 집안 분위기에서 겨우 초등학교만 졸업한 어머님. ‘못 배웠지만’ 본질을 간파하는 통찰과 담백한 유머에 매번 감탄한다. 어머님 말씀에는 힘이 있는데, 그것은 겸손과 ‘거리’에서 나오는 듯하다.
“니들이 더 잘 알제 내가 알간디?” 하시면서 자신을 낮추신다. 자식이지만 성인으로 인정한다는, 자신이 스스로 선택하라는 뜻이 담겨있다. 어머님도 ‘그때는 참말로 어츠케 살었는지 모르도록 살었어.’라고 회상하는 고단한 젊은 날을 보냈다. 하지만 그에 대한 보상이나 ‘내가 어츠케 키웠는디..’하는 기대가 없다. 그저 그 시절 그래도 행복했고 그게 나의 소명이었다가 끝이다. 자식의 삶에 부모의 삶을 투영하지 않는다. 부모와 자식은 서로 사랑하지만 분명 다른 존재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나는 <아버지의 해방일지>에서 어머님과 닿아있는 통찰과 유머를 만났다. 그것은 아마도 한 세계에 몸을 담고 순수하게 세월을 쌓아온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어떤 것이 아닐까 싶다. 거기에 가족과 세상에 대한 따뜻한 애정이 담길 때만 가능한 그런 것. 나 역시 몸으로 쌓은 인생에서, 알뜰한 사랑에서 우러나는 ‘어른스러움’을 가진 어른이 되고 싶다.
마지막으로, 어머님 이야기다.
남편이 학력고사(지금의 수능)를 보고 집에 왔을 때, 어머님이 놀라며 물으셨다고 한다.
“너 오늘 뭘라 일찍 왔냐?”
남들은 수험장에 엿을 붙이고 108배를 한다 어쩐다 하는 마당에 어머님 참 대단하시다. 그야말로 쿨내 진동이다. 아이 삶과 부모의 삶을 분리하고 아이를 바라보며 묵묵히 내 길을 걸어가는, 하지만 유머를 놓지 않는 멋짐. 그런 어른이, 그런 부모가 나도 되고 싶다. 어머님께 이 말씀을 드리면 아마도 이렇게 말씀하실 것 같다.
“아야, 니도 솔찮다.”
첫댓글 푸드 스타일링 일화 읽으면서 커피 뿜을 뻔요!!!
ㅎㅎㅎ 솔찮다 뜻이 뭐신지는 알려줘야 할 거 같은디요~~
검색해보니, 꽤 많다. 수월하지 않다.는 뜻이네요. 이 맥락에서는 '너도 만만치 않다, 너도 이미 멋지다.'라는 뜻? 😉
한 가지 아쉬운 점은, 2가지 일화는 어머님의 본질을 간파하는 통찰이 느껴지긴 하는데, 겸손과는 다른 '주관'을 드러내신 거라, 뒤에 어머니의 교육관과는 거리가 느껴져요.
그리고~~~
대안학교 시리즈도 쓰실 거죠? 😉
어머, 진짜 그러네요. 단락 전개가 매끄럽지가 않네요. 수정해볼게요^^
ㅋㅋㅋ 초등학교 때 수학여행으로 경주 갔을 때 쪼매난 아가들도 사투리를 써서 귀엽기도 하고 놀랍기도 했더랬어요. 그런데 알고보니 제가 살던 춘천에도 강원도 사투리가 있었는데 그게 사투린지도 몰랐더라는. 어머님 쿨~내 진동. 쌤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어요.
저도 서울에 살 때와 부산에서 살고 20년이 지난 지금은 사투리를 바라보는 자세가 아주 미묘하게 변했다는 걸 요즘 처음 알아챘어요. 참, 그게 뭐라고 묘한 서울중심의 사고방식이 있었더라구요.
어머님을 닮고 싶은데, 될랑가 모르겠어요^^
역시 살아 펄떡거리는 안쏘니 선생님의 글!! 오늘도 재밌게 읽었습니다. 솔찮은 안소희 선생님 ㅋㅋㅋ
재미있다는 말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칭찬이랍니다! 정인 선생님은 어쩜 그걸 벌써 간파하신거지요?ㅋㅋㅋ
@안쏘니(부산/아들둘/발도르프학교) 저도 이렇게 경쾌하고 재미난 글 쓰고 싶어요. ㅜㅜ
@조이플은중 선생님~ 샘 글도 이미 그래요. 순간 댓글 밑에 신고하기 누를 뻔했어요.ㅋ 과찬입니다요.
@안쏘니(부산/아들둘/발도르프학교)
소설과 시어머님을 연결해서 소재를 잘 잡으셨어요. 선생님의 글과 작품이 보여준 정서가 서로 통하는 거 같아요.
마지막에 웃음이 빵 터졌어요~
그전에 썼던 다른 글들과 연결되면서 소희 샘이 어떤 분이실지 어느 정도 상상이 되네요.
글 읽을 때마다 참 유쾌한 분이시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자식의 삶에 부모의 삶을 투영하지 않고, 적당한 거리를 둔다는 말이 오늘따라 제게 참 꽂히는 말이네요. ^^;;
쿨내 진동하는 시어머님의 멘트들도 넘 웃기고, 짧으면서도 빵빵 터지는 글 저도 쓰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