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의 유래
땅에 이름이 붙는 유래는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대체로 지세 즉, 생긴 모양 또는 방향에 따라 지어진 것이 있고, 그 고장에 특징적으로 많이 나는 식물, 동물 또는 특산물에 따라 지어진 것이 있다. 또한 그 지역에 많이 사는 성씨에 따라 지어진 것도 있으며,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여 지명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한 지명에는 땅의 이름은 물론이고 바다의 이름, 내(川)의 이름들까지 포함되어 지표상의 모든 이름이 그 대상이 된다. 지명은 역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및 어원학 등의 학문에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고유지명은 대체로 신라의 삼국통일 후 한자화되었다. 그런데 지명의 유래를 살피는 데 있어서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자지명에는 일제가 우리를 식민지화하면서 고유지명의 근원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편의에 맞게 다시 만든 것이 많다는 점이다.
이를 테면 '새말'이라는 고유지명이 있을 때 그 유래를 따지지 않고 이를 한자화할 경우 '새롭다'는 의미의 신(新)자를 넣어 신촌, 또 '쇠'라는 의미의 금(金)을 넣어 금촌, 또 '사이'라는 의미의 간(間)자를 넣어 간촌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역사와 지리적인 형세가 반영되어 있는 이러한 고유지명의 유래가 일제에게는 소중할 리가 없었기 때문에 자신들의 편의대로 한자화했던 것이다.
현재 우리의 주변에서 일고 있는 고유지명을 찾으려는 움직임은 이러한 점을 충분히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구리'라는 명칭은 1914년 3월 1일 부, 군, 면 폐합 때 부령(府令) 제111호로 당시 양주군 망우리면(忘憂里面)과 구지면(九旨面) 그리고 노해면의 일부지역을 병합하여 구지면의 '구'자와 망우리면의 '리'자를 합하여 구리면(九里面)이라 한데서 유래한다. 따라서 현 구리 지역의 옛 명칭인 '구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현 구리시의 옛 명칭은 구지(龜旨,九旨)였다. 그 구지(龜旨)라는 명칭이 처음 나타나는 문헌은 조선시대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이다. 이 책이 만들어진 시기는 1530년 조선 중기인데 그 이전의 책에서는 구지라는 명칭을 찾을 수 없다. 한편 1871년 간행된 『경기읍지』의 지도에는 '구지(九旨)'라 표기되어 있다. 즉 '구지'의 한자 표기는 '구지(龜旨)'가 일반적이었지만 '구지(九旨)'라는 표기도 아울러 사용된 것이다.
이와 같은 사실에 입각하여 '구지'의 어원을 살펴보면 육지가 강이나 바다로 돌출한 지역을 '곶'이라 하는데 구리지역은 한강과 왕산내로 둘러싸인 곶으로 볼 수 있다. 곶이 고지로, 고지가 구지로 변하여 이에 해당하는 소리를 한자로 '구지(龜旨)', '구지(九旨)'라 표기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산의유래
::: 아차산 :::
구리시의 서쪽을 둘러싸고 있는 산이다. [삼국사기]에는 '아차(阿且)'와 '아단(阿旦)' 두 가지 표기가 나타난다. 지금의 '아차(峨嵯)'와 음과 뜻이 똑같은 명칭은 조선시대에 쓰여진 고려역사책인 『고려사』에 처음 나타난다.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봉화산을 포함하여 망우리 공동묘지지역과 용마봉 등의 광범위한 지역이 모두 아차산으로 불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아차산은 남쪽을 향해 불뚝 솟아오른 산이라 하여 남행산이라고도 하며 마을사람들은 아끼산, 아키산, 에께산, 엑끼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아끼산, 아키산, 에께산, 엑끼산 등과 유사한 명칭은 『경기지(京畿誌)』양주조에 화양사가 '악계산(嶽溪山)'에 있다고 설명한 데서 나타난다. 이 악계산은 아차산과 같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지금의 아차산 서쪽 봉우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차'와 '아단'의 뜻은 일반적으로 '작은' 또는 '아들'로 보고 있다.
::: 검암산,구릉산 :::
동구릉을 둘러싸고 있는 산을 말한다. 오늘날에는 동구릉이 있다 하여 일 반적으로 구릉산이라 부르지만 「건원릉비」에는 '검암산(儉巖山)'이라 표기되어 있다. 또 김정호가 지은 『대동지지』에는 '검암산(儉岩山)'이라 표기되어 있다. 소나무가 울창한 산의 색이 검어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주변 마을사람들은 금암산(錦岩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구릉산이라는 명칭은 아홉 개의 능이 모두 들어선 이후의 명칭으로, 오래된 것은 아니다.
천의 유래
::: 왕숙천, 왕산내 :::
왕숙천은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신입리에서 발원하여 구리시 북쪽으로 흘러 동쪽을 감싸고 돌아 한강으로 합류한다. 이 역시 태조 이성계와 관련된 일화를 가지고 있는데 즉, 태조가 묘자리를 구하러 와서 냇가에서 하룻밤 묵었다고 하여 '왕숙'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사료적인 근거는 없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왕숙천은 '풍양천(豊壤川)'으로 나타나 있다. 『경기지』양주조에는 왕숙탄(王宿灘)이라 표기되어 있다. 『대동지지』에는 '왕산천(王山川)'으로 표기되어 있다. 마을사람들은 대대로 왕산내로 부르고 있다.
고개의 유래
::: 망우리고개 :::
구리시와 서울특별시 경계에 있는 고개로 수도 서울의 동쪽 관문이다. 역사적인 일화에 의해 붙은 이름으로 조선 태조가 말년에 이 고개를 넘어 현 건원릉 자리에 자신이 묻힐 묘자리를 정하고 난 후 근심을 잊었다고 하여 붙여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세조실록』권31, 9년 12일 임인조와『세조실록』권41, 13년1일 기묘조에는 망올리(亡兀里·芒兀里)라 표기되어 있다. 따라서 태조 이성계와 관련된 망우(忘憂)의 유래는 후세인들이 지어낸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 숫돌고개 :::
두레물골 서쪽에서 갈매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이 고개 주위에서 숫돌이 난다고 하여 붙은 지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