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과 간지
천간은 하늘을 대표하니 동적이고, 지지는 땅을 대표하니 정적이다.
지지는 천간에 의해 쓰일 때를 기다린다. 천간은 오행이 한가지로 일정한데 비하여 지지는 지장간이 여러가지로 어떤 지장간은 복이 되고 어떤 지장간은 화가 되니, 천간과 지지는 이렇게 다른 점이 있다.
甲 일주에 酉의 정관을 쓰는데 庚과 辛을 만나면 곧 관살혼잡이 된다. 그러나 지지에 申酉가 있다면 관살혼잡으로 논하지 않는다.
申은 자기가 왕해지는 지지이니 辛이 申酉를 지지에 깔고 있으면 이것은 관리가 임명장을 가진 것과 같다.
천간에서 두개의 辛을 만나면 중관(重官)을 범한 것이 된다. 그러나 지지에서 두개의 酉를 만난 것은 하나의 부(府)에서 두 곳의 군(群)을 다스림과 같으니 중관으로 보지 않는다.
이때 丁이 투출하면 상관이 되지만, 지지의 午가 있는 것은 상관으로 논하지 않는다. 이는 丁은 동적이고 午는 정적인 까닭이다. 또한 午는 그 안에 丁火와 己土를 지니고 있는데, 己土가 財라서 정관을 생하는 점도 있다.
정관과 칠살은 형제지간이다. 申酉는 金의 뿌리이고 甲에게는 정관의 집이면서 동시에 칠살의 집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갑 일주에
庚辛이 모두 투출하면 관살혼잡이 되지만 지지에 申酉가 모두 있는 것은 관살혼잡으로 논하지 않는다. 辛이 두개 중첩해 있으면 중관이
되지만 酉가 두개 있으면 중관으로 논하지 않는다.
관살혼잡이 되어도 혼잡으로 논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관살혼잡을 꺼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인수로 화살(化殺)할 때는
관살혼잡을 꺼리지 않으며 재생관을 할 때는 관살혼잡을 꺼리며, 식신제살을 할 때는 원국에 관살이 혼잡해도 관이 많으면 살로 변하는
것과 같으므로 관살 혼잡을 꺼리지 않는다.
甲이 酉 정관을 쓰는데 정관은 지지에 감추어져 있고 재성이 천간에 투출하였다고 할 때, 천간에 甲乙이 있으면 군비쟁재가 되나 寅卯가 있으면 일주를 방신한다고 보는 것이지 군겁쟁재한다고 보지 않는다.
재성이 천간에 노출되면 천간의 비견과 겁재를 꺼리고 지지의 비견과 겁재는 꺼리지 않는다. 만약 원국에 관성이나 식상이 투출했다면 천간의 비견과 겁재를 제화(制化)하게 되니 탈재(奪財)를 꺼리지 않는다.
甲이 癸水 인수를 쓰는데 戊己土의 재성이 있으면 인수를 파괴한다. 그러나 지지의 辰戌丑未는 인수를 파괴하지 않는다. 여타의 경우도 이처럼 보기 바란다.
같은 지지라도 禍福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甲이 酉의 정관을 쓰는데 午가 있으면 상관이다. 寅이나 戌이 오면 합하여 火가 동하니 정관을 상하게 한다. 이와
반대로, 甲이 申月에 났다면 午가 제살하기에 부족한데 寅이나 戌이 있어 화국(火局)이 되면 火가 동하여 제살할 수 있다.
지지는 회국(會局)이 되면 동하니, 이것이 천간과 다른 점이다.
지지는 충해도 동하고 회해도 동한다. 동하면 화복이 드러난다.
甲이 酉의 정관을 쓰고 천간에 辛金이 투출했다면, 비록 지지에 午火가 있을지라도 단독으로 정관을 상하게 하기에는 역부족이나, 운에서 寅戌이 와서 火局이 되면 火가 동하여 정관을 상하게 할 수 있다.
甲이 申의 칠살을 격으로 하는데 천간에 庚이 투출하고 지지에 午가 있다면 제살하는 역량이 부족하다. 운에서 寅이나 戌이 와서 火가
회국(會局)하면 火가 동하여 능히 제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천간과 지지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이고, 만약 辛金이 천간에
투출하지 않고 酉와 午가 바짝 붙어 있다면 정관은 상하게 된다.
지지는 각자 자기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므로 동하지 않으면 힘을 드러내지 못한다. 이것은 천간이 동하는 속성이 있어서 역량을 드러내는 것과 다른 점이다.
아래에 몇가지 사주를 예로 드니, 운의 간지가 각각 다르게 작용함에 유의해야 한다.
四柱 十星 十神 12宮 神 殺
정해 비견 정관
을사 편인 겁재
정유 日干 편재
갑진 정인 상관
巳酉가 반합하여 재로 화하고 인성 甲乙이 천간에 투출했다. 재와 인수가 서로 장애가 되지 않는다. 辛丑 운에 酉의 辛金이
투출하는데 辛金은 유약한 金이므로 甲木을 상하지 못하고, 巳酉丑 金局이 되니 상국독변의 벼슬을 했다. 이것은 회국하여 동한
것으로, 동하면 화복이 드러난다. 庚운에 甲木을 극하고 乙木을 합거하니 두 개의 인성이 모두 사라져 암살당했다.
四柱 十星 十神 12宮 神 殺
무오 편관 정재
을묘 상관 상관
임자 日干 겁재
경자 편인 겁재
수목상관격이다. 水가 왕하여 木이 표류하니 戊土로 수를 막아야 나무가 살아난다. 칠살이 양인을 제압하는 용신이다. 午 대운에 子를
충하니, 한개의 충이 두개의 충을 불러 일으킨다. 희신이 기신을 충하여 이름을 날렸다. 己未 대운 己土운에 칠살을 도와 양인을
제압하여 좋았으나 未운에는 사주의 卯와 대운의 未가 卯未합하여 木으로 변하니 희신이 기신으로 변해 상관으로 변하여 칠살을 극하니
무술정변이 41세때 발발했다. 다행히 무술 년이니 죽지는 않고 도피할 수 있었다.
지지의 희신과 기신은 천간과 다름이 있다. 그러나 운에서 사주 지지의 지장간이 투출하게 되면 고요하게 쓰일때를 기다리던 지장간이 쓰임이 생기고, 그 희기가 영험함을 드러낸다.
甲이 酉官을 쓰는데 辰과 未가 있으면 곧 재가 되고 운에서 戊가 투출하면 재의 작용을 한다. 午와 未가 있는데 운에서 丁이 오면
상관으로 작용한다. 원국의 지지에 숨어져 있는 지장간은 한개가 아니다. 어떤 것은 희신이고 어떤 것은 기신인데, 천간에 투출하여
쓰일 때를 조용히 기다린다.
운에 의해서 지장간이 引出되면 그 쓸모가 비로소 드러난다. 원국의 午에 丁火와 己土가 숨어 있는데 운에서 己土가 오면 午의 지장간 己土가 인출되어 작용하니 관살이 양인을 제압하는 힘이 드러난다.
명과 운의 지지가 會局하는 경우에도 현저하게 작용한다.
예를 들면 甲이 酉月에 나서 정관을 쓰는데 원국에 午가 있고, 운에서 寅戌이 오면 상관의 작용이 현저하게 드러날 것이다.
행운에서 寅戌의 가합을 만나 회국하면 느리고 급하지 않다. 비록 격국의 성패와 고저가 팔자에서 이미 정해지고 명에 원래 있던 것과
없는 것은 차이가 있겠지만, 대운에서 10년 동안 오는 것도 역시 화복이 월령에 있음과 다름이 없으니, 운에서 투간하면 원국에
원래부터 있는 것과 큰 차이는 없다.
명과 운의 지지가 회국하면, 未는 火土의 운이지만 卯와 회국하여 木局으로 변하여 상관으로 되어 파격된다. 운을 보는 법이 그와 같은 것이다.
四柱 十星 十神 12宮 神 殺
정축 비견 식신
정미 비견 식신
정유 日干 편재
정미 비견 식신
癸 甲 乙 丙
卯 辰 巳 午
35 25 15 5
천원일기로 火가 왕하고 金이 있지만 식신이 재를 생하니 부격(富格)이다. 화가 왕하고 금이 쇠약하니 巳운에 巳酉丑 金局이 완전히
이루어져 가장 활동을 많이 했고 뜻을 이루었다. 나머지 운은 재산을 지키기 어려웠다. 卯운에 未와 회국하여 木의 기신이 투청하여
발동하므로 사망했다.
행운에서 투청하여 강해지거나 회합하는 것은 원국에서 그런 것과 큰 차이는 없다.
대운은 십년간 관할하니 그 운이 지나가면 다시 원래 사주의 상태로 돌아간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희신이든 기신이든 투청해져서 강력해지면 길흉의 작용이 현저하게 드러나고, 한신이라면 그 영향력이 경미하다.
팔자를 볼려면 반드시 천간과 지지를 모두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지지는 천간의 生地가 되고, 천간은 지지의 發用이 된다.
지지는 천간의 생지이고, 천간은 지지의 발용이라는 말은 실로 간명(看命)의 요지라고 하겠다. 지장간이 여러개 있지만 순서에 따라서 순환하는 것이다.
원국에 한개의 甲이라는 글자가 있다면 년월일시 네 지지에 견주어 보아서 寅亥卯未와 같은 글자가 있는지를 살핀다. 그 중에 어느 한 글자라도 있다면 甲木의 뿌리가 된다.
원국의 지지에 亥가 있다면 년월일시의 천간을 살펴서 壬이나 甲이 있는지를 본다. 壬이 있다면 亥는 壬의 녹(祿)이 되고, 壬水로써 쓰임새를 드러낸다.
甲이 있다면 亥는 甲의 장생지이니 甲으로써 亥의 쓰임새를 드러내게 된다. 壬甲이 모두 있다면 亥 하나가 두 천간의 녹이 되고 장생이 되는 것이고 甲壬 두 천간을 겸용하게 된다.
운을 보는 법도 같아서 원국의 팔자의 천간과 지지에 배합하여 따져보면 된다.
寅에는 甲丙戊 세가지 오행이 저장되어 있다. 甲은 당왕(當旺)한 기이고, 丙은 바야흐로 생하는 방생(方生)의 기이고, 戊는 火에
기생하는 기생(寄生)의 기이다. 순서를 보면, 甲이 우선이고 丙이 그 다음이며, 戊는 그 다음이 분명하다.
辰을 보면, 乙癸戊가 있는데 戊는 본기이고, 乙은 봄의 여기이고, 癸는 水의 묘(墓)가 된다. 戊가 우선이고 乙이 그 다음이며 癸가 그 다음이니 순서가 분명하다.
四柱 十星 十神 12宮 神 殺
갑인 편재 편재
병인 편관 편재
경인 日干 편재
무인 편인 편재
寅의 지장간 甲丙戊가 모두 천간에 투출했다. 그러나 지지에 寅이 가득하고 甲이 당왕하니, 종재격으로 재가 용신이다. 만약 지지에 寅午戌 火局이 되었다면 丙火가 용신이 된다.
四柱 十星 十神 12宮 神 殺
무진 편관 편관
갑인 식신 식신
임술 日干 편관
병오 편재정재
월지 寅의 지장간 甲丙戊가 모두 천간에 투출했다. 그런데 지지에 寅午戌 삼합하여 火局이 되니 종재격이 되어 丙火가 용신이 된다.
병용이라는 것은 하나는 용신이 되고 다른 하나는 희신이 됨을 뜻하는 것이다. 그런데 천간에 투출해도 쓰지 못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戊土 일주가 丑月에 나고 辛癸가 천간에 투출했다면, 조후상 辛癸를 쓰지 못하고 丙火를 용신으로 쓴다.
행운의 干支가 하나는 喜用神 하나는 忌神이면 10년중에서 吉凶이 반반씩이다. 천간은 비교적 보기쉬우나 地支는 보기 어렵다. 行運이
寅이라면 原柱에 甲이나 丙,혹 戊가 있으면 당연히 이 運을 살펴 어떤 干이 得氣하는가를 봐야한다. 다시 四柱 天干을 보아 甲이
있으면 이 寅運은 순수한 木이고 天干이 丙이라면 이 運은 대부분 火며, 天干이 戊라면 이運은 반이 土라 할수 있다. 나머지 地支도
이렇게 본다.
天干은 生剋을 보기 쉬우나 地支는 生剋외에 相沖, 相合, 相刑의 理致가 있어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대운과 유년을 볼 때
세운천간과 사주천간의 생극제화,지지의 형충회합에 대해 가장 조심해야 한다. 대운간지에 蓋頭, 截脚의 정형이 있기 때문이다.
개두(蓋頭) - 목운을 좋아하는데 대운간지에서 庚寅, 辛卯를 만나는 것. 火運을 좋아한다면 壬午, 癸巳를 만나는 것이다.
절각(截脚) - 木運을 좋아한다면 甲申, 乙酉를 만나는 것, 火運을 좋아한다면 丙子, 丁亥를 만나는 것이다.
개두운에서 지支運을 좋아한다면 吉凶이 감반되고, 절각運이 천干의 運을 좋아한다면 지支가 천干에 실리지 않으므로 10년이 좋지 않다.
예를들어 木運을 좋아하는데 庚寅, 辛卯를 만나면 庚辛金은 본래 凶하나 金은 寅卯에 絶이 되어 절지의 金이 되므로 그 흉이 반감된다.
原局에서 또 水와 火의 五行의 制化가 있다면 불흉하다.
寅卯운이 본래 길하다할 때 蓋頭에 庚辛金의 剋이 있면 비록 吉이 있을지라도 반감된다. 만약 원국의 지지에 申酉가 寅卯를 충하면
비단 길이 없을 뿐아니라 오히려 흉하다. 木運을 좋아하는데 甲申, 乙酉의 截脚運을 만나면 木은 申酉에 絶이 되므로 支에 干을 실을
수 없다. 고로 갑을운은 길이라 하나 길이없고 虛하다.
그러나 만약 原局 이나 太歲에서또 庚辛金이 甲乙木을 극하면 不吉하고 도리어 흉하다. 그래서 蓋頭, 截脚 때문에 운이 길을 만나도 길을 보지 못하고 운이 흉을 만나도 그 흉을 보지 않는 것은 모두 이런 것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