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상파 DMB 기술 동향
1. 개요
지상파 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는 차량용 소형TV, 노트북, PDA,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단말을 이용하여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고속 이동 중에도 동영상 및 CD 수준의 오디오,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의 안정적 수신이 가능한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으로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서비스 표준을 정하고 기술개발을 하여 상용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지상파 DMB는 ‘상대적으로 적은 투자’를 통하여, ‘이동 수신 성능이 탁월한 내 손안의 디지털 TV’를 실현하며, 통신ㆍ방송ㆍ융합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도될 플랫폼으로 여겨진다.
지상파 DMB는 비디오를 기반으로 한 상용 서비스의 준비를 거의 마치고, 상용화 서비스를 목전에 두고 있다. 한편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표준화와 기술개발이 완료된 부분도 많이 있으나, 계속 진행 중인 것도 상당수 있다.
본 고에서는 지상파 DMB의 표준화와 기술개발 등 전반적인 동향을 소개한다. 이를 위해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지상파 DMB 표준화 현황에 관하여 기술하고, 3장에서는 지상파 DMB 기술 규격을 간략히 소개한다. 4장에서는 지상파 DMB 기술개발 동향에 관하여 기술하고, 5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2. 지상파 DMB 표준화 동향
지상파 DMB 표준은 기본적으로 EUREKA-147 DAB라고 하는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규격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지상파 DMB 표준은 EUREKA-147 DAB에 더하여 MPEG-4 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격을 추가하였다. 또한 EUREKA-147 DAB의 데이터 방송 규격을 보완하고 추가하여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을 위한 일부 규격을 제정하였거나 제정 중에 있다.
제정이 완료되었거나 금년 내로 완료될 예정인 지상파 DMB 기술 규격은 아래와 같다.
- 무선설비 기술 기준
-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지상파 DMB) 송수신 정합 표준
-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지상파 DMB) 비디오 송수신 정합 표준
-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지상파 DMB) 데이터 송수신 정합 표준
* MOT 프로토콜 정합 표준
* 투명 데이터 채널(TDC) 정합 표준
* IP 데이터그램 터널링 정합 표준
*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MOT 슬라이드쇼 송수신 정합 표준
*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방송 웹 사이트 송수신 정합 표준(안)
*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XML 기반 전자 프로그램 안내 송수신 정합 표준(안)
*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음성 기반 전자 프로그램 안내 송수신 정합 표준(안)
*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양방향 서비스 송수신 정합 표준(안)
‘무선설비 기술 기준’은 정보통신부 통합 고시 내에 지상파 DMB를 위한 규정으로 삽입되어2003년 6월 고시되었다. 이 통합 고시에서 지상파 DMB 서비스는 오디오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등 크게 3종의 서비스로 구성된다. 각 서비스를 위한 상세 규정에 대해서는 각기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비디오 송수신 정합 표준,’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데이터 송수신 정합 표준’을 참조하도록 하고 있다.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은 유럽의 EUREKA-147을 기반으로 오디오 서비스 방식, 다중화 방식, 채널 부호화, 변조 방식 등을 규정하고 있는데, TTA의 단체 표준화 과정을 거쳐 2003년 10월 국내 표준으로 확정되었다. 이 표준에서 규정하는 오디오 서비스 방식은 지상파 DMB의 기본 오디오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서, MPEG 오디오 Layer II, 일명 MUSICAM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다.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비디오 송수신 정합 표준’은 지상파 DMB의 스트림 모드 데이터 전송로를 통한 오디오 비주얼(AV)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수신 정합 규격을 정의하고 있다. 이는 2004년 7월 국내 표준이 완료되었고, 2005년 7월 ETSI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데이터 송수신 정합 표준’에서는 EUREKA-147의 여러 가지 데이터 서비스 표준을 기반으로 기능을 추가한 데이터 송수신 정합 규격을 정의한다. 이 표준안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 ‘IP 터널링 송수신 정합 표준,’ ‘투명 데이터 채널(Transparent Data Channel: TDC) 송수신 정합 표준’ 등 세 가지 공통 규정을 직접 정의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MOT 슬라이드쇼 송수신 정합 표준,’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방송 웹 사이트 송수신 정합 표준(안),’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XML 기반 전자 프로그램 안내 송수신 정합 표준(안),’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음성 기반 전자 프로그램 안내 송수신 정합 표준(안),’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양방향 서비스 송수신 정합 표준(안)’ 등의 5개 표준안을 인용함으로써, 응용 서비스 송수신 정합 규격을 정의하고 있다.
‘MOT 프로토콜,’ ‘IP 터널링 송수신 정합 표준,’ ‘투명 데이터 채널 송수신 정합 표준,’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MOT 슬라이드쇼 송수신 정합 표준’은 TTA에서 2005년 7월 표준 제정이 완료된 상태이다. 한편,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방송 웹 사이트 송수신 정합 표준(안),’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XML 기반 전자 프로그램 안내 송수신 정합 표준(안),’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음성 기반 전자 프로그램 안내 송수신 정합 표준(안),’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양방향 서비스 송수신 정합 표준(안)’은 현재 TTA에서 마무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데 금년에는 완료될 예정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 외에 차세대 방송표준포럼에서 지상파 DMB 미들웨어, 지상파 DMB 제한수신, DMB 기반 교통 및 여행자 안내에 대해 표준안을 작성 중에 있다.
지상파 DMB 미들웨어 표준은 응용 프로그램 모델과 실행 환경, 자원충돌 해결 모델 등 미들웨어 규격을 정의함으로써 수신 플랫폼에 무관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응용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미들웨어 표준안 작성을 목적으로 차세대 방송표준포럼 DMB 미들웨어 애드혹 그룹에서 2003년부터 진행해 오고 있으며, 금년 내에 표준안 작성 및 표준검증을 마치어 TTA에 상정할 예정이다. TTA에서는 2006년 상반기에는 표준화를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상파 DMB 미들웨어는 국내 표준화를 위한 표준안 작성과 병행하여 국제 표준화를 위한 국제 표준(안) 작성이 WorldDAB 포럼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고 있다.
지상파 DMB 제한수신은 표준화는 인가된 수신자에게만 해당되는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시청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차세대 방송표준포럼 DMB 제한 수신 애드혹 그룹에서 표준안 작성을 하여 금년 9월 정도에 TTA에 상정하고, 2006년 상반기에는 TTA 단체 표준이 완료될 예정이다.
또한 TTA의 DMB 프로젝트 그룹에서는 지상파 DMB 기반 재난 방송 표준(안) 작성을 6월부터 시작하였으며 금년 내에 마치고 내년 상반기에 표준화를 완료할 예정이다.
3. 지상파 DMB 기술
여기서는 표준 제정이 완료되었거나 거의 완료단계에 있는 지상파 DMB 기술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한다.
가. 지상파 DMB 송수신 기술
지상파 DMB 송수신 규격은 Eureka-147 DAB 전송 규격을 사용하며, 전송모드 I을 사용한다. 다중경로에 강한 OFDM 전송 기술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뛰어난 이동 수신 성능을 나타낸다.
나. 지상파 DMB 비디오 송수신 기술
이 표준안은 일부 국제 표준들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국내 자체적으로 개발한 표준으로서, 동영상 압축을 위해 H.264/MPEG-4 Part 10 AVC(Advanced Video Coding) 베이스라인 프로파일(baseline profile) 레벨 1.3을 채택하였으며, 비디오에 부수된 오디오 압축을 위해 MPEG-4 Part 3에 포함된 BSAC(Bit-Sliced Arithmetic Coding) 방식을 채택하였다. 또한, 데이터 방송 기능을 위해 MPEG-4 Part 1 System에 포함되어 있는 BIFS(Binary Format for Scenes) Core2D 그래픽스 프로파일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AV 데이터를 다중화하기 위해 MPEG-4 SL (Sync Layer) 패킷화와 MPEG-2 TS(Transport Stream) 패킷화를 채택하였다. 또한, 비디오 서비스에 적합하도록 추가적인 채널 오류 대책을 제공하기 위해 리드 솔로몬 코드 RS(204, 188)과 길쌈 인터리빙 방식을 새로이 추가하였다.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은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에 의한 디지털라디오 방송 전송 메커니즘에 정의된 스트림 모드를 이용한다.
다. MOT 프로토콜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의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파일 형태의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객체에 대한 기본적인 표현 및 조작에 관한 규칙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 프로토콜이다.
MOT 프로토콜에는 MOT 디렉토리 모드가 있다. ‘디렉토리’ 포맷은 MOT 객체를 데이터 캐로셀로 방송하기 위한 관리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데이터 캐로셀은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특정 객체 집합을 애플리케이션 복호화기에 표현하도록 하는 전달 메커니즘으로, 캐로셀의 콘텐츠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전송한다.
라. 투명 데이터 채널(TDC)
스트림 기반의 응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스트림 형태의 데이터를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스트림모드, 패킷 모드 및 X-PAD(Extended Programme Associated Data) 채널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표준으로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송수신 정합 표준의 데이터 전송 메커니즘에 기초한다.
스트림 모드 서비스 요소에서, 서브 채널의 모든 데이터는 스트림의 일부로 가정된다. 이는 스트림 모드 서비스 요소에 의해 전송되는 투명 데이터 채널은 필수적으로 고정 비트율의 동기가 맞추어진 스트림임을 의미한다.
마.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그램 터널링(IP 터널링)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그램 터널링은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시스템의 패킷 모드 서비스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그램을 전송한다. IP 터널링은 단방향이며,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터널이라 함은 송신측의 패킷 모드 부호화기 입력단에서부터 수신측의 패킷 모드 복호화기 출력단까지를 의미한다.
IP 데이터그램은 패킷 모드 서비스 컴포넌트로 터널링되며 이는 패킷 모드 전송 단계상의 MSC 데이터 그룹 내에 IP 데이터그램이 캡슐화됨으로써 이루어진다. IP관점에서 보면 패킷 모드 서비스 컴포넌트는 인터넷 데이터 연결 계층과 같이 동작한다.
바. MOT 슬라이드쇼
슬라이드쇼라 함은 서비스 제공자가 그림, 사진 또는 텍스트 등의 정보를 순차적인 정지영상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MOT 슬라이드쇼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은 MOT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슬라이드쇼는 MSC 스트림 모드 오디오 서브 채널의 PAD부분이나 MSC 패킷 모드 데이터 서브 채널로 전송된다. 무선 방송 채널에서 발생하는 비트 오류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MOT 프로토콜이나 초단파 디지털라디오 방송 시스템 자체에서 제공되는 반복전송 방법을 적용하여 슬라이드를 재전송해야 한다. 또한 단말기에 따른 수신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수신 지연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미리 전송하고 TriggerTime 파라미터를 적당한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사. 방송 웹 사이트
방송 웹 사이트 서비스(Broadcast Website Service: BWS)란 멀티미디어 객체 전송(MO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된 웹 사이트에 관련된 모든 파일들을 수신기가 미리 수신하여 저장해 둠으로써 역방향 채널이 없더라도 인터넷 웹 서비스와 유사한 형태로 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서비스를 의미한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WWW(World Wide Web) 서비스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고, HTTP를 사용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각종 요구와 응답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동작된다. 따라서, TCP와 HTTP가 각각 연결 기반(connection-oriented), 요구 기반(request-response)의 프로토콜들이므로 WWW 서비스는 양방향성을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서비스로 볼 수 있다. 그러나, WWW 서비스의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전체 파일을 방송 채널을 통해 모두 송출하고 수신측에서 이를 모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 웹 서비스와 유사(web-like)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Eureka-147 기반의 BWS에 리턴 채널을 활용한 실질적인 양방향 방송 웹 사이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 등을 추가한 향상된 BWS 규격을 TTA DMB PG에서 작성 중에 있으며, 금년 내에 완료 예정이다.
4. 기술개발 동향
지상파 DMB 기술들을 개발해 오던 업체들은 지난 3월에 지상파 DMB 사업자가 선정된 이후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을 본격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상파 DMB 송수신 장비와 기술개발에 필요한 소자와 계측장비들에 대하여 올해 출시한 제품들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가. 송신 시스템
지상파 DMB 서비스에 필요한 기존의 DAB 방송장비 중에서 오디오 인코더와 다중화 시스템은 스웨덴의 팩텀, 영국의 레디오스케이프, 프랑스의 해리스 ITIS 등에서 개발하여 국내의 방송사나 단말기 개발업체에 납품하였으며,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변조기는 캐나다의 UBS와 독일의 로데슈바르츠가 개발하여 주로 납품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상파 DMB 방송장비 중에서 핵심장비인 비디오 인코더는 국내의 픽스트리와 온타임텍에서 2004년에 각각 ETRI 및 KBS와 공동개발하였으며, 이를 상용화에 성공하여 제품들을 출시하였다. 픽스트리는 (그림 1)과 같은 하드웨어 인코더(모델명: PixDMB-E100H)를 출시하였으며, 비주얼라디오 인코더(모델명: PixDMB-E100H)를 출시하였다. 비주얼 라디오란 지상파 DMB의 TV 채널에 적용된 비디오 압축 방식과 오디오 압축 방식을 활용하여 CD급 오디오 서비스는 물론 2초당 1커트씩 정지화상을 동시에 전송해 보는 즐거움까지 제공하는 신개념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온타임텍은 OTB-SEVA와 OTB-RES라는 모델의 하드웨어 인코더와 소프트웨어 인코더를 출시하였다.
나. 수신기
메이저급 휴대폰 제작회사들은 지상파 DMB 단말 중에서 가장 큰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DMB폰을 앞다투어 개발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DMB폰 개발을 성공하여 자사의 DMB폰을 국내외 전시회 등을 통하여 홍보해 왔으며, 팬택앤큐리텔도 DMB폰 개발을 완료하고 출시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LG전자는 자체 개발한 DMB수신 칩을 적용해 LG―LT1000이라는 모델의 DMB폰을 지난해 11월에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삼성전자는 SPH-B1200이라는 모델의 DMB폰을 개발하였다. 이 DMB폰은 지상파 DMB 수신 기능은 물론 메가픽셀 카메라, MP3플레이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추었으며, 별도의 TV 출력 단자를 내장하여 TV와 연결한 뒤 대형 TV화면으로 DMB 방송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삼성전자는 L―밴드 대역을 이용하는 L―밴드 DMB폰 개발에 성공하여 독일의 DMB사업자인 T― 시스템즈에 공급하기로 하였으며, 6월에 멕시코에서 개최한 DMB전시회에 시연하였다.
ETRI에서 조사한 수신기 선호도에서 휴대폰에 이어 2위인 DMB 노트북 시장에서도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앞다투어 제품을 개발하여 출시하였다. 삼성전자는 슬림형 서브노트북인 12.1인치 화면의 센스Q30에 지상파 DMB 수신 기능을 탑재하여 개발하였으며, LG전자는 14인치 화면의 X노트 LW40과 12.1인치 화면의 X노트 LW20에 지상파 DMB 수신 기능을 탑재하여 개발하였다.
엠브릿지는 노트북PC나 일반PC, PDA, PMP, MP3 플레이어, GPS 등 다양한 단말기에 연결하여 시청이 가능한 지상파 DMB 모듈을 개발하여 출시하였다. 초소형, 저전력, 초경량으로 만든 이 제품은 노트북PC에 클립 형태로 장착이 가능하고 안테나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광성전자에서도 크기가 17×17×2.4mm인 초소형 지상파 DMB RF 모듈(모델명: AeR-8)을 개발하였다. 이 RF 모듈은 MPEG 신호를 출력하므로 MPEG 디코더와 LCD를 연결하고, 수신 프로그램만 설치하면 지상파 DMB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다. 데스크탑 PC나 노트북PC에도 USB 인터페이스를 추가하면 DMB 수신기로 쓸 수 있으며, 소비전력이 200㎽ 이하의 저전력용으로 설계되어 PMP, MP3P 등 휴대형 DMB 수신기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광성전자는 RF 모듈과 베이스밴드 칩을 결합한 DMB NIM(Network Interface Module;모델명: AeB-7)도 함께 개발을 완료하여 8월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DMB폰과 DMB노트북을 개발하며 시장 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들은 전용 단말기나 PDA, PMP, 네비게이션 등과 결합된 형태의 단말기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퍼스널텔레콤은 5인치 크기의 LCD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DMR131과 DMR132라는 모델의 차량용 지상파 DMB수신기와 DR402라는 모델의 USB 인터페이스형 수신기를 출시하였다. DMR131은 지상파 DMB와 FM라디오 수신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으며, DMR132는 국내에서 서비스 중인 밴드 III (174 ~ 240MHz)는 물론 L-밴드(1452 ~ 1492MHz)의 지상파 DMB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DMR432V 라는 모델의 차량용 지상파 DMB 셋탑박스를 7월에 출시하였다. 이 셋탑박스는 기존의 일체형 수신기와 달리 LCD모니터나 TV수신기가 설치돼 있는 차량을 대상으로 한 제품으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무선 리모컨으로도 작동되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서비스와 사진, 만화 등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쇼, GPS 시스템과 연동한 여행자용 첨단 교통 정보 서비스 등의 차별화된 데이터 서비스가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제공될 예정이어서 향후에 지상파 DMB 데이터 서비스가 방송되더라도 별도의 단말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도록 개발되었다.
이미 퍼스널텔레콤을 비롯한 이트로닉스, 액세스텔레콤, 에스비텔콤, 이자브 등 중소업체들이 전용 단말기, 대우일렉트로닉스, 현대디지텍, 머큐리 등이 차량용 단말기, 싸이버뱅크, 엠앤비티 등이 PDA형 단말기를 개발 중이거나 개발을 검토 중이다. 또한, 가온미디어, 홈캐스트, 코원 시스템, 디지털큐브 등은 4인치 정도 크기의 LCD 디스플레이에 윈도CE, 고용량 하드디스크가 장착된 PMP와 네비게이션 겸용 지상파 DMB 단말을 개발 중이다.
다. 수신 칩
외국업체 중에는 RF 칩과 베이스밴드를 출시한 프런티어실리콘을 비롯해 텍사스인스트루먼츠(TI)와 아트멜이 베이스밴드 칩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특히 프런티어실리콘은 삼성전자가 출시한 DMB폰에 RF 칩과 베이스밴드 칩을 공급하였으며, 기존 칩보다 전력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여 100mW만으로 구동이 가능한 베이스밴드 칩(모델명: 키노1)을 개발하여 8월부터 양산에 들어갈 예정이며, RF칩도 업그레이드 버전인 ‘아폴로2’의 샘플을 9월에 내놓고, 12월부터 양산할 예정이다. 프런티어실리콘은 2007년까지 지상파 DMB와 DVB-H를 결합하고, 베이스밴드와 RF를 통합하면서도 전력 소모를 50mW 이하로 한 원 칩을 내놓을 계획이다.
인티그런트테크놀로지즈는 작년에 지상파 DMB RF 칩 샘플을 개발하여 단말기 제조업체에 제공 중이며, 아이앤씨테크놀로지는 RF 칩인 StarRFT200과 베이스밴드 칩인 StarDMB1000을 올해 3월에 선보였다. StarRFT200은 7mm×7mm 크기에 130mW 수준의 전력을 StarDMB1000은 8mm×8mm 크기에 60mW 전력을 소모함으로써 칩 사이즈를 줄이고 소비전력을 낮추었다. 아이앤씨테크놀로지는 RF와 베이스밴드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SoC(System on Chip)도 개발 중이다.
지난해 11월에 ETRI로부터 베이스밴드 칩 기술을 이전받아 상용품을 개발해 온 센트로닉스는 베이스밴드 칩을 출시하였다. 이 칩은 자동모드 감지 기능, 자동 프레임 및 시간 동기 기능, 고속 채널 재획득 기능 등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며, 오디오 디코더 기능도 내장되어 있어서 고품질의 라디오 수신이 가능하며, ADC 및 고용량의 메모리를 내장하여 부가적인 회로나 메모리가 필요 없는 것이 특징이다.
씨앤에스테크놀로지는 넵튠이라는 모델의 멀티미디어 칩을 올해 2월에 출시한 후 본격적으로 양산 중이며, 핸드폰 적용에 용이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개발 중이다. DMB 전용 칩인 넵튠은 CIF급 30프레임 동영상을 12.5MHz로 처리할 수 있어 범용 멀티미디어 칩에 비해 전력 소모가 20∼30분의 1 정도로 우수하며 멀티미디어 기능의 모든 것을 하드와이어드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지티전자, 대성엘텍, 네스티아전자, 사라콤, 아토웨이브, 디브이에스코리아 등 많은 업체에서 이 칩을 이용하여 지상파 DMB 수신기를 개발 중이며, 씨앤에스테크놀로지는 DMB 모듈업체인 프리샛코리아에도 많은 양의 칩을 공급 중이며, 현대자동차와 업무 제휴를 체결하여 연내 출시를 목표로 차량용 지상파 DMB 수신기 상용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라. 안테나
맥스웨이브, SB텔콤, 에이스테크놀로지 등 안테나 업체들은 휴대폰용, 차량용, PDA, PMP, USB형 등 다양한 용도의 안테나를 개발하고 있다. 지상파 DMB용 안테나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관건은 길이 축소이다.
현재 가장 작은 안테나는 에이스테크놀로지가 개발한 8cm 길이의 안테나이다. 이 제품은 액티브 소자를 사용해 신호를 증폭하는 기술을 통해 길이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수신율은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맥스웨이브는 USB형 수신기용으로 12.8cm의 안테나를 선보였다. 길이를 줄이는 대신 가상의 길이를 구현하는 기구적 기술을 응용해 안테나를 개발하였다. 또한, 맥스웨이브는 PCS 전파 수신과 지상파 DMB 수신 기능을 통합한 일체형 안테나도 개발하였다. SB텔콤도 USB형 수신기용으로 개발된 안테나를 출시하였다. 이 제품은 USB 내부에 안테나의 일부를 내장함으로써 외부로 드러나는 길이를 12.5cm까지 줄였다.
마. 시험 장비
디티브이인터랙티브는 DMB 개발자를 위한 다양한 시험장비들을 개발하였다. 즉, ETI 스트림 발생기, 앙상블 발생기, 스트림 분석 시스템, 방송국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비트 에러율(BER) 측정기 등을 개발하였다. 또한, 디티브이인터랙티브는 국내 최초로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 콘텐츠 검증 시스템을 6월에 출시하였다. 이 장비는 DMB 데이터 인코더(모델명: TDE1000), DMB 앙상블 다중화 및 발생기(모델명: EMX300D), DMB용 OFDM 변조기로 구성되어 있다. DMB용 온 에어 분석 시스템(모델명: TDM1000) 및 프로페셔널 수신기를 활용해 실제로 방송 웹 사이트 서비스(BWS), 슬라이드쇼(SLS), 다이나믹 레이블 서비스(DLS) 등의 DMB 데이터 방송 콘텐츠를 DMB 수신기와 동일한 환경에서 시험해 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미 작년에 지상파 DMB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MPEG-4 시스템 단계의 DMB 콘텐츠를 분석할 수 있는 지상파 DMB신호 분석기(모델명: TBSA-100DMB)를 출시한 참된 기술은 올해 4월에 지상파 DMB 스트림 전송 시스템(모델명:TBSG-100)을 출시하였다. TBSG-100은 개발자 테스트에 필요한 다양한 앙상블 및 MPEG-4 스트림을 제공하며 DAB/DMB 플레이, 레코딩 및 오토루프 기능을 지원한다.
테스콤은 지상파 DMB 앙상블 다중화기, OFDM 변조기, RF 상향 변환기, 오디오 분석기가 하나의 장비에 통합된 TC-2300A라는 모델의 DAB/DMB 테스터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TC-2300A는 밴드 II, III, L의 주파수 대역을 모두 지원하고 0dBm∼-120dBm의 출력과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RF 성능을 구현해 수신기를 개발하는 업체들에게 편리한 측정 환경을 제공한다.
DMB 앙상블 스트림 발생기 및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판 중인 에스엠씨앤에스는 올해 5월에 연구개발용 레퍼런스 수신기(모델명 DAB-Air)를 개발하여 시판 중이다. DAB-Air는 RF모니터링 기능, 앙상블, FIC, FIG 정보 및 MPEG2-TS/MPEG4 분석과 더불어 BER까지 분석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DMB 스트림 중 특정 서브 채널을 저장할 수 있어 개발/양산 라인의 지상파 DMB수신기 및 관련 장비의 서브 채널 저장값과 DAB-Air를 이용하여 저장한 결과값을 비교할 수 있어 레퍼런스 장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
알티캐스트는 지상파 DMB 데이터 서버 솔루션을 출시하였다. 이 솔루션은 데이터 송출 스케줄을 관리하는 알티콤포저(AltiComposer)와 이를 통해 준비된 서비스의 스케줄링과 송출을 담당하는 장비들을 제어하는 알티싱크로(AltiSynchro)로 구성되어 있다. 알티콤포저는 지상파 DMB 데이터 응용 서비스 규격인 웹 사이트, 슬라이드쇼, 다이나믹 레이블 서비스 제작 솔루션으로 각 서비스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시간 축상에 배치해 송출 스케줄을 지정할 수 있다. 알티싱크로는 정적인 데이터 외에 각종 실시간 정보를 수집해 방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데이터 에이전트 개념을 지원함으로써 어떠한 형태의 정보든 데이터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5. 맺음말
본 고에서는 지상파 DMB 표준화 진행 상황을 소개하고, 지상파 DMB의 규격을 간략하게 살펴보았으며, 현재 기술개발의 현황을 알아 보았다. 현재도 BWS, 전자 프로그램 안내, 양방향 서비스, 미들웨어, 제한수신, 교통 방송, 재난 방송 등 표준화가 진행 중인 것이 다수 있으며 기술개발 또한 병행하고 있다. 지상파 DMB는 매우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여 새로운 추가 규격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될 경우 기존 규격과 Backward Compatibility가 유지되는 선에서 앞으로 계속 업그레이드해 나갈 것이다. 또한 본 고에서는 지상파 DMB 상용화에 대비하여 최근에 출시한 송신 시스템과 수신기, 그리고 송수신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수신 칩, 수신 모듈과 계측 장비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상파 DMB는 현재 비디오를 기반으로 한 상용 서비스를 막 시작하려는 상태에 있다.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와 제품개발이 한창이고, 2006년에는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도 선보일 것이다.
<참 고 문 헌>
[1] 이진환, 함영권, 이수인 “국내 지상파 DMB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2004. 8.
[2] 전자신문사, www.etnews.co.kr
[3] 디지털타임즈, www.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