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혁명 후 대량 생산이 보편화 되면서 사람들의 생활상도 같이 변화했다. 산업의 성장과 함께 자연스럽게 가격 경쟁이 시작되며 소위 선진국들에 남아있던 큰 공장들을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싼 나라들로 옮겨갔다. 이는 가격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남아있는 규모가 작은 제조사의 가격 경쟁력은 점점 떨어지고 자국내 제조업, 생산업을 어렵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핀란드 역시 마찬가지이다. 핀란드 산 제품을 찾는 것이 아주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가격 경쟁에서는 여지없이 해외의 제품에 밀리기 일쑤이다. 더군다나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에서 제조업을 지속하고 있는 공장을 찾는 것도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대다수의 큰 공장들은 땅값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운송이 용이한 지방으로 옮겨가거나 수도권 변두리에 자리잡거나, 회사는 헬싱키에 두고 공장을 다른 나라에서 찾거나 이전하는 경우가 보편적이기 때문이다.
Made in Helsinki 1700-2012 전시장 (©Park Hyunsun, 2012-1-25)
이번 세계 디자인 수도 헬싱키의 해를 맞아 작년 2012년 6월에 마련되었던 전시 Made in Helsinki는 1700년대부터 2012년도까지 헬싱키에 존재했던 여러 제조회사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보며 헬싱키의 디자인 산업과 제조업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는 기회를 제공한다.
Made in Helsinki 1700-2012 전시는 1층과 2충에 나뉘어, 시대별로 제품군 별로 확인할 수 있게 꾸며져 있다.
은촛대 (©Park Hyunsun, 2012-1-25)
유럽인들에게 커피와 차 등의 새로운 음료가 소개된 것은 17세기 말이었고, 핀란드에는 스웨덴을 거쳐 18세기 초 무렵 들어왔다. 스웨덴에서 이 음료를 즐기는 데에 여러 규정을 만들기 시작했고 그러면서 주전자나 숟가락, 접시 등 커피나 차를 즐기기 위한 별도의 식기들이 제작되어 아무나 편히 즐길 수 없는 고가의 음료가 되어버렸다. 이러한 식기들은 헬싱키에서 18세기에 제작되기 시작했으며 18세기 말에 가장 번성하였다. 은촛대와 허리띠 장식 등이 인기있는 품목이었으며, 금보다는 주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은이 주 재료였다.
Helsingfors는 스웨덴어로 Helsinki를 가리키는 말이다. (©Park Hyunsun, 2012-1-25)
당시 피아노 제작가로 가장 유명했던 Granholm의 피아노 (©Park Hyunsun, 2012-1-25)
19세기 헬싱키에는 16명의 피아노 제작자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고 1900년도까지 핀란드에서는 총 2400여대의 피아노가 만들어졌으나 현재는 극히 일부만 전해지고 있다. 피아노는 상류층 자제들의 교육용으로 인기가 높았다. Granholm은 당시 가장 유명한 제작자였다.
Akseli Savolainen의 액자 공방 재현 (©Park Hyunsun, 2012-1-25)
과거 핀란드에는 제조업 별로 다양한 길드가 존재했었고 그 중 Akseli Savolainen이 헬싱키에 만들었던 액자 공방은 1911년에 세워져 약 100년 뒤인 2010년에 문을 닫았다.
왼편이 있는 의자가 그 당시 유행했던 영국풍의 의자이다 (©Park Hyunsun, 2012-1-25)
당시 목공 도구 (©Park Hyunsun, 2012-1-25)
19세기 중반에는 헬싱키에 몇몇 제법 규모가 큰 목공소들이 존재했다. 공공장소 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가구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창업률 또한 늘어나기도 했었지만 1920년도에 대부분의 공방을 헬싱키를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옮겨갔다. Josef Öhrnbeg는 1810년에서 1839년까지 헬싱키에서 목공소를 운영했는데 그는 핀란드에서 가장 처음으로 공인을 받은 목수였다.
당시 의상실의 의상들 (©Park Hyunsun, 2012-1-25)
헬싱키에서 제조된 모자 (©Park Hyunsun, 2012-1-25)
의상실(Dress Salon) 역시 중요한 제조 산업 중 하나였다. 상류층 여성들을 대상으로 번성했던 의상실은 19세기 중반에 처음 핀란드에 소개된 새로운 직종으로 주로 봄과 가을에 새로운 시즌 콜렉션을 선보이기 위해 쇼윈도를 꾸미거나 작은 패션쇼를 열기도 했다. 의상실이 헬싱키에서 가장 번성했던 시기는 19세기 말부터 1950년대까지이다. 1970년대 이후에는 헬싱키에 아주 소수의 의상실만이 남았고 현재는 전통적인 방식 그대로 옷을 제단하고 만드는 가게가 남아있지 않다. 당시 가장 인기가 있었던 의상실은 Marussa Brunow의 Ika라는 살롱과 Ada Svebsson의 Salon Domina(1925-1957)였다. 또한 Bertha Puisto는 아이들의 털모자를 만들며 인기를 끌기 시작해 1962년에서 1974년까지 Atelier Bertha Puisto를 운영하였다.
제조사 Salin에서 제작된 각종 부자재 (©Park Hyunsun, 2012-1-25)
제조사 Salin에서 제작된 각종 부자재 (©Park Hyunsun, 2012-1-25)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빠른 경제 성장과 더불어 일반 가정의 실내 장식 제품에 대한 관심이 부쩍 증가하면서 커튼, 침대보, 식탁보 등을 장식하기 위한 각종 장식 끈, 술, 단추 등의 부자제 제조가 중요한 산업이 되었다. 1891년 Salin이라는 회사가 헬싱키에 부자재를 제조하는 공장을 짓고 핀란드에서 가장 큰 부자제 제조 공장으로 자리매김하다 1989년도에 문을 닫았다. 전성기 시절 헬싱키에 공장과 더불어 도매상점, 사무실, 고객 상담실 등을 갖춘 큰 회사였다.
1930년대에 만들어진 Sun Bed, 병원에서 사용되었다. (©Park Hyunsun, 2012-1-25)
1940년대에 가장 큰 철제 가구 회사 Merivaara의 병원 침대 (©Park Hyunsun, 2012-1-25)
19세기 말에 철제 가구가 처음으로 소개되었는데 위생적 측면이 부각되며 공공장소에 쓰이는 가구로 인기를 누리기 시작했다. 영국으로부터 기술이 건너와 1891년 헬싱키에 첫 철제 가구 공장이 생겨 1930년도에 급성장을 이뤘다. 1940년대에는 헬싱키에 총 4개의 침대 회사가 있었는데 Merivaara는 그 중 가장 큰 회사 중 하나였다. 주로 병원, 군대, 호텔, 식당 등에서 사용되었고 그 뒤에 가정으로 넘어갔다.
당신의 간판 (©Park Hyunsun, 2012-1-25)
과거 광고는 간판장이의 몫이었다. 1907년 헬싱키의 첫 공식 간판 그림 회사인 Hirvikallio가 문을 열었고, 1930년에는 처음으로 전구를 이용한 간판이 제작되었다. 이 회사는 한 집안의 형제들이 합심하여 만든 회사로 이 중 몇몇은 당시의 헬싱키 미술대(Aalto Univeristy school of Arts, Design and Architecture)에서 그림을 공부하기도 했다. 1950년대에 들어서며 광고 기획사와 간판 제작 회사의 업무가 실질적으로 나뉘게 되었고 3년 뒤인 1953년 Hirvikallio는 문을 닫았다.
OPA(원래는 Peltiteos였다) 주전자 상자 (©Park Hyunsun, 2012-1-25)
1923년에는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다양한 철제로 생활용품을 만드는 회사가 등장했다. 대표적인 회사는 OPA로 다양한 가정용 식기, 주전자, 팬, 냄비 등을 제작하였으며 현재도 그 사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1959년에는 헬싱키를 벗어나 다른 도시로 이사했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된 과거 제조사들은 다양한 이유로 몇몇을 제외하고는 모두 시간 속으로 사라졌다. 헬싱키에서 현재 공장을 운영하며 회사를 경영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젊은이들이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작은 규모의 스튜디오나 공방을 운영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Hakasalmi Villa, 헬싱키 시립 박물관 (©Park Hyunsun, 2012-1-25)
이 전시가 열리고 있는 장소는 Hakasalmi Villa로 헬싱키 시립 박물관 중 하나이다. 헬싱키 시립박물관 전시들은 모두 무료로 관람이 제공된다. 이 건물 당시 행정장관을 위해 1843년 지어진 주택이었는데 1896년 헬싱키 시 소유가 되었으며 1911년부터 헬싱키 시립 박물관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관련 웹사이트 링크
전시 장소: Hakasalmi Villa, Mannerheimintie 13 B, 00100 Helsinki, Finland (지도 링크)
전시 일자: 2013년 9월 1일까지, 매주 수~일 오전 11시~오후 5시, 목 오전 11시-오후 7시
무료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