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지난 주 영작해설과 이번주 영작문제를 보내드립니다.
영작해설 뒷부분에는 심두선님의 영작이 있습니다.
영작게시판에 꼬리글로 올려 주시거나 저에게 영작내용을 보내주시면 제가 게시하겠습니다.
한번 영작을 해 보고 나서 해설을 보면 이해도 및 활용도가 올라갑니다.
아래의 내용은 이번 주 영작문제입니다.
[문제] 경찰은 강도사건에 사용된 도난차량의 행방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것을 호소했다.
아래의 내용은 지난 주 영작해설입니다.
오늘도 지난 주 영작 분석 후 오늘의 영작을 합니다. 오늘 영어분석은 좀 까다로우니, 파일을 잘 들으면서 보셔야 이해가 쉬우리라 생각합니다.
[문제]경제가 계속 성장할 것이라는 확신감이 없다. / (지금) 나는 인생을 즐기는데 쓰기보다는 저축과 보험에 돈이 필요하다는 느낌이 든다.
I don't feel confident / {the economy will
S,주 V구, 주 a. C, 주 S, 주
continue to grow.} I feel {like I need
V구, 주 명사구, 주, O S,주 V,주 접속사 S V
money} [for saving and insurance] rather
O 전치사 동명사 명사 [ ], [ ]병렬
than [for spending and enjoying life].
전치사 동명사 동명사
*첫 번째 문장은 S, V, C (형용사로써 혼자 쓰였으니)로써 2형식인데요, 우린 feel(본동사) 이 2형식 동사임을 이미 알기에 보어로써 형용사가 와야 됨을 알지요.
*첫 번째 문장에서 동사가 둘인 것은 confident 와 the economy 사이에 that 생략된 것.
*the economy 와 to grow가 같지 않으므로, 목적어.
*continue 동사는 목적으로 to부정사와 동명사 둘 다를 받을 수 있어요.
즉, the economy will continue to grow 는 3형식문장.
*그런데, I don't feel confident. 라는 완전한 2형식 문장 뒤에 어떻게 다른 문장(명사절)이 올 수 있을까요? 이유는 원래가 feel/be confident of ~ (~에 대해서 확신을 갖다)라는 것이지요. 그런데, of 가없어진 이유는 접속사 that앞에 전치사가 올 수 없기 때문이지요.
*that 절을 부사절로 보자는 학자들도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like는 원래 형용사출신이 지요. eg. Like father, like son. (부전자전) 하지만, 요즘 like 는 전치사 또는 접속사이지 요. 마찬가지로 전치사 during 도 원래는 분사 구문 출신이지요.
*이제 두 번째 문장을 알아보기로 합니다. feel 이 2형식동사이므로 { } 는 명사절 혹은 형용사 절이 되어야함이지요. 그런데 I와 like이하가 같지 않으므로 명사절은 아니지요. 그 러므로 형용사가 되어야하지요. 그런데, feel 을 수식하는 부사절로 보면 안 될까요? like 를 형용사로 보고, like라는 형용사는 뒤에 S, V를 받을 수 있는 특수한 성질이 있다고 본다면 해결이 되지요.
*fell like, sound like, look like, smell like, taste like 는 모두 같은 계통이지요.
결론적으로 like로 시작하는 형용사절은 보어로 가능하다! 용법이 문법을 따라가니까. ^^
*'~에 필요하다'라는 동사, need, necessary 다음엔 전치사 ‘for'
*I feel like _ing: ~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need for~, necessary for~ ~하는데 필요하다에서 for 는 동사에 따른 것.
*I'm sure of his success.
of his success 는 부사구로써 형용사 sure 수식.
*I'm afraid that ~
eg. I'm afraid (that) we can't come this evening after all.
I'm sure that ~
eg. I'm sure (that) I left my keys on the table.
Make sure/certain that ~
eg. Make certain (that) we have enough drink for the party.
[문제]이 계획이 올바르게 되어가기 보다는 잘못될 수 있는 길이 더 많다. 우리는 너무나 많은 계획들이 실패하는 것을 보았기에 이 계획에 믿음을 가질 수 없다.
첫 번째 문장의 동사 ‘더 많다’를 ‘많이 있다’로 합니다. ‘있다’는 것은 be동사. be 동사를 씀에 있어 명사가 한정명사냐, 부정명사냐에 따라 달라짐을 배운 바 있지요.
즉, There is a book on the desk.
There are some books on the desk.
There are a lot of books on the desk.
하지만, my라던지, this, that처럼 한정된 명사는 There ~ 구문을 쓰지 않습니다. My book is on the desk. (o), There is my book on the desk. (x)
한 가지 예를 더 들면 오늘 지각한 학생이 많아요.
There are a lot of late students today.
*길이 더 많다: There are more ways.
*첫 문장은 ways 를 수식하는 절(형용사절)을 만듭니다.
i)to~ ii)of _ing iii)접속사 + S + V
*형용사 절 만들기!
S: 이 계획 : This plan
V: 잘못될 수 있다 - 가정법 이용 (즉, 단정의 can 보다는 could)
could go wrong
[ ways를 넣어 말을 만듭니다 ]-꾸며주는 말을 넣어 말을 만듭니다.
eg. [내가 어제 만난]외국인은 미국인이였다.
The foreigner was American.
나는 어제 그 외국인을 만났다.
I met the foreigner yesterday.
whom - wh가 선행함으로 whom I met yesterday
-The foreigner whom I met yesterday was American.
This plan could go wrong in ways (in은 명사 ways에 따른 전치사)
There are more ways in which this plan could go wrong.
= that (관계부사)
여러 예문을 만들어 이해 해보기로 합니다.
[겉장이 빨간] 책은 내 것이다. - 책의 겉장이 빨갛다.
The book is mine. The cover of the book is red.
-The book of which the cover is red is mine.
of which 대신에 whose를 쓴다면:
-The book whose cover is red is mine.
[저기 파란지붕이 보이는] 집이 나의 삼촌집이다.
-저기 그 집의 파란지붕이 보인다.
-The blue roof of the house is seen over there.
The house of which the blue roof is seen over there is my uncle's.
The house the blue roof of which is seen over there is my uncle's
The house whose blue roof is seen over there is my uncle's.
[그 병이 퍼져나간] 범위가 엄청 넓다. - 병이 그 범위로 퍼져나갔다.
-The disease spread to the extent
The extent to which the disease spread was quite large.
*extent 나 degree 는 전치사 ‘to'
There are more ways in which this plan could go wrong than go right.
*go는 2형식 V, wrong는 a.
*일반적으로 좋은 쪽은 come, 나쁜 쪽은 go.
go wrong, come right
eg. go blind
come true
come of age (Coming-of-Age Day: 성년의 날)
*보았다. - 우리말의 과거시제이지만, 내용으로 봐서 과거 + 현재.
We have seen too many plans fail to have faith in this plan.
*many 와 much 는 의문문과 부정문에만 쓰임은 지난 시간에 배웠지요.
*most / some / none / enough of + 핵심한정사+ 명사
most of the students in this class - 한정된(정해진) 곳에서 대다수.
most students - 일반론 (이때의 most는 형용사)
이제 오늘의 영작을 모아보기로 합니다.
There are more ways in which this plan could go wrong than go right. We have seen too many plans fail to have faith in this plan.
문장을 보심 바로 눈에 띄는 것이 plan이란 단어의 중복입니다. 그럼 영어다운 문장으로 만들어 보기로 합니다. 첫 번째 plan 은 생략해도 의미가 통하므로 생략, 마지막의 plan은 one으로 대체합니다.
There are more ways in which this could go wrong than go right. We have seen too many plans fail to have faith in this one.
심두선님의 영작입니다.
Dear Mr. Lee,
I find this week’s quiz quite interesting. I want to take a moment to give a couple of tips our club members may find useful along with my translations.
[문제] 이 계획이 올바르게 되어가기보다는 잘못될 수 있는 길이 더 많다. 우리는 너무나 많은 계획들이 실패하는 것을 보았기에 이 계획에 믿음을 가질 수 없다.
(1) There are (many) more ways for this plan to go wrong than there are for it to
go right. We've seen too many plans fail to have faith in this one.
(2) There are more ways that this plan can fail than work out. We've seen too many plans go wrong to have faith in this one.
(3) This plan is more likely to go wrong than right. We’ve seen so many plans
end in failure that it’s hard to believe this one will work.
This plan vs. these plans
The singular "this plan" is preferred in this case as the sentence is
discussing a specific and known plan.
The plural "plans" generally refer to a set of plans with multiple
objectives, to some sort of plan in general (often unknown to the speaker),
or to an expected set of activities. For example:
Do you have plans for this weekend? (expected set of activities, scheduled
activities)
We have no plans to take this project into China. (some sort of plan in
general, unknown because plans have not been made)
What plans did you make for expanding the company? (some sort of plan in
general, unknown to the speaker)
This presentation explains our plans for expanding into software. (a set of
plans)
The singular "plan" is used for smaller or restricted plans, particularly
when there is only one objective, or for a specific plan. It is also used
to refer to a solution to a problem. For example:
She carefully executed her plan and became a successful business owner.
(specific plan, also a restricted plan with one objective)
I have a plan that will solve our problem. (a solution)
See too many plans “fail” vs. “failing”…
Hear, see, watch, notice and similar verbs of perception can be followed by object + bare infinitive or object + present participle. A bare infinitive means the complete action, but the participle means action for a period of time, whether or not we see the whole action. For example:
“I saw him change the wheel” means that I saw the whole action.
“I saw him changing the wheel” could mean that I watched the whole action or that I saw only part of it. (The action in the present participle may be either complete or incomplete.)
“I saw her cry for a few minutes” means that I saw the whole event from beginning to end.
“I saw her crying when I went by her desk” means that she cried throughout the time it took me to go by her desk. She was crying before I arrived and after I departed.
The participle is the more generally useful as it can express both complete and incomplete actions. But the infinitive is useful when we want to emphasize that the action is complete. It is also neater than the participle when there is a succession of actions:
I saw him enter the room, unlock a drawer, take out a document, photograph it and put it back.
In the context at hand, the speaker is expressing disappointment over the frustration of many of their previous plans. The verb “see” here means “to experience” and it seems logical for it to take an infinitive as a complement.
Sincerely,
Doosun Sim
기분 꿀꿀하냐고요?
집에서 멀지않는 별로 크지않는 동네슈퍼에 갔다.
풀밭인 밥상에 단고기라도 좀 보충할까 싶어서리.
편한 옷차림에 편한 신발 신고
슬슬 놀이삼아 갔지.
약간 보슬비가 내렸는데 우산을 쓰니 기분이 딱이었다.
고기사고 뭐사고 무겁지않는 몇가지를 사서
마악 슈퍼앞을 나올때였다.
바로 슈펴 문앞에 있든 은색 아반떼가 내가 걸음을
땜과 동시에 출발을 할려고 시동을 걸었다.
난 차 세워져있는걸 봤으니 당연히 멈춰있는걸로 알았고
그래서 건넌다고 발을 옮겼는데
그순간 차가 움직였다가 얼른 스톱을 했다.
그냥 바로 내 옆에서 차 범프와 맞대일듯말듯 였는데
속력이 없었으니 좀 놀랬다뿐이지 별건 아니었다.
근데 문제는 다음였다.
열려있는 차문에서 들려오는말.
"에잇 쓰팔. 눈은 어디다두고 다니는거얏"
젊은 남자의 욕지꺼리가 들려오는데
첨엔 그소리가 나보고 하는 소리가 아닌줄 알았다.
왜냐믄 그 상황에선 손이라도 흔들면서 죄송탄 말을
하고 지나가야했기 때문에....
눈꼼만치의 예모라도 있는 사람이면 당연이 그래야했다.
그긴 사람들이 오가는곳이라 주차할 장소가 아니었다.
얼른 옆. 앞을 둘러봐도 바로 나밖에 없었는데
이런 이런...
그럼 저 소릴 나한테 한거구나.
열이 팍 올랐다.
아니...내가 저 젊은넘한테 욕먹을 군번인가?
나이가 훈장은 아니고
잘못했다면 당연하게 내가 먼저 사과를 해야겠지만
이건 아니다.
저런 잉간은 그냥 넘어간다믄 또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리라.
그래서 차가 못지나가게 그 자리에 가만히 서있었다.
팍 꼴셔보면서...
나?
나이가 있느니만치 왠만하믄 좋은건 좋다고 걍 넘어가는
성질이다.
이해심이 많아서 글타기보담은 각박한 세상살이에
그저 서로 부딫치지말고 살자는 온건론자라서....
근데 이건 아니다.
그려. 너 나를 건드렸쓰.
아직 내 성질 모르는 모양인데 어디 함보자.
비키라고 빵빵거린다.
하루종일 빵방거려봐라. 아님 나를 넘어가든지...
운전하는 젊은넘이 씩씩거리며 내렸다.
"아줌마 머하는거요? 비키지않고"
이건 뭐 적반하장도 유분수네.
목소리 착 깔았다
"자네 좀전에 뭐라고 했지? 눈 어디다 두냐고?
자네 모친한테도 그따위 소릴 하는가?"
요럴 때 흥분하고 음성 높이면 2등이다.
아주 낮게 낮게....잘났어.ㅎㅎㅎ
"내가 먼 욕을 했다고 그래요....아줌마한테 그런게 아닌데"
첨엔 큰소리 치드니 내 가라앉은 음성에 겁먹었나?
뒷소리는 걍 궁시렁 수준이다.
얼굴을 쳐다봤드니 아이구 이 잉간봐라
불그레하니 100세주 두어잔은 마신 얼굴인데...
이걸 콱 신고하고 음주측정을 해? 말어?
"나 아님 여기 누구 있었어? 내가 여기
누우면 자네 어떻게 되는줄 알지? 함 누워볼까?"
그때 마악 슈퍼에서 비닐에 든 물건을 들고
어떤 새댁이 뛰어나온다.
"자기야 왜 그래? 빨리 들어가"
그리곤 얼른 내앞에 와서
180도 깍듯하게 고개를 숙인다.
"아줌마 죄송해요. 정말 죄송해요
제가 사과드릴께요"
상황파악을 했는지 무조건 사과를 하고선
남편인 그 젊은 사람을 두들기며 얼른 차속으로
밀어넣는다.
새댁이 깍듯이 거의 애원수준으로 비는데
난들 뭐라고 할수있나?
"아니 대낮부터 술먹고...정말 댁들 오늘 운수대통한줄
알아요. 참나. 욕먹고 내가 이거 뭔짓이람"
"그러게요. 죄송해요. 제가 따끔하게 이야기할께요"
결국 난 칼 빼들었다가 무 토막도 못 짜르고
싱겁게 끝났고 그녀는 차를 운전하고 떠났다.
떠나고 난뒤에 어쨌냐고요?
당연하게 욕했죠.
"@#$%& 너 오늘 운 좋았쓰. $%^&*"
뭔욕인줄은 상상만 하시라.
아마 혈기 팔팔한 울 아들넘이 그 자리에 같이 있었다면
오늘 한판 붙어서 누가 유치장을 가도 갔을끼구먼요.ㅎㅎㅎ
기분 꿀꿀하냐고요?
아깐 더럽드만 요거 쓰면서 다 풀렸네요.
역시 글 쓰는건 사람 맘을 정화시키기도 합니다.
아..인제 밥 묵어야지....하하
오늘도 끝까지 즐거운 하루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