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에 효능에 대해서>
최근에 건강식품으로 가장 인기가 있는 것 중의 하나이며, 외식점에 가면, 풀과 같이 끈적끈적한 것으로 음식을 먹기 전에 제일 먼저 나오는 것이 마이다.
마는 덩이줄기의 끈적끈적함이 옛날 사람들에게 신비스럽게 여겨졌는지, 생명력의 강함과 더불어 精力을 만드는 대표적인 식품으로 여겨졌다. 한방에서 마의 덩이줄기의 껍질을 벗겨서 건조한 것을 山藥이라고 하며, 虛熱을 식혀주는 가장 좋은 약물로서 脾胃虛弱, 식욕부진, 신체피로에 효과가 있다. 또한 자양(滋養), 강장제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노인들에게 많이 이용되는 팔미환(八味丸)의 필수약이다. 덩어리로 된 괴경(塊莖)의 생뿌리는 식용으로 하고, 건조시킨 것은 산약이라 하여 한방에서는 자양 강장 강정제로 보약에 배합된다.
또 요통, 건위, 동상, 화상, 유종, 양모, 갑선선종, 심장염, 유정(遺精), 대하증, 설사, 유뇨증(遺尿症)에 대단히 유효한 생약이다.
山藥은 2천년전의 중국 최고의 약물 서적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체력을 도우고, 寒熱을 제거하고, 병을 물리치고, 눈과 귀를 밝게 하며, 몸을 가볍게 하고, 장수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동의보감에는 "허로(虛勞)와 신을 보하고 오장을 튼튼하게 하며, 기력을 돋우고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하며, 위장을 잘 다스려 설사를 멎게 하고 정신을 편안하게 한다" 고 씌여져 있다. 마에는 끈적끈적함에 해당하는 뮤친, 다량의 소화효소, 아르기닌 등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아르기닌은 건강한 정자(精子)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아미노산으로 정자의 전체 아미노산의 60%를 차지한다. 그러므로 마가 강정(强精) 식품이라고 여겨지는 원인은 여기에 있다고 생각된다.
참마는 뼈와 살을 튼튼하게 하고 정력을 강하게 하며 오래 먹으면 귀와 눈이 밝아지고 장수하게 하는 보약재로 이름이 높다. 야생 참마는 쪄서 잘 말리면 흑갈색으로 굳어 돌같이 단단하고 아린 맛이 난다. 그러나 재배마는 뿌리가 굵고 몽톡하지만 야생 참마는 뿌리가 가늘며 길다. 참마는 소화불량이나 위장장애. 당뇨병. 기침. 폐 질환 등에 효과가 좋다. 참마에는 비타민B.B2.C.사포닌 등이 들어있다. 참마에 들어있는 끈적끈적한 점액질은 무친으로 단백질의 흡수를 돕는 물질이다. 참마에는 소화효소인 디아스타제가 들어있기 때문에 먹은 음식을3-4배 가량 빨리 소화시킨다. 그러므로 소화불량이나 위가 약한 사람에게 좋으며 장 속에 세균의 활동을 왕성하게 하므로 만성장염 치료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 당뇨병의 혈당을 낮추는 데에도 효과가 있고 가래를 없애고 염증을 없애며 정신을 맑게 하는 작용도 있다.
참마는 날것으로 먹거나 생즙을내서 먹을 수 있지만 쪄서먹기도 하고 말려서 가루 내어 먹기도 한다. 참마는 재배한 것은 약효가 없으므로 자연산을 써야한다.
**차잎 마찜
재료 :차잎 1큰술, 마 400g, 소금 2 작은술, (다진파, 다진마늘 1큰술)
만들기 :
① 마늘 껍질을 벗겨 강판에 곱게 갈아 소금을 조금 친다.
② 파, 마늘, 차잎은 곱게 다져 갈아 놓은 마즙에 넣고 고루 섞어 1인분씩 그릇에 담아 중탕으로 찐다.
※ 마는 강장 식품으로 소화불량에 좋은 식품이다.
**달걀 산마즙 재료:산마 200g, 달걀 1개, 김 1장, 간장(또는 소금) 약간, 무순 약간, 식촛물(물 1컵, 식초 1큰술)
① 산마는 껍질을 말끔하게 벗긴 뒤 식촛물에 담가 떫은 맛을 우려낸다. ② 식촛물에 담가둔 마를 건져 마른 수건으로 싸서 물기를 닦은 뒤 강판이나 분마기에 간다. 갈면서 달걀 흰자와 소금을 적당히 넣어 젓가락으로 고루 섞는다. ③ 그릇에 1인분씩 덜어 담고 가운데 달걀 노른자를 올린 뒤 무순을 올린다. 간은 소금이나 간장으로 하고, 김을 구워서 잘게 찢거나 가늘게 채썰어서 올려도 좋다.
▶ 마 마는 강정식품인데 당뇨, 숙취 해소, 천식, 여성의 냉대하 등에 특효가 있으며 보혈강장제로 남자의 스태미나식으로도 좋다. 생으로 갈아 즙을 먹으면 구토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1. 山藥酒(산약주)~참마의 뿌리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산약(참마)~반근, 설탕이나 또는 꿀, 소주~2되
-제조방법: 생산약을 말린 것을 잘 게 썰어, 설탕이나 꿀에 재어서 항아리에 넣고 술을 부어 밀봉한 후에 30여일 이상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또는 식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40~50cc씩 복용한다.
-효능: 설탕을 넣지 않고 꿀에 넣으면 당뇨병에 최고 약주이다. 또 기력을 보하고, 피를 생기게 하며, 체력을 증강시키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조루증과 유정에 좋고 여자의 대하증에도 효험이 있다.
당뇨병에 매우 좋고 위장병, 기관지, 해수, 천식에도 좋다.
2. 산약차
-효능:기침, 천식, 식은땀, 숨가쁨을 치료하고 허약 체질을 개선시킨다.
-끓이는 법: 재료- 산약 60g(또는 참마 120g), 물 600ml
① 생 참마는 즙을 내고 산약으로 끓일 경우 썰어 사용한다.
② 차관에 재료를 넣고 살짝 달인 후 천천히 조금씩 마신다.
3.마조림
-마 500g, 식초약간, 다시마국물 2컵, 설탕 1/2큰술, 마림 1큰술, 국간장 1작은술
① 마를 10㎝ 길이로 썰어 껍질을 벗기고 다시 세로로 썰어서 식초를 넣은 물에 5분간 담가 둔다.
② 마의 물기를 없애고 냄비에 다시마 국물과 양념을 넣은 다음 마를 넣는다.
③ 마가 부드러워질 때까지 졸인다.
4. 마스프
- 마 200g, 달걀 1개, 식초 약간, 파 약간, 게통조림 작은 것 1/2통, 녹말가루 1큰술, 소금1 작은술, 튀김가루 약간, 스프 가루 1큰술, 간장 2작은술, 소금 1/4작은술
① 마는 껍질을 벗기고 식초를 넣은 물에 담갔다가 강판에 간 후 여기에 파는 잘게 썰 고 게살은 찢어 놓고 달걀, 녹말가루, 소금을 넣고 젓는다. 다음에 이것을 튀김기름 에 노릇노릇할 정도로 튀긴다.
② 스프 가루와 간장과 소금을 물 4컵에 넣고 끓인다.
③ 끓인 것을 그릇에 담겨 있는 튀김에 붓고 썬 실파를 뿌린 후에 먹는다.
5. 마이크라 샐러드
-마 300g, 식초 약간, 이크라(연어알 젓) 3큰술, 술 2작은술, 와사비드레싱, 갠 와사비 2큰
술, 소금 1/3작은술, 국간장 1큰술, 식초 3큰술, 샐러드기름 6큰술
① 마를 5㎝ 길이로 잘라서 가늘게 썰고 식초를 탄 물에 잠깐 넣었다가 물기를 없앤다.
② 이크라에는 술을 뿌려 놓는다. 드레싱재료를 섞는다.
③ 마와 이크라를 그릇에 담고 드레싱을 끼얹는다.
6. 마젤리
-마 200g, 은행 20알, 막대한천 1/2개, 육안육 20개, 꿀 4큰술, 물 2컵
① 마를 깨끗이 씻어 껍질을 벗기고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찜통에 찐 다음 분마기에 넣고 곱게 간다.
② 막대한천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불린 다음 냄비에 넣고 2컵의 물을 부어 중불에서 끓 인다.
③ 끓인 한천에 마와 꿀을 넣어 충분히 끓여 굳기 시작하면 은행알을 얹고 용안육 시럽을 끼얹는다.
7. 마즙
-효 능 : 숙취를 푸는데 좋다.
-마 500g, 식초 약간, 다시마국물 2컵, 간장 1큰술, 미림 1큰술
① 다시마국물, 간장, 미림, 소금을 그릇에 넣고 끓여서 식힌다.
② 마는 껍질을 벗겨서 식초를 탄 물에 5∼6분간 넣었다가 강판에 간 후에 여기에 달걀을 풀어 넣는다.
③ 여기에 식혀 둔 국물을 넣으면서 섞고 송송 썬실파와 김가루를 뿌린다.
-마 60g, 물 1/2큽, 달걀 1개, 레몬, 마늘 조금씩
① 마를 부드러운 솔로 살살 문질러 씻은 다음 강판에 갈고 마늘도 강판에 간다.
② 잘 갈아진 마에 물과 레몬즙을 넣어 섞는다.
③ 섞은 마즙에 마늘즙을 넣고 그대로 마시거나 밥에 끼얹어 먹는다.
8. 마잡곡죽
-효 능 : 소화기능이 약하여 자주 설사를 하거나 식욕이 없고, 피곤한 사람에게 좋다.
- 마 100g, 율무 40g, 파 약간, 팥 1/4컵, 콩 1/4컵, 현미 85g, 닭 1마리, 다진 파 약간, 미나리 약간, 후추 가루 약간, 소금 약간.
① 율무, 팥, 콩, 현미는 깨끗이 씻어 하룻밤 정도 물에 불리고 마는 껍질째 구워 잘게 썬다.
② 닭은 푹 고아 익힌 뒤 뼈를 발라내고 살은 잘게 찢어 놓는다. 국물은 거즈에 걸러 육수를 받아둔다.
③ 닭 육수에 불린 재료들을 넣어 10분 정도 끓여 간을 맞춰 닭살을 얹는다.
9. 마튀김
-효 능:기침과 가래로 고생하는 노인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에게도 튀김으로 만들어 먹이면 좋다.
-마 300g, 녹말가루 1큰술, 밀가루 1큰술, 튀김기름 적당, 엿물, 설탕 1/2컵, 식물성기름 1큰술, 물 1/4컵, 한약재(오미자 10g, 은행 15개), 소금 적당량
① 마의 껍질을 벗기고 세모 모양으로 썰어 물에 한번 헹구고 물기를 없앤다.
② 닦아 둔 마에 녹말가루와 밀가루를 넣고 골고루 묻힌 다음 튀김기름에 2번 튀겨낸다.
③ 엿물을 만드는데 설탕과 기름과 물을 냄비에 넣고 약한 불에서 젓지 않고 끓여 설탕이 완전히 녹아 끈적끈적해지게 한다.
④ 튀겨낸 마는 엿물에 고루 뒤적여 골고루 묻으면 얼음물에 재빨리 담갔다가 건져 접시에 담고 살짝 볶아 은행과 미리 물에 달궈 둔 오미자를 얹는다.
10. 마구이
-효 능: 전신쇠약, 피부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야뇨증, 당뇨 및 지사제로도 효용이 있다.
-마, 참기름, 소금
① 마는 껍질을 벗겨 길이 5㎝, 두께 5㎝ 정도로 썰어 석쇠에서 노릇노릇하게 굽는다.
② 참기름에 고운 소금을 넣어 만든 기름소금에 찍어 먹는다.
11. 마전
-마, 고사리, 숙주나물, 미나리, 다진 파, 다진 마늘, 소금, 참기름, 양념장(진간장, 참기름)
① 마는 30분 정도 물에 담가 아린 맛을 뺀 뒤 껍질을 벗겨서 강판에 곱게 간다.
② 숙주나물, 미나리, 고사리는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숙주나물은 물기를 꼭 짜고 미나리, 고사리는 3㎝ 길이로 썬다.
③ 갈아둔 마즙에 소금을 조금 치고 준비한 야채를 넣고 고루 섞는다.
④ 팬에 참기름을 둘러 뜨거워지면 반죽을 얇게 놓아 노릇하게 부친다.
⑤ 먹을 때 양념장을 곁들여 낸다.
12. 마찜
- 마, 표고버섯, 소금, 다진 파, 다진 마늘
① 마는 껍질을 벗겨 강판에 곱게 갈아 소금을 조금 친다.
② 대파, 마늘, 표고버섯을 곱게 다져 갈아놓은 마즙에 넣고 고루 섞어 1인분씩 적당히 그릇에 담아 중탕으로 찌거나 오븐에서 굽는다.
13. 마꽃떡
- 마 가루 500g, 쌀가루 500g, 호박가루 약간, 쑥 가루 약간, 홍색식용색소, 참기름, 팥, 깨
① 쌀가루와 마 가루를 혼합하고 3등분하여 호박가루, 쑥 가루를 섞어 익반죽한다.
② 반죽에 깨나 팥소를 넣고 색의 조화를 살려 꽃모양, 나뭇잎모양으로 빚어 찜통에 찐다.
③ 물 한컵에 참기름 한스푼을 넣어 쪄낸 떡을 담구었다가 건져낸다.
14. 마매작과
- 마가루 2컵, 오미자물, 솔잎물
① 마가루, 마가루+오미자물, 마가루+솔잎물을 각각 반죽하여 얇게 밀어 모양을 낸다.
② 시럽을 준비한다.
③ ①을 깨끗이 튀긴 다음 준비한 시럽에 묻힌다.
15. 마약과
- 마가루, 밀가루 각 2컵, 생강 3큰술, 식용유, 막걸리, 참기름 각1컵, 소금, 잣, 시럽(조청 600g,설탕1/2컵)
① 마 가루와 밀가루를 혼합하여 체에 내린 후 참기름을 넣고 비빈 다음 다시 체에 내린다.
② 생강을 갈아 막걸리와 함께 ①에 넣고 고루 반죽을 한다.
③ 약과 틀에 박아내어 뒷면에 대꼬치로 구멍을 낸다.
④ 160℃의 기름에서 갈색이 나게 서서히 튀겨 시럽에 적셔 잣가루를 뿌린다.
16. 민간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 생즙에 설탕을 넣어서 복용하면 피로회복 및 숙취에 효과가 있다.
- 동상, 화상, 젖아리는데에 생 뿌리를 빻아서 붙인다.
- 마를 삶아서 소금과 같이 먹으면 설사가 멈춘다.
- 말린 마를 적당량 준비하여 반으로 나눈 뒤에 반은 불에 노랗게 볶고 반은 그대로 가루 내어 잘 섞어 하루에 두 번, 아침 저녁에 한 숟가락씩 백비탕에 먹는데 장복하면 근치가 된다. 가 정에서 이렇게 준비해 두면 여러 곳에 쓸 수가 있다. 당뇨병 환자들에게 꼭 권하는 바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