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시스템(1) 컨트롤타워
우리 모두가 처할 수 있는 응급상황, 함께 생각해 봅시다
#응급의료시스템
#컨트롤타워
김민건(2)군은 지난달 30일
전북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 한 건널목에서 외할머니, 누나와 함께 길을 건너다 후진하던 견인차량에 치였다. 급히 전북대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수술실이 없어 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옮겨야 하는 상황이었다. 병원을 수소문하다 7시간여 만에
아주대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치료시기를 놓친 김군은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교통사고를 당한 두 살배기 아이가 치료받을 곳을 찾지 못해 끝내 숨지자 보건복지부가 초강수를 꺼내 들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6일과 7일
치료 책임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전남대, 을지대(권역외상센터), 전북대병원(권역응급센터)에서
현지조사를 마치고 사유가 적절한지 등을 따진 보건당국은 20일 중앙응급의료위원회를 열어 센터지정 취소
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의료계는 2012년부터 세워진 권역외상센터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정착하는 과정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외상센터가 2012년에
도입었지만 직원을 채용하고 의료기기를 완전히 갖춰 실제로 운영을 시작한 시기는 2014년으로 봐야 하며, 외국에서도 응급의료체계가 자리잡는데 10년이 넘게 걸리는데,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고 센터지정 취소를 거론하는 것은 당황스럽다는 반응이다.
정부가 수천억원의 응급의료기금을 지원해 외상진료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데 사업자체를 문제 있다고 보기에 이른 감이
있지 않나? 그리고 응급센터와 외상센터가 제대로 정착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김군의 전원과정을 살펴보면 현재 국내 응급의료시스템은 외상센터와 응급센터를 총괄 관리할 컨트롤타워가 없다고 한다. 전국에는 22개 권역응급의료센터와
9개 권역외상센터(15개 외상센터 중 현재 운영센터 수)가
운영되고 있다.
전북대병원 의료진은 김군의 전원을 결정하고 중앙응급의료센터를 통해 병원을 수소문했지만,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관리하는 지역은 서울, 경기, 대구, 경북 등 4곳에
한정되어 있고, 중앙응급의료센터는 4개 지역병원에서 상황실로
환자이송 요청을 하면 환자상태에 가장 알맞은 병원을 찾아 안내해 주는 업무를 하고 있다.
하지만 4곳을 제외한 지역에서 발생한 환자는 해당 지역병원이 자체적으로
이송할 병원을 수소문해야 한다. 더구나 전문의 1명과 간호사, 응급요원으로 구성된 상담요원 2명이 한 달에 130∼160건의 전원 요청을 받는다. 전원 업무를 보는 곳이 부족할
뿐 아니라 밀어닥치는 많은 업무를 맡기에 인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는 2005년부터 센터가 환자 전원업무를
맡아 사업을 확장하고 있지만, 아직 모든 중증외상환자를 맡기에 부족함이 있다며, 현재 인력과 개소 수를 늘리는 방법 등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해당 병원의 지정이 취소된다면 피해를 보는 쪽은 병원이 아니라 각 지역의 환자들일 것이다.
http://navinlab.modoo.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