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 기능 (Executive Function)
¤ 집행기능
- 집행 기능의 정의
*집행 기능이란 다른 인지적 기능들을 통제하는 심리적 기능으로, 계획하고 행동의 개시와 종료,
추상적&개념적 사고, 행동 규칙 습득, 부적절한 행동의 통제, 적절한 감각 정보의 선택 등을 모
두 포함한다.
*다소 추상적인 성격을 띄므로, 통상적인 심리 측정 도구로는 집행기능을 평가하기 어렵다.
- 전두엽과 집행 기능
*전두엽과 집행기능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어 왔음.
*두 가지 측면에서 이에 대한 재논의가 필요.
+전두엽은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피질 및 피질하 영역(기저핵, 변연계,
소뇌 등)과 끊임없이 정보를 주고 받는다는 점.
+대개의 경우 전두엽 손상이 집행기능 장애를 초래하지만, 전두엽 이외의 영역 손상으로도 집
행기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 집행 기능에 대한 논의의 한계
*집행 기능에 대한 논의는 기억이나 지각 등 다른 심리 기능과는 달리 장애의 성격 규명 단
계에 머물고 있고, 집행 기능 이상의 원인에 대한 모델들도, 순환적이며 제한적이다.
¤ 집행기능 장애의 유형
- 행동통제의 장애(행동의 개시와 유지, 중지에 대한 통제 장애)
*특징
+적절한 행동을 개시하지 못함. 심리적 무력감
+어떤 행동을 한 번 시작하면 중단하거나 궤도를 수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음.
(ex.디자인 기억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보속적 반응.)
+환경의존성 증후(환경 단서에 의해 특정 반응이 시도 때도 없이 유발되는것. 자극주도적 행동.
혹은 도구화(utilisation)행동.)
- 추상적, 개념적 사고의 장애
*특징
+융통성 없고 고착된 사고 패턴(WCST 를 통해 확인.)
+상황에 맞게 행동을 수정하고 유연하게 사고하는 능력이 결여됨.(Nelson. 1976)
- 목표 지향적 행동의 장애
*순차적 계획
+일련의 하위 단계를 순서대로 밟아야 하는 과제를 특히 어려워 함.
+순차적 계획과 기억, 자기감시, 최종 목표의 유지에 대한 결함 때문으로 추정.
+전두엽 손상 환자들의 재인검사 수행은 정상인과 유사하지만 순서검사 수행은 정상인보다 떨
어지며 비교적 최근에 발생한 사건들을 서로 구분하지 못함.(Milner. 1982)
+전두엽 손상 환자들은 순서를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행동에 목표가 없고, 아무런 방략
을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임. (Shallice. 1982)
*자기 감시
+신경심리학에서 자기 감시란 스스로 자문할 수 있는 반성적인 능력.
+사례 보고와 실험결과 모두, 전두엽 손상 환자들의 자기 감시 기능이 취약함을 입증.
+전두엽 손상 환자들은 실제 생활 속에서 목표 지향적 행동에 큰 어려움을 겪음.
¤ 뇌와 집행 기능
- 기억장애
*작업 기억과 집행 기능 장애
+전두엽의 배외측 전전두피질(DLPFC)은 새로운 정보, 혹은 뇌의 후측에서 인출된 정보를 온라
인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단기적인 정보 처리를 가능하게 함.
+작업 기억의 손상은 목표지향적 행동을 어렵게 만들며, 보속성과 자극 주도적 행동을 설명해
줄 수 있다.
*시간 기억과 출처 기억과 집행 기능 장애
+순서 기억의 결함은 전두엽 #46의 손상과 관련되며, 이곳은 작업 기억의 중앙집행 요소를 관
장하기도 한다. (DLPFC)
+출처 기억의 결함 역시 전두엽의 기능에 의존. Janowsky et al.(1989)의 실험 결과 전두엽 손
상 환자들은 기억 정확률 자체는 정상인 만큼 좋았지만, 그 사실을 언제 어떤 경로로 알게 되
었는지에 대해서는 수많은 오답을 보임.
- 억제와 주의
* 전두엽의 억제 기제 관여
+Knight & Grabowecky(1995)의 ERP연구로 전두엽 손상 환자들이 적절한 우의 억제 기제를
작동하지 못함을 발견.
+억제 실패를 통해 기억 결함의 일부도 설명 가능 : 작업기억 과제에서 좋은 수행을 보이기 위
해서는 방해 자극의 간섭을 최대한 피해야 하며, 억제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음.
+억제 실패는 보속성에 대한 설명도 제공하며, Stroop과제에서 전두엽 손상환자의 심한 간섭
효과도 설명 가능.
+억제 처리의 실패는 도구화된 행동(L'hermitte)도 설명 가능. Gage의 '탈억제'적인 성격 변화
는 전두엽의 억제 기제 관여의 중요한 증거. 특히 이와같은 사회적 능력의 상실은 안와-내측
전두엽과 변연계간의 연결 손상에서 기인하는것으로 추정.(이 연결이 상실되면 전두엽은 변
연계에서 이루어지는 정서적 처리 정보를 더 이상 받지 못하게 됨.)
- 주의감독 체계(Supervisory attentional system)
*Norman & Shallice(1986)의 모형
+목표 지향적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
+목표 달성은 여러 개의 하위 목표를 순차적으로 완수할 때 가능.
+반응 선택에는 경쟁이 수반. 주체는 여러 가지 행동과 반응에 대한 기억들 중, 부적절한 행동
을 억제하고 필요한 행동을 실행시켜야 함.
+Norman & Shallice는 이와 같은 기억 표상을 도식 통제 단위(Schema control unit)이라 부름.
+전체 행동 가운데 일부요소들이 상호 억제적으로 작용하며, 이와 같은 수동적인 조직화 과정
을 갈등조절이라고 함. 그러나 이와 같은 수동적 조직 과정은 필요에 따라 주의 감독 체계의
통제를 받기도 한다.
*SAS가 갈등 조절 작용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할 경우
+행동의 유연성을 잃고 자극에 휘둘림
+보속성이 나타나고 목표 지향적 행동에 방해를 받음.
- SAS와 전측 대상회
*SAS의 해부학적 기초
+전측 대상회의 관련성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들이 제시.
*SAS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상황
1)새롭거나 유연한 반응이 요구될 때
2)과잉학습된 (그러나 상황에 맞지 않는)반응을 무시해야 할 때
3)상당한 위험 가능성이 있을 때
2)신중한 계획이 필요할 때
3)의사 결정을 내려야 할 때
*다양한 집행 기능에 관여하는 전두엽 영역들
-배외측 전전두 영역 : 작업기억, 시간적인 순서와 출처 기억, 행동 계획과 개념 형성.
-내측 전두엽 : 변연계와의 직접 연결을 통해 지각 표상에 정서적 색채를 부여함.
-전측 대상회 : 외부 사건이나 내부에서 만들어진 생각/계획에 주의를 집중시키거나 감시하며
적합한 반응을 선택함.
-안와 영역 : 특히 사회적 맥락에서 부적절한 반응을 억제하고 사회적으로 무기력한 행동이 나
타나지 않게 방지함.
¤ 집행기능 장애와 정신 장애
-전두엽 절제술의 유행과 쇠퇴
*역사
+Egas Moniz(1930)에 처음 소개.
+영장류 실험에서 전두엽 절제 결과 침팬치들의 공격성 완화에 성공
+Freeman에 의해 개량된 방법으로 심한 정신병 환자들에게 수술이 행해짐
+정신분열증 치료제들이 개발되면서 더 이상 시행되지 않음.
+현재는, 약물 치료의 효과가 없는 심한 강박장애나 우울증 환자의 경우에 한정하여 전두엽과
선조체를 연결하는 회로만을 절단.
*문제점
+공격적이고 난폭했던 환자들이 온순해지고 우울과 불안 증세도 완화 되었지만, 심한 무력감을
보였으며, 일부 정신분열증에 대해서는 오히려 증세 악화를 불러옴. 광범위한 정신과 질환을
대상으로 단일한 방법으로 접근, 임상적 평가도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음.
출처: https://ambosmundos.tistory.com/169 [Ambos Mundos]
첫댓글 http://blog.naver.com/lpko222/221419145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