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노벨상 시상식 수상 소감
제가 8살이었던 날을 기억합니다. 오후에 주판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갑자기 하늘에서 비가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그 비는 너무 세차게 쏟아져서 20명 정도의 아이들이 건물 처마 밑에 모여 웅크리고 있었습니다. 길 건너편에 비슷한 건물이 있었는데, 그 처마 밑에 또 다른 작은 무리가 보였다. 마치 거울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빗줄기가 쏟아지고, 팔과 다리가 차가워지는 것을 느끼면서 저는 갑자기 깨달았습니다. 저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한 이 모든 사람들, 그리고 길 건너편에서 비를 피하는 사람들, 모두 저마다의 권리를 가진 ‘나’로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저와 마찬가지로, 그들 모두 각자가 이 비를 보고 있었습니다. 제 얼굴에 맺힌 물방울을, 그들도 느끼고 있었습니다. 수많은 1인칭 시점을 경험하며 경이로움을 느낀 순간이었습니다.
책을 읽고 쓴 시간을 되돌아보면, 저는 이 경이로운 순간을 몇 번이고 되새겼습니다. 언어의 실타래를 따라 마음 깊은 곳으로 들어가 다른 사람의 내면과 마주했습니다. 가장 중요하고 가장 시급한 질문을 실타래에 맡기고 다른 자아에게 보내는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태어난 이유, 고통과 사랑이 존재하는 이유를 어렸을 때부터 알고 싶었습니다. 이러한 질문은 수천 년 동안 문학에서 제기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세상에 잠시 머무는 우리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무슨 일이 있어도 인간으로 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요?
가장 어두운 밤에도, 언어는 우리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묻고, 이 행성에 사는 생명체의 관점에서 상상하기를 고집합니다. 언어를 다루는 문학 작품은 필연적으로 일종의 체온을 갖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필연적으로, 문학 작품을 읽고 쓰는 행위는 생명을 파괴하는 모든 행위에 반대하는 일입니다. 이 문학상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첫댓글 노벨 강연에서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라는 대목에서 전율을 느꼈습니다. 정말 영혼을 울리는 표현이라 생각돼요.
저 역시 너무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우리 한국에서 노벨문학상이라니 너무나 자랑스러운 일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