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개운명리학당 원문보기 글쓴이: 명신(命新)
(여) 51세 / 음력 1961 . 9 . 25 | |||||||||||||||||||||||||||
신강 / 길신[수/목], 흉신[토/금], 한신[화] 장사 운? (대전) / 남편 명퇴 후 사업실패 | |||||||||||||||||||||||||||
시 |
일 |
월 |
년 | ||||||||||||||||||||||||
乙 |
庚 |
戊 |
辛 | ||||||||||||||||||||||||
酉 |
子 |
戌 |
丑 | ||||||||||||||||||||||||
대운수 | |||||||||||||||||||||||||||
|
(남) 39세/ 음력 1973 . 3 . 22 / 미혼 | |||||||||||||||||||||||||||
신강 / 길신[목/수], 흉신[금/토], 한신[화] 32세 직장 나온 후 어려움에 직면 사업운? 결혼운?, 팔방미인, 호탕, 인터넷 물건매매 | |||||||||||||||||||||||||||
시 |
일 |
월 |
년 | ||||||||||||||||||||||||
辛 |
庚 |
丙 |
癸 | ||||||||||||||||||||||||
巳 |
寅 |
辰 |
丑 | ||||||||||||||||||||||||
대운수 | |||||||||||||||||||||||||||
|
(남) 22세 / 양력 1989 . 5 . 20 | |||||||||||||||||||||||||||
신강 / 길신[목/수], 흉신[금/토], 한신[화] 현재 공익근무/ 적성, 진로? 정치, 군인, 외교관, 법관, 경찰 / 차갑고, 살벌, 자존심 | |||||||||||||||||||||||||||
시 |
일 |
월 |
년 | ||||||||||||||||||||||||
甲 |
庚 |
己 |
己 | ||||||||||||||||||||||||
申 |
辰 |
巳 |
巳 | ||||||||||||||||||||||||
대운수 | |||||||||||||||||||||||||||
|
(남) 이름 : 이주일(정주일) / 63세 사망 | |||||||||||||||||||||
1940년 10월 24일 오시 생 /2002년 8월 27일 사망 | |||||||||||||||||||||
신강 / 길신[토/화], 흉신[목/수], 한신[금] 25세 연예계/무명시절/35세 못생겨서 죄송합니다.. BBS한국중앙연맹부총재/연예인협회 연기분과 명예위원장/ 진대운 14대국회의원/ 임오년 무신월 을해일 [계사]대운[임오년] 사주원국 午午 /폐암(경금 녹아) | |||||||||||||||||||||
시 |
일 |
월 |
년 | ||||||||||||||||||
壬 |
庚 |
丁 |
庚 | ||||||||||||||||||
午 |
午 |
亥 |
辰 | ||||||||||||||||||
|
(여) 45세 / 음력 1967 . 3 . 17 | ||||||||||||||||||||||||
신강 / 길신[화/목], 흉신[수/금], 한신[토] 금융사기/ 신축년 음력 12월 구속 수감 | ||||||||||||||||||||||||
시 |
일 |
월 |
년 | |||||||||||||||||||||
乙 |
庚 |
甲 |
丁 | |||||||||||||||||||||
酉 |
申 |
辰 |
未 | |||||||||||||||||||||
대운수 | ||||||||||||||||||||||||
|
(여) 35세 /음력 1975 . 9 . 27 | |||||||||||||||||||||||||||
신강 / 길신[목/수], 흉신[금/토], 한신[화] 직장을 계속 옮김/ 화장품 코너 판매 매니저 선호 | |||||||||||||||||||||||||||
시 |
일 |
월 |
년 | ||||||||||||||||||||||||
甲 |
庚 |
丙 |
乙 | ||||||||||||||||||||||||
申 |
戌 |
戌 |
卯 | ||||||||||||||||||||||||
대운수 | |||||||||||||||||||||||||||
|
제2교시 : 사주와 질병
1. 질병은 기(氣)의 부조화(不調和)에서 온다.
동양철학에서는 이 세상을 음양오행의 기(氣)되었다고 본다.
이때 오행(五行)이란 5가지 기운(氣運)으로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말한다. 이 오행(五行)이 불화(不和)하거나, 또는 오행(五行)이 지나치게 많거나 부족한 것이 있으면 이 부조화된 기운으로 여러 가지 몸과 마음에 질병을 가져온다.
2. 사주와 질병
◇ 사주를 보고 지병(持病)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 지병(持病)은 어떠한 오행이 태왕하거나 태부족하면 항상 몸속에 병이 숨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지병(持病)은 대운이나 세운 또는 월운이 사주와 충(沖)
할 때 발병하는 것이다,
● 기신(忌神)이 용신(用神)을 충(沖)하더라도 실제 병은 그 사람의 사주에서
가장 약한 오행 또는 가장 강한 오행에서 발병한다.
예를 들면 기신인 오(午火)가 금(申金)을 극하더라도 폐와 대장이 아닌
평소에 약하거나 많이 않던 지병이 발병하게 된다.
[4] 대장, 폐장 질병(金氣)
(1) 음금(陰金) 폐장과 양금(陽金) 대장
◇ 폐장은 金氣에 해당하며, 사주팔자에서 辛金과 酉金으로 음토(陰金)이다.
◇ 대장은 金氣에 해당하며, 사주팔자에서 庚金과 申金으로 양토(陽金)이다.
(2) 金氣(대장/폐장)의 강약과 질병
◇ 사주팔자에서 辛金과 酉金이 강하면 폐장이 크고 실하지만, 기세(氣勢)가
약하면 폐장이 작고 기력(氣力)이 약하여 金氣가 약화되는 운에서 폐장에
병을 얻는다.
◇ 사주팔자에서 庚金과 辛金이 강하면 대장이 크고 실하지만, 기세(氣勢)가
약하면 대장이 작고 기력(氣力)이 약하여 土氣가 약화되는 운에서 대장에
병을 얻는다.
◇ 金氣가 강하면 반드시 木氣가 약화되어서 간장과 담장에 병이 오게 된다.
이때는 火氣의 운이 와서 金氣를 제압해 주거나, 水氣의 운이 와서 강한
金氣를 설기(泄氣)시켜서 木氣를 생조해 주어야만 간과 담에 병이 오지
않는다.
◇ 사주에 土가 없고 金기와 火기만 있다면 火와 金이 서로 싸우게 되어
폐장, 대장과 심장, 소장이 함께 상하게 된다.
◇ 金氣가 약하다면 土운과 金운이 와야만 폐장, 대장이 건강해지지만, 火와 木 운이 오면 金이 극을 받아서 폐장, 비장의 병이 심해진다.
(3) 사주와 건강
(사례1) 사주와 건강 : 금기가 강한 경우
신강사주 ◇ 1919년 8월 02일 묘시(남) / 55세 사망 (계축=73년) 남, 순5운 / 길신 : 수, 목 / 흉신 : 토, 금 / 한신: 화 | |||||||||||||
음양 |
시 |
일 |
월 |
년 |
7운 |
6운 |
5운 |
4운 |
3운 |
2운 |
1운 |
입운 |
대운 |
|
|
|
|
|
|
55 |
45 |
35 |
25 |
15 |
5 |
|
나이 |
천간 |
丁 |
庚 |
癸 |
己 |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
천간 |
지지 |
卯 |
辰 |
酉 |
未 |
|
묘 |
진 |
사 |
오 |
미 |
신 |
|
지지 |
◇ 庚금이 酉금 월에 태어나고, 토가 강해 신강하다. : 금이 태왕하여 폐장과 대장이 크고 실하다. 반면 간장과 담은 약한 구조를 가진다.
◇ 임신[1운]까지 가난한 집안에 자라나고, 어린 시절 소아미비를 앓는다.
신미[2운]병을 방치 불치병으로 됨
기사[4운]지지 巳와 원국지지 酉, 辰, 巳와 合작용으로 기신 金기운이 강화로
단에 이상에 생겨 죽음직전에 이른다.
정묘[5운] 계축 세운에 대운 세운이 천극, 지극하고 또 세운 축이 사주원국
지지 토금을 강화시키니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55세]에 사망함.
(사례2) 사주와 건강 : 금기가 강한 경우
◇ 1965년 2월 4일 해시(여)
신강사주 68세 사망 여, 순8운 / 길신 : 수, 목 / 흉신 : 토, 금 / 한신: 화 | |||||||||||||
음양 |
시 |
일 |
월 |
년 |
7운 |
6운 |
5운 |
4운 |
3운 |
2운 |
1운 |
입운 |
대운 |
육친 |
|
我 |
|
|
68 |
58 |
48 |
38 |
28 |
18 |
8 |
|
나이 |
천간 |
己 |
辛 |
辛 |
辛 |
병 |
정 |
병 |
을 |
갑 |
계 |
임 |
|
천간 |
지지 |
丑 |
巳 |
卯 |
亥 |
술 |
유 |
신 |
미 |
오 |
사 |
진 |
|
지지 |
◇ 辛金 일간이 卯월에 태어나 약한듯하나 천간에 辛금이 있고 또 지지 巳丑
이 반 합 金국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금이 강한 사주가 되었다.
◇ 임진[1운] 진토 운에 몸이 허약하고 겁이 많았다.(간 목기가 극을 받아)
계사[2운]부터 운이 발달하여 초운, 청년기가 비교적 순탄하고 사회적 활동도
완성하고 남편도 크게 출세하였다.
병신[5운] 申금 운에 경제적 어려움이 따랐고,
정유[6운] 酉금 운에는 간이 나빠졌으나 사주원국 卯가 酉의 극을 받았지만
먼저 亥卯가 合을 했고 또 대운 酉금이 해수의 생을 받으니 무사히 견디었다.
무술[7운] 丙화운에 사주원국에 있는 辛금이 다투어 丙을 묶어 두게 되어(운 을 10년 단위로 볼 때 병화가 술 토 위에 있어 墓의 위치에 있어 허약하다.)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기미년 사망=사망원인 간에 이상)
(4) 폐장, 대장에 병이 올 때의 증상
1) 금(金)은 오상(五常) 중에서 의(義)에 속한다. : 폐장과 대장이 병들면 의(義)가 병들 것이므로 의리가 없고, 불의와 타협을 잘 한다.
2) 辛금은 폐장 외에 다리를 주관하므로, 辛금이 약하면 허벅지에 근육통 등의 병이 있다.
3) 庚금은 대장 외에 배꼽을 주관하므로 庚금이 약하면 배꼽에도 병이 들어온다.
4) 酉금은 유방, 기관지를 주관하므로 쇠약하거나 충을 만나면 기관지염, 감기,
유방암 등의 병이 발생하고,
申금은 피부를 주관하여 허약하거나 寅申 충이 있으면 피부에 이상이 생긴다.
5) 성격적으로 金은 강한 것을 의미하는 데 金이 약하면 강한 기질이 없어지고
유약하여 지나치게 남을 동정하고, 슬픔을 자주 느낀다.
6) 폐가 약하면 보통 얼굴이 창백하고 우수에 젖은 듯하며 기침을 하고 숨이 차다. 심하면 피를 토하기도 한다. 또 폐, 대장이 약하면 감기에 자주 걸리고 손목이 시근거리고 설사를 자주한다. 특히 찬 것을 먹으면 더욱 심하다.
(5) 폐장, 대장에 의한 질병
[金]氣는 피부병, 손목관절, 축농증, 기관지염, 폐결핵, 대장염, 감기, 폐암,
대장암, 치질, 이질, 폐렴, 미친병 등이 있다.
(6) 폐장, 대장의 치료법
1) 음식 섭취 법
※ 金은 오미(五味)중에서 매운맛을 담당한다. 그러므로 폐장과 대장의 氣의 본질은 매운 맛이며 성격은 정의롭고 의분(義忿)이 있습니다.
◇ 金氣가 강하면 : 火木으로 제압하고
폐장과 대장이 크고 실하다. 반면에 목기가 약하고 화기가 약해진다.
金기가 강하면 간과 담이 나빠져 매운맛(금) 나는 음식과 단맛(토) 나는 음식을 삼가고, 쓴맛(화)나는 것과 신맛(목)나는 것을 찾아 먹으면 좋다. 그러면 간과 담이 회복되는 데 그런 후에는 음식을 골고루 먹되, 쓴맛과 신맛을 즐기는 것이 좋다.
◇ 金氣가 약하면 : 土金으로 보충한다.
폐장과 대장이 작고 약하므로 매운맛(금)과 단맛(토)에 관계되는 음식을 섭취하면 좋다. 만일 대장과 심장이 나쁜 사람이 쓴맛 나는 음식이나 신맛 나는 음식을 먹으면 더욱 나빠진다.
2) 색깔 : [금이 강하면-적색과 청색] [금이 약하면 - 노란색, 백색]
● 중국인은 金기가 강해 붉은색(火기)을 즐겨 입고
우리민족은 木기가 강해 흰색(金기)이 필요하다.
3) 방향 : [금가 강하면-남방과 동방] [금이 약하면 - 남방과, 동남방]
※ 좋은 방향으로 책상을 두거나 잘 때 머리를 두면 머리가 맑고 기운이 좋아짐
● 열대지방 : 화가 강해 수기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그 지역 사람들은 몸이
차다. 따라서 열대지방 사람들은 추위를 견디지 못한다.
(이 지역에 사는 사람은 신장, 방광이 강하여 성(性)적 능력이 뛰어나다.)
북극지방 : 수가 강해 화기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그 지역 사람들은 몸이
덥다. 따라서 극지방 사람들은 더위를 견디지 못한다.
(이 지역에 사는 사람은 신장, 방광이 약하여 성(性)적 기능이 약하다.)
온대지방(사계절이 분리된 나라) : 방향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4) 마음 다스리기
※ 폐장과 대장이 병들면 의로운 움(義)이 병들 것이므로 불의와 타협한다.
※ 성격적으로 金은 강한 것을 의미하는 데 金이 약하면 강한 기질이 없어지고
유약하여 지나치게 남을 동정하고, 슬픔을 자주 느낀다.
※ 슬픔과 비애감이 많으면 폐장과 대장이 상한다.
따라서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적극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좋다.
또 강한 결단력과 인내심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므로, 절 수련 등산 운동요법 이 필수적이다. 매운맛 나는 음식을 들면 기분이 상당히 좋아진다.
※ 이렇게 기분이 좋아지면, 좋은 마음이 일어나서 차츰 마음이 건강해지며,
이어서 육신도 좋아지며 심신이 좋아진다. 그래서 세상을 긍정적 낙관적으로
보게 되며, 하는 일마다 재미가 있고 만나는 사람들과 사이가 좋아지게 되며,
주변의 도움으로 모든 일이 물 흐르듯 잘 풀리게 된다.
즉 좋은 운이 전개되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의 사주팔자를 잘 알면 시기별로 몸과 마음의 변화를 미리 예측
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변화가 예측되면 미리 심신을 다스려 긍정적인 변화로
유도할 수가 있다. 이렇게 몸과 마음이 긍정적 적극적으로 바꾸어가는 것이
바로 이것이 개운법이다.
5) 폐장과 대장에 좋은 음식
[폐장과 대장이 약할 때] 주식으로 쌀과 조를 선택하고 부식은 맵고
얼큰하고 단맛 나는 음식을 선택으로 한다.
▷ 신맛(木氣) 나는 보리쌀이나 조는 나쁘다. 닭고기 양고기도 좋지 않다.
[폐장과 대장이 강할 때] 신맛(木氣) 나는 보리쌀이나 조가 좋다.
◇ 메운 맛(金氣) 나는 음식 :
[식물] 현미(쌀)/율무/마늘/고추/무/표고버섯/달래/양파/배추/생강/
수정과/ 복숭아/ 배/ 박하/ 후춧가루/ 겨자/ 와사비
[동물] 말고기/어패류/ 각종 동물의 허파, 곱창
6) 폐장과 대장에 관계되는 질병과 치유 음식
▷ 식이요법은 맵고 얼큰하고 단맛 나는 음식을 찾아서 많이 먹고 쓴맛(火기), 신맛(木기), 떫은 맛(심포=열=화/삼초)은 피해야 한다.
가. 기관지염
[증상] 기관지가 약해서 염증이 잘 생겨 헛기침이 나오고 짙은 가래가 있으며,
식욕이 떨어지고 머리가 아프다.
[처방]
◇ 감자와 양파와 마늘 그리고 홍당무를 적절히 섞어서 끊인 뒤에 그 물을 식사 전후해서 지속적으로 마시면 특효가 있다.
◇ 곁들여서 잠자기 전에 생강차를 마시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 식사 때 부식으로 마늘 한쪽씩 구워서 먹고 연뿌리를 달여서 매일 아침, 저녁으로 식전에 마시면 기침이 없어진다.
나. 편도선염
[증상] 오한이 일어나고 권태가 오며 두통, 언어장애, 귀 울림 등이 있다.
목이 붓고 온몸이 쑤시는 현상이다.
[처방]
◇ 쑥 잎을 찧어서 즙을 내고 반잔씩 매일 한 번 먹는다. 알로에를 찧어서 목에 붙이고 붕대로 감아두었다가 약 3시간만 지나면 특효가 있다.
◇ 붓고 통증이 있으면 사과를 즙으로 내어 반잔 씩 매일 3번 마시면 없어진다.
다. 폐결핵
[증상] 식은땀이 흐르고 얼굴이 창백하며 늘 피로하고 감기가 자주 든다.
또 숨이 차고 야위며 활동적이지 못하며 식욕도 떨어지고 슬픈 비애감이 든다.
심하면 기침을 심하게 하고 각혈을 쏟아낸다. 그런데 성욕은 아주 많게 된다.
[처방]
◇ 화기 운이 강해 금이 상한 경우는 맵고(金), 짠(水) 음식이 좋으며, 율무와 완두콩을 주식으로 하고 부식은 시금치, 도라지, 연뿌리가 좋으며, 차는 구기자차가 좋다.
◇ 석류씨앗을 생으로 즙을 내고 흑설탕과 꿀을 섞어서 매일 마시면 특효가 있다.
◇ 폐결핵은 신강사주의 경우 병화 일주보다 정화 일주가 더 걸리기 쉽다.
라. 폐렴
[증세] 갑자기 한가와 오한이 일어나며 두통이 오고 식욕이 없으며, 호흡이 곤란하다. 늑막에 이상이 생기고 황달기가 있으며 구토가 있다.
[처방]
◇ 겨자를 가루로 내고 세숫대야 크기의 그릇에 2그램 정도 넣고 뜨거운 물을 가득 부은 다음에 수건을 적어서 아픈 부위에 대고 찜질을 매일 2회씩 반복하면 된다.
◇ 율무와 현미를 섞은 죽을 먹고 소주에 마늘을 많이 넣고 흑설탕을 넣은 다음
6개월 후에 매일 한 잔씩 먹으면 특효가 있다.
마. 늑막염
[증세] 헛기침, 식욕부진, 두통이 있고 호흡기 장애가 따른다. 늑골이 아프고 심하면 물이 찬다.
[처방] 율무와 현미를 섞은 죽을 먹고 소주에 마늘을 넣고 흑설탕을 넣은 다음 6개월 후에 매일 한잔씩 먹으면 특효가 있다.
2011년3월6일(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