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9일 오늘의 성인♡ ============== 성 고르고니오(Gorgonius)성 도로테우스(Dorotheus) 축일 9월 9일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소아시아의 니코메디아에 체류할 때, 자신의 집안에 그리스도인들이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그러므로 황제는 모든 수행원들과 수하 사람들에게 명을 내려서 로마(Rome)의 신에게 제사를 드리게 하였다. 그리스도인들은 용감하게 이를 거부하였는데, 황제가 앙갚음할 첫 대상으로 그의 시동이었던 성 베드로(Petrus, 3월 12일)가 선택되었다. 그는 발가벗긴 채 공중에 매달려서 뼈가 드러날 정도로 매를 맞았다. 소금을 섞은 식초를 알몸에 붓기도 하였다. 이런 광경을 보다 못하여 성 도로테우스(Dorotheus)와 성 고르고니우스(또는 고르고니오) 그리고 다른 관리들이 “왜 베드로에게만 벌을 주십니까?” 하고 소리를 질렀다. “그의 신앙, 그의 생각 그리고 그의 신심이 곧 우리의 것입니다. 만물을 지어내신 하느님 외에 어느 누구도 섬길 수 없습니다.” 이리하여 그들 외에도 수많은 궁궐 사람들이 무참하게 처형되었다. “황제의 신은 악마의 신이지만, 우리들이 믿는 신은 세상을 만드시고 구원하시는 하느님입니다.” 하고 그들은 외치면서 순교하였다. 성인의 축일은 예전에는 3월 12일에 지냈다. ================================ 성녀 루도비카(Louise)또는 루이자(LOUISA) 축일 9월 9일 상류사회의 우아한 귀부인이던 루도비카(Ludovica)는 클라라 회원이 될 은혜를 미리 하느님으로부터 받았던 것 같다. 그녀는 사보이아의 공작인 복자 아마데우스의 9세(Amadeus IX)의 딸로 태어났다. 아홉 살 때에 부친을 여의었지만 어머니에 의하여 훌륭히 자랐으니, 특히 뛰어난 영적 지위에 있었다. 18세 때에 그녀는 위고 드 샬롱과 결혼하였는데 남편은 열렬한 그리스도인이었으므로, 그들의 집은 마치 수도원처럼 거룩하였고 부부생활은 사랑으로 가득하였다. 그녀는 최초로 자선함을 설치한 인물로 기록된다. 자선함에 모인 기금으로 그녀는 고아와 과부 특히 나환자들을 돌보았다. 그러나 뜻하지 않게 남편과 사별한 그녀는 이제 완전히 세속과 결별하였다. 그녀는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수도복을 입고 성무일도를 바쳤으며, 밤중에 일어나 새벽기도를 바치기 시작하였다. 이윽고 그녀는 오르브의 클라라 수녀회에서 살게 되었다. 비록 귀족 출신이었지만 그녀는 수녀원 내의 부엌일을 비롯하여 온갖 집안일을 도맡아 하였다. 이처럼 그녀는 철저히 겸손하고 거룩하게 살다가 “우리 사부 성 프란치스코여, 하느님의 자비를 빌어주소서” 하며 운명하였다. 그녀는 1839년에 시복되었다. ================================ 성 루피노(Rufinus) 성 루피니아누스(Rufinianus)축일 9월 9일 성 루피누스(또는 루피노)와 성 루피니아누스(Rufinianus)는 형제 사이로 순교하였는데, 그 순교 시기나 장소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 성 베드로 클라베르(Peter Claver) 축일 9월 9일 에스파냐의 바르셀로나(Barcelona) 근교 베르두(Verdu)에서 태어난 성 베드로 클라베르(Petrus Claver)는 바르셀로나 대학교에서 공부한 다음 20세 되던 해에 예수회에 입회하였다. 그는 마요르카(Mallorca) 섬의 팔마(Palma)에서 공부를 더 한 후, 성 알폰수스 로드리게스 (Alfonsus Rodriguez, 10월 30일)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고, 신세계에서 활동하려는 소망을 꽃피우게 되었다. 그는 마침내 1610년에 중앙 아메리카 니카라과(Nicaragua) 뉴 그라나다(Granada)의 선교사로 파견되었고, 1615년에는 콜롬비아 북부 카르타헤나(Cartagena)에서 서품을 받았다. 당시 카르타헤나는 노예 매매의 중심지였으므로 성 베드로는 알폰소 데 산도발 (Alfonso de Sandoval) 신부와 함께 그들의 처참한 상황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는 서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노예들이 집단 수용되는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면서 음식물과 의약품을 공급하였고, 신앙을 가르치고 세례를 베풀어서 4년 동안 약 3십만 명을 개종시켰다. 또한 그는 성 라자로 병원에서 나환자들을 위하여도 봉사하였고, 투옥된 죄수들의 고해신부로서도 큰 활약을 하였다. 그는 도시의 큰 광장에서 설교하였고, 엄격한 생활을 실천하였으며, 살아 있는 동안에 이미 초자연적 은혜를 받아 예언도 하였고, 기적하는 능력도 있었고, 사람들의 마음을 읽는 힘도 매우 강하였다. 그는 1650년에 카르타헤나를 휩쓴 흑사병에 걸려 끝내 회복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병중에서도 그는 일을 계속 지휘하였고, 조그마한 방에서 지내면서 잊힌 사람처럼 외롭게 운명하였다. 그는 1888년에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해 시성되었고, 1896년에는 같은 교황에 의해 흑인 선교의 수호성인으로 선언되었다. ================================ 성 베텔린(Bettelin) 축일 9월 9일 성 베텔린은 잉글랜드(England)의 크로이랜드의 성 구틀락(Guthlac)의 제자이자 은수자인데, 전설에 의하면 그는 아일랜드 방문길에 공주와의 사랑에 빠진 스테포드의 아들이라 한다. 잉글랜드로 돌아오는 길에 공주가 비참한 죽음을 당하자, 그는 모든 것을 물리치고 은수자가 되었다. 그는 일생동안 자신의 독방에서 수도생활에만 전념하다가 운명하였다. ================================ 성녀 세라피나 스포르차(Seraphina Sforza) 축일 9월 9일 몬테펠트로의 백작 딸로서 이탈리아의 우르비노(Urbino)에서 태어난 그녀는 수에바란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으나, 어릴 때에 부모를 여의었다. 그 후 그녀는 삼촌인 콜론나 왕자 집에서 자랐고, 16세 때에는 페자로(Pesaro)의 알렉산데르 스포르차 경과 결혼하였다. 이 사람은 두 자녀를 둔 홀아비였으나 그녀와 행복한 생활을 하였다. 한번은 그녀가 친정에서 머무는 동안에 남편이 파치피카란 여인과 지냈다. 세라피나는 온갖 수단을 강구하였으나 수포로 끝나자 이를 포기하고 오로지 기도생활에만 전념하였다. 결국 남편은 그의 아내를 집에서 내쫒았다. 그래서 그녀는 클라라회에 들어가서 세라피나라는 수도명을 받고 엄격한 회개생활을 시작하니 그녀의 덕은 날로 높아만 갔다. 그러던 중에 남편은 죽었다. 그녀가 수녀가 되었을 때의 나이는 25세였고, 20년 동안 회개생활을 하였다. ================================ 성 세베리아노(Severian) 축일 9월 9일 아르메니아(Armenia)의 원로원 의원이었던 성 세베리아누스(Severianus, 또는 세베리아노)는 리키니우스 황제의 통치 중에 아르메니아의 세바스테아에서 순교하였다. 그는 세바스테아의 40명의 군인들이 순교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마음이 움직여 공개적으로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였다. 그로 인해 그는 죽을 때까지 쇠갈퀴로 온몸이 뜯기는 고통 속에서 순교하였다. ================================ 성 스트라톤(Straton) 축일 9월 9일 성 스트라톤은 알려지지 않은 장소와 시기에 잔인한 형벌을 받고 순교하였다. ================================ 성 아우도마로(Audomarus) 축일 9월 9일 오메르(Omer)라고도 불리는 성 아우도마루스(또는 아우도마로)는 프랑스의 쿠탕스(Coutance) 교외에서 출생하였고, 부모가 사망한 후에 성 에우스타시우스 (Eustasius)의 지도를 받으며 뤽세이유(Luxeuil) 수도원에서 베네딕토 회원이 되었다. 이곳에서만 거의 20년을 머문 아우도마루스는 테루안의 주교로 임명되자 교구 내의 이완된 신앙과 윤리를 바로잡으려고 노력하는 한편, 구호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여 어느 정도 성공하였다. 또 그는 성 뭄몰리누스(Mummolinus, 10월 16일)와 성 베르트란드(Bertrand, 1월 24일) 그리고 성 베르티누스(Bertinus, 9월 5일)와 함께 시티우(Sithiu)에 수도원을 세워 프랑스의 영적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그가 행하는 수난에 대한 강론은 너무나 유명하였다. 만년에 그는 맹인으로 지냈다고 한다. ================================ 성 알렉산데르(Alexander) 성 히야킨투스(Hyacinthus)성 티브루티우스(Tiburtius)축일 9월 9일 성 히야킨투스(Hyacinthus)와 성 알렉산데르 그리고 성 티브루티우스(Tiburtius)는 이탈리아의 로마(Rome)에서 30마일 정도 떨어진 사비네(Sabine) 지방에서 순교하였다. ================================ 성 치아란(Ciaran) 축일 9월 9일 아일랜드 북서부 코노트(Connaught)에서 목수인 베오이트(Beoit)의 아들로 태어난 성 키아란(또는 치아란)은 클로나드(Clonard)의 성 핀니안(Finnian) 학교에서 공부하였고, 쿠알라(Cuala) 왕의 딸을 가르쳤다. 그는 당시 가장 박식한 수도자로 손꼽혔다. 키아란은 성 엔다(Enda)와 함께 수년을 지냈으며 그 후에는 아일랜드 수도원의 중심지인 이셀(Isel)로 갔다. 그러나 키아란 일행의 지나친 자선 활동으로 인하여 그곳에서 쫓겨난 뒤에는 섀넌(Shannon) 강가에 수도원을 짓고 클론맥노이스라 하였다. 이 수도원은 아일랜드 학문의 중심지로서 명성을 떨쳤고, 그는 이곳의 원장이었다. 수많은 기적과 놀라운 일들이 일어났는데, 이로써 그는 '아일랜드 12사도' 중의 한 명이 되었다. 그는 젊은 키아란(Ciaran the Younger), 키에란(Kieran), 퀘라누스(Queranus, 또는 퀘라노) 로도 불린다. ================================ 성 오메르(omer)축일 : 9월 9일오도마로라고도 부르는 그는 프랑스의 꾸탕스 교외에서 출생하였고, 부모가 사망한 후에 성 에우스따시오의 지도를 받으며 뤽세이유에서 베네딕또 회원이 되었다. 이곳에만 거의 20년을 살은 오메르는 테루안느의 주교로 임명되자, 교구 내에서 이완된 신앙과 윤리를 바로잡으려고 노력하는 한편, 구호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여 어느 정도 성공하였다. 또 그는 성 몸몰리노, 베르트란드 그리고 베르띠노와 함께 시티우 수도원을 세우고, 프랑스의 영적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그가 행하는 수난에 대한 강론은 너무나 유명하였다. 만년에 그는 맹인으로 지냈다고 한다.

Catholic Cultural Center 한┃국┃가┃ 톨┃ 릭┃ 문┃ 화┃ 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