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관지(本貫地) 하양(河陽) |
하양(河陽)은 경상북도 경산시의 북부에 위치하는 읍으로, 옛 이름(地名)은 하주(河州)·화성(花城)이다. 고려 성종 때에 하주(河州), 1018년(현종9)에 하양(河陽)으로 개칭하고 현(縣)이 되었으며 뒤에 경주부(慶州府)에 속하게 되었다.
조선 선조 34년(1600)에 대구부(大邱府에) 이속되었으나 숙종 때 다시 현으로 되어 한사동(翰沙洞) 관아(官牙)를 세웠고 1742년(英祖18)에 이를 금락리(琴樂里)로 옮기고 화성현(花城縣)이 되었다가 1895년(高宗32)에 하양군(河陽郡)으로 바뀌었다.
1914년에 경산군에 편입되면서 하양면(河陽)이 되었고 1973년에 읍(邑)으로 승격하였다.
남쪽으로 금호강(琴湖江)이 흐르고 북쪽으로는 팔공산(八公山) 자락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고
시가지로 경부고속도로, 대구선 철도, 대구~포항간 산업도로 등 교통이 발달되어 있다.
2015현재 하양읍의 행정구역은 16개리 39개의 자연부락이 있고, 면적 48.61㎢에 인구 27,275명이 살고 있다.
대구지하철1호선이 하양까지 연장이 확정되었고 지식산업지구로 지정되어 한창 개발 중에 있으며, 고 세종 조 좌의정 문경공 허조선생을 비롯한 역사에 빛을 남긴 인물이 많이 배출되었다. 고, 주요 3개 대학과 중고등학교 2개교, 초등학교 4개교가 있으며. 하양향교 금호서원 환성사 등 교육과 전통문화의 고장이기도 하다.
대조리, 환상리를 중심으로 경산묘목특구로 지정되어, 대도시 근교 과수와 묘목이 전국 생산량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시조(始祖) 허강안(許康安) |
하양 허씨(河陽 許氏)의 시조 허강안(許康安)은 허황옥(許黃玉)의 33세손이다.
고려(高麗) 때 호부낭장(戶部郞將)을 역임하고 말년에 호장(戶長)을 지내고 하주(河州) 자사(刺史)가 되어 하주(河州)에 정착세거(定着世居)하였다. 그리하여 본관(本貫)을 하주(河州)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다가 지명(地名)이 개칭됨에 따라 화성(花城)으로 개관(改貫)하였으며 그 후 하양(河陽)으로 하고 있다.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 |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강안(許康安)의 손자 작린(許綽麟)이 고려(高麗)에서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을 지냈으며,
증손(曾孫) 허신(許愼)은 호부주사(戶部主事)·동정(同正)등을 역임하여 가문을 빛냈다.
8세 허유(許裕)가 검교대호군으로 문성공 안향(安珦)과 통혼을 하고
아들 수(許綏)는 고려의 정2품관인 판전객시사로 고위직에 출사하고, 아들 3형제가 모두 문과에 급제하여,
장자 허윤창(許允昌)은 도관정랑으로 세종 때 숭록대부 의정부 찬성에 추증되고,
차자 허윤충(許允忠)은 밀직부사이고,
3자 허윤여(許允呂)는 광평시랑평장사로 그의 아들 허관(許寬)은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장손인 11세 허귀룡(許貴龍)은 개성부윤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아들 삼형제가 모두 재상이 되었는데
장자 허주(許周)는 우왕 때 지양주사가 되어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성을 구축했다 조선 개국 후에는 한성부윤, 경기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로 시호가 간숙(簡肅)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그의 아들 허성(許誠)은 경사(經史)에 밝아, 예조(禮曹)와 이조(吏曹)의 판서(判書)를 역임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냈다. 시호는 공간(恭簡)이다.
허주(許周)의 동생 허조(許稠)는 권근(權近)의 문하(門下)에서 글을 배우고 공양왕(恭讓王)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한 후 조선(朝鮮) 세종(世宗) 때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左議政)에 올라 치사(致仕)하였다. 처음으로 학당을 세웠고, 왕실의 의식과 일반의 상제를 법전화 하는데도 노력하였다. 조선전기 통치강령 예제(五禮儀)와 법제(續六典)를 찬정하고, 이조판서를 3번이나 역임하였다. 경사(經史)에 밝아 후일 사육신의 스승으로 정신적 지주가 되었으며, 돌아가신 후 세종묘정에 배향되었다.
허조(許稠)의 아들 13세 허후(許詡 珝 )는
문종 때 형조판서로 세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그는 단종 때 좌찬성이 되어 황보인, 김종서 등과 함께 문종의 유명을 받들어 단종을 보필하는데 앞장섰다. 그러나 계유정난이 일어나자 이를 개탄하다가 거제도에 유배되어 죽음을 당했다
영조에 의해 신원이 회복되고 정간(貞簡)이란 시호가 내려졌다.
허후(許詡)의 아들 14세 허조(許慥)는 집현전 수찬으로 사육신 이개(李塏)의 매부이자 김문기(金文起)의 사돈이다. 성삼문 이개 등과 단종복위를 도모하다가 발각되자 자결하니 세조가 ‘그 애비에 그 자식이다.’ 고하며 박팽년 유성원의 시신과 같이 거열효수하고 아들형제도 연좌로 처형하고 가산을 몰수하였다. 정조에 의해 신원 회복과 홍문관 부제학으로 추증되고 아버지와 함께 정려가 내리고, 장릉 충신단에 배향되었다.
3대(代)가 모두 사육신(四六臣)과 깊은 관계를 맺어 충절의 집안으로 꼽힌다.
허조(許稠)의 동생 척(許倜)은 중추원 부사(中樞院府使)로 질(姪) 허후(許詡)에 연좌되어 사직하였고,아들 허계(許誡)는 밀양부사로 나가 선정(善政)을 베풀어 표리(表裏)를 하사(下賜) 받았다. 그 뒤 병조참의와 경주부윤(慶州府尹)을 역임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과거급제자(科擧及第者) |
허부(許溥,1663 癸卯生):문과 숙종19년(1693)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허계(許誡, ?~1502 연산군 8): 성종때 문신 문과 세조5년(1459) 식년시 정과(丁科),
허유(1749 己巳生):문과 영조50년(1774) 식년시 병과(丙科),
허평(許坪,1716 丙申生):문과 영조20년(1744) 식년시 병과(丙科),
허후(許詡 ?~ 1453):문과 세종8년(1426)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허수(許洙,1587 丁亥生):문과 광해군2년(1610) 알성시 을과(乙科),
허국(1812 壬申生):문과 순조29년(1829) 정시 을과(乙科),
허성(許誠,1382 壬戌生):문과 태종2년(1402)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허후(1382 壬戌生):문과 세종18년(1436) 중시 을과(乙科),
허보(許輔,1382 壬戌生):문과 중종11년(1516) 식년시 을과(乙科) 등
모두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문과 13명, 무과 5명, 사마시 21명 등 39명이다.
하양허씨(河陽許氏) 보계도(譜系圖) |
(始祖) - 許皇后의 33世孫
│
( 1036生)
│
(1055生)
│ ( 1093生)
│
(1138生) (5世)
│
( 1169生)
│
( )
│
(大護軍公 : 從3品 檢校大護軍)
│
(寺 : 正二品吏曹判書追贈)
│
┏-------------------------------------------┓
平章事公 (副使公) (正郞公(從一品 議府贊成追贈) (10世)
│ │ │
判書公 (留後公) 上護軍公(正一品 議政府領議政追贈))
│ │ │
┏-----------┓ ┏ ------------┓------------┓
(제6파)判事公 (제5파)貞純公 (제4파)參議公 (제3파)中樞府使 (제2파)議政府左議政 (제1파)漢城府事
│ │ │ │ │ │
┏--------┓ ┏----┓ ┏--------┓
(司醞署令) ,刑曹禮曹判左參贊 (大提學)
│ │
集賢殿修撰 (14世)
집성촌(集姓村) |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하양허씨는 남한에 총 5,081가구 16,344명 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 경산군 하양읍 부호리, 대곡리, 와촌면 동강리, 계전리, 용전리, 영천시 신녕면 일원, 대구시 파동, 전북 고창군. 진안군, 정읍시 일원, 안천면 삼락리, 창녕군 영산면 구계리 , 경남 합천군 일원이 집성촌이다.
사적지(史蹟地) 기념비(紀念碑) |
정산서원(井山書院)
제1파 간숙공파 (시호는 간숙공으로 허조의 형이시다)
시조 12세손 휘는 주(周), 자는 백방(伯方), 호는 숙재(肅齋)
시호는 간숙공(簡肅公) 1359 - 1440
주세거지 : 개성, 용담, 함양
정산서원(井山書院) 함양에 있으며 간숙공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간숙공은 이성계의 전제 개혁에 참여하였으며 경기도 관찰사를 거쳐 판 한성부사에 이르렀다. 특히 강직한 성품으로 공과 사를 공정하게 처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뛰어났다.
금호서원(琴湖書院)
허조선생 왕지(王旨) 경암집 책판(冊版)
경상북도 문화자료 제 449호
소재지: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114
조선 세종조 좌의정을 지낸 문경공 허조(文敬公 許稠: 1369~1349)선생을 봉향하는 서원이다. 선생의 호는 경암(敬庵)이며 시호는 문경공(文敬公)이시다. 조선왕조 통치의 기본 법전인 경제원과 속육전을 수찬하였고 국조오례의의 사례의를 찬정하여 석전의식을 개정하였다.
이 서원은 효종 4년(1653) 영남유림에서 금호동(현 하양읍 금락리)에 사당을 창건하였으며 숙종10년(1684)에 위판이 봉안되었다. 경종4년(1724)에 사이동(현 하양읍 서사리)으로 이건하였으며 정조14년(1790)에 사액되었다. 그리고 고종8년(1871)에 서원 정비령으로 훼철되었고 고종38년(광무 5년 : 1901)에 훼철원지에 유허비각을 건립하고 1923년 현 위치에 서원이 복원되었다.
좌의정 허조(許稠) 묘역(墓域)
파주시 향토유적 제29호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이천리 산 2번지.
묘비(墓碑)
허조 : 공민왕 4년(1369) ~ 세종21년(1439)
증조는 허수, 조부는 도관정량 허윤창, 아버지는 판도판서 허귀룡, 어머니는 통례문부사 이길의 따님 흥양이씨, 배위는 완산부윤 박경(朴經)의 따님 영해박씨 이다.
권근(權近)의 문인으로 공양왕 2년(1390)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전의시승이 되었다. 그 뒤 1392년 조선왕조가 개창되자 좌보궐·봉상시승으로 지제교를 겸하여 예악제도 바로 잡는데 힘썼다.
태종 조에도 많은 예악제도가 정비되었는데, 이러한 일은 거의 그의 손에 의해 이루어지다 시피하였다. 뒤에 다시 이조참의·병조참의·평안도순찰사·한성부윤·예문관제학·예조참판·제조·개성유후사 유후·경기도관찰사·공안부윤·예조판서·이조판서가 되었다.
세종 20년(1438) 세종을 도와 신숙주(申叔舟) 등 진사 100인과 하위지(河緯地) 등 문신급제자 33인을 뽑았고, 같은 해 우의정·영집현전춘추관사·세자부로 승진되었다. 이듬해 궤장(几杖)이 하사되고 좌의정(左議政) 영춘추관사에 올랐으나 그 해에 졸(卒)하였다.
종묘(宗廟) 공신당(功臣堂) 허조(許稠) 배향(配享)
태조의 공신 조준(趙浚,1346~1405년)을 비롯하여, 27대 임금인 순종의 공신 서정순(徐正淳, 1835~1908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19분의 임금 신위에 배향된 83위의 공신이 모셔져 있다.
정전에 모셔진 세종조의 공신( 공신당에 배향)
익성공(翼成公) 황희(黃喜) 영의정(領議政) · 정열공(貞烈公) 최윤덕(崔潤德) 좌의정(左議政) · 문경공(文敬公) 허조(許稠) 좌의정(左議政) ·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槪) 좌의정左議政 · 문정공(文靖公) 이수(李隨) 병조판서(兵曹判書) ·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 · 효령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
허후(許詡) 허조(許慥) 부자(父子)의 정충각(旌忠閣)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 450호
소재지 :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175-1번지
조선 세종조 예조판서, 이조판서 의정부 좌참찬을 지낸 정간공 허후(許詡) 와 집현전 수찬을 지낸 수찬공 허조(許慥) 부자분의 충렬을 찬양하는 정려각으로 정조16년(1792)에 정려가 내려졌으며 순조14(1814)을 건립하고 현판을 걸었다.
허후(許詡)는 계유정난 때 사사(賜死)된 후 영조23년(1747)에 복관되고 32년(1756)에 정간이란 시호가 내려졌다. 후(詡)의 아들 조(慥)는 단종 복위운동의 실패로 자결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다시 사육신과 함께 거열형(車裂刑)에 처해졌다. 정조14년(1790)에 복관되고 홍문관 부제학에 추증되었다.
화암서원(花巖書院)
충북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에 있는 서원.
1622년(광해군 14)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이문건(李文楗)·노수신(盧守愼)·김제갑(金悌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38년(영조 14)허후(許詡)·전유형(全有亨)·박세무(朴世茂)·이신의(李愼儀)를 추가배향하였으며, 그 뒤 박지겸(朴知謙)·허조(許慥)·유근(柳根)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56년박동찬(朴東燦)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이 복원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4칸의 사우(祠宇), 4칸의 재실(齋室), 정문(正門) 등이 있다. 사우에는 이황을 주벽(主壁)으로 10현의 위패가 좌우에 배향되어 있으며, 정문 밖에 있는 재실은 유생들의 학문토론장소 및 향사 때 제관들의 숙소로 사용되고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9월 중정(中丁 : 두 번째 丁日)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재산으로는 대지 500평, 논 2,000평, 임야 7정보 등이 있다.
하양허문 충효각
소재지 충북 괴산군 소수면 고마리
하양허문 충효각은 고마리 두실마을에 정조 16년(1792) 허후, 허조의 충신문과 정조 17년(1793) 허사정, 허흥립, 허민 3대의 효자정려로 세운 ‘허씨삼세대효우지문(許氏三世代孝友之門)’에 하양허씨 문중에서 효자 허이충, 허준을 합설한 것이다.
충효각 안에는 “충신숭록대부의정부좌참찬삼재 증시정간공하양허후지려(忠臣崇祿大夫議政府左參贊三宰 贈諡貞簡公河陽許代之閭)” 등 7개의 편액이 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보호책을 둘렀다.
백곡서원(柏谷書院)
경산시 하양읍 대곡2리
조선 선조 조에 의병장인 희성당 허응길 선생을 봉향하는 서원이다.
휘는 응길(應吉), 자는 명철(明喆), 호는 희성당(希聖堂)인데, 경암의 9세손이다.
선생은 현풍 현감으로 임진왜란때 의병을 일으켜 망우당 곽재우와 화왕산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는 등 의병장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선조 37년(1604) 공신록에 등재되었고, 선생을 표창하여 절충장군 대구진마절제사를 제수하였다. 이 서원은 1938년 창건하여 재호를 선생의 호를 따서 희성당이라 하고 2월과 8월의 하정에 향사하다가 1977년 전국 유림에서 백곡서원으로 추증하였다
만취재 (晩翠齋)
경산시 진량읍 문천리 518번지
시조 17세손 군수공을 위한 재실이다. 군수공의 휘는 보(輔)이고 자는 찬경(贊卿)이며 호는 자우당(自憂堂)이다. 관직은 초계군수에 이르렀으며 문장이 출중하고 효행이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영모재(永慕齋)
→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526번지 곡물에서 영천시 신녕면 화남리 산으로 이건하였으며 시조 22세손 물재공물재(勿齋공)을 위한 재실(齋室)이다. 물재공의 휘는 환(瑍)이고 자는 여윤(汝潤)이며 호는 물재(勿齋)이다.
탁래정(濯來亭)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337번지에 있으며 시조 23세손 청재공(淸齋공)을 위한 정자(亭子)이다. 청재공의 휘는 익주(翊周)이고 자는 대현(大縣)이며 호는 청재(淸齋)이다.
쌍휘당(雙徽堂)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87번지에 있으며 하양 허씨 시조 24세손 쌍휘당을 위한 재실이다.
쌍휘당의 휘는 호(壕)이고 자는 만리(萬里)이며 호는 쌍휘당(雙徽堂)이다.
쌍휘당은 통정대부 절창장군 휘 원주의 아들로서 출천대효라 널리 알려졌다. 무신 난에 창의하시고 향민의 추대로 의병장이 되셨다.
경운정(景雲亭)
소재지 : 경산시 와촌면 계전리(용전)
위의 정자는 용암 허성구공(龍巖 許聖垕公)을 추모하는 정자이다.
용암공의 휘는 성구(聖垢때구), 자는 성오(聖五), 호는 용암이고 벼슬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이다. 조선조에 가선대부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본손 및 향내유림들이 가선대부 중추부사의 추모계를 모아 연차적으로 수계하다가 임신년부터 격년제로 시행하고 있다.
상의정(尙義亭)
소재지 : 경산시 하양읍 부호2리
임란(壬亂) 시 창의(倡義)해 신해(申海)장군 휘하에서 활약해 선무원종공신록(宣武原從功臣錄)에 3등 공신으로 허대윤(許大胤), 허경윤(許景胤) 형제를 기리기 위해 1956년에 후손들이 건립한 정자(追慕齋)이다.
경암 허조(許稠)의 9세손이며, 대윤은 호가 훈재(塤齋)이고 경윤은 호가 지재(篪齋)이다. 하양 팔의사(八義士) 비명에 등재되어 있다.
일우 허병률(一友 許秉律) 의사(義士) 기념비(紀念碑)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동리입구에 있는 독립투사 허병률(許秉律) 의사(義士) 기념비(記念碑)이다. 허 의사는 시조 31세손으로 1918년 광복회(光復會)에 가입 이동찬, 박용성, 조한명 등과 군자금을 모으던 중 일경에 체포되어 7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1942년 세상을 마칠 때까지 끝없는 항일투쟁(抗日鬪爭)을 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愛國章)이 추서되었다.
춘정 허동상(春庭 許東相) 의사(義士) 기적비(紀績碑)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176번지 정충각 옆에 있으며 독립투사 허동상(許東相) 의사(義士) 기적비(紀績碑)이다. 허 의사는 18세 때부터 족숙 허병률 의사를 따라 애국성금을 모금하고 22세 때에 대구 학생들과 총궐기할 계획을 세우고 동지들을 규합하는 도중 격문을 사롶하다 일경에 체포되어 여러 차례 옥고와 고문 후유증으로 43세의 짧은 생애를 마쳤다. 1993년 건국 공로 대통령 표창이 서훈되었다.
허임(許任) 침구경험방집필지(鍼灸經驗方기執筆址)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사단법인 허임기념사업회가 침구경험방 간행 365주년을 맞이하여 선조들이 가꾸어온 소중한 생명건강문화가 아름답게 발흥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침뜸 역사 지킴이들의 정성을 모아 2009년 6월 침구경험방 집필지 에 기념비를 세웠다.
선조때 명의(名醫), 상인(常人)출신으로 침구(鍼灸)에 뛰어나 선조 때 침의(鍼醫)로서 임금을 치료한 공으로 동반(東班)의 위계(位階)를 받았다. 1612년(광해군4) 허준(許浚)과 함께 의관록(醫官錄)에 기록되고 뒤에 양주목사(楊洲牧使) 부펴부사(富平府使) 등을 역임했다.
허임은 1570년경 서울에서 출생하여 1647년경에 충청도 공주에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가 쓴 침구경험방 서문 끝부분에 하양허임(河陽許任)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양허씨세보(河陽許氏世譜)에 허임은 하양허씨 (문경공파) 21세손으로 허락(許珞)의 아들이고, 벼슬은 가선대부(嘉善大夫-종2품의 품계)로 양주목사(楊州牧使)를 지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허임의 출신에 대해서 조선왕조실록에는 그의 부친은 허억봉(許億逢) 혹은 허억복 (許億福)이라는 이름의 악공(樂工)으로 관노(官奴)였고, 그의 모친은 사비(私婢)였다고 전한다
계헌공 허홍열(許洪烈) 공적비(功績碑)
창녕군 영산면 구계리 보림 궁터마을 (보림문중)
계헌공(諱 洪烈 시조의 32세손)은 전 부산시 재무국장, 동구청장을 지낸 규상(圭相)의 선친이다.
구계 아홉담의 이장으로 10년을 봉직하며 동회사무소를 건립하여 온 마을 사람의 안락한 집회장소로 또 남녀노유의 문맹퇴치의 도장으로 동민봉사에 정열을 쏟으시고, 30여 년간 마을 산림보호 책임자로써 생업조성의 업적을 새겼고 영산으로 통하는 도로의 개설 등, 동민을 위하여 평생토록 바친 음양의 공로는 이루 다 나열할 수 없을 정도이다. 1962년에 시공하고 1966년에 준공을 본 내촌소류지 공사로 마을 전체의 완전 몽리면적의 확보에 산파역을 맡아 바친 노고는 주민들의 기억에서 영원히 사라질 수 없는 사실로 남아 있음이다. 1966. 9. 20 구계리 동민일동
첫댓글 차근 차근 읽어보면 조상님들에 대한 공부와 함께 많은것을 알것 같읍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읽어 보시기 바랍미다.
한글 문서파일이 꽤나 많읍니다.하루 이틀 읽어서는 될일이 아닙니다.또 읽어보다도 납득이 잘 안되는 부분도 있을것입니다.
그러면 집안어른분들이나 영천시 신녕면 문정리에서 후속에 대한 특별한 교육이 있으므로 참가하여 공부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