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가 수기(秀氣) 배태해 황하에 응하면서 / 靑丘孕秀應黃河
온왕이 동명의 가문에서 탄생하였나니 / 溫王生自東明家
부소산 아래로 옮겨 와 나라를 세울 적에 / 扶蘇山下徙立國
상서로운 기적들이 그 얼마나 많았던가 / 奇祥異蹟何其多
인재들이 즐비하고 문물이 성대하여 / 衣冠濟濟文物盛
틈을 엿봐 신라까지 합치려고 하였는데 / 潛圖伺隙幷新羅
못난 자손들이 덕을 제대로 잇지 못해 / 在後孱孫不嗣德
고대광실 아로새기며 사치를 일삼았네 / 雕墻峻宇紛奢華
하루아침에 견고한 성이 허망하게 무너지자 / 一旦金城如解瓦
천척 푸른 바위에 낙화의 이름이 붙었나니 / 千尺翠岩名落花
공후의 동산에는 농부가 씨 뿌려 밭을 갈고 / 野人耕種公侯園
깨어진 비석 곁에는 구리 낙타가 파묻혔어라 / 殘碑側畔埋銅駝
내 와서 고적 찾다 문득 흘리는 눈물이여 / 我來訪古輒拭淚
옛일은 어부와 초동의 노래 속에 들었는데 / 古事盡入漁樵歌
천 년의 서기(瑞氣)는 땅을 씻은 듯 없어지고 / 千年佳氣掃地盡
조룡대 아래 강물만 혼자서 출렁이는구나 / 釣龍臺下江自波
[주D-001]온왕(溫王)이……탄생하였나니 : 황하(黃河)가 천 년에 한 번 맑아지는 것처럼 동방이 길한 운세를 만난 덕분에 온조(溫祚)가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東明王)의 아들로 태어나서 한강 남쪽 지방에 백제를 건국했다는 말이다. 삼국 시대 위(魏)나라 이강(李康)의 〈운명론(運命論)〉에 “황하가 맑아지면 성인이 출현한다.〔夫黃河淸而聖人生〕”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주(註)에 “황하는 천 년에 한 번 맑아지는데, 그 상서(祥瑞)에 응하여 성인이 나온다고 세상에서 전한다.〔世傳黃河千年一淸 淸則聖人生於此時也〕”라고 하였다.[주D-002]고대광실(高大廣室)……일삼았네 : 나라를 망하게 할 만큼 극도로 호화롭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는 것을 형용할 때 쓰는 표현이다. 《서경》 〈오자지가(五子之歌)〉에 “안으로 여색에 빠지거나, 밖으로 사냥만 좋아하거나, 술과 풍악에 탐닉하거나, 고대광실을 짓고 담장을 아로새기거나, 이 중에 한 가지 일만 있어도 요행히 망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內作色荒 外作禽荒 甘酒嗜音 峻宇彫牆 有一於此 未或不亡〕”라는 말이 나온다.[주D-003]깨어진……파묻혔어라 : 국가의 패망을 비유하는 말이다. 서진(西晉)의 상서랑(尙書郞) 색정(索靖)이 천하가 장차 어지러워져 나라가 망할 것을 미리 알고는 낙양(洛陽) 궁문 앞에 서 있는 구리 낙타에 빗대어 탄식하기를 “이제 곧 너도 가시나무 덤불 속에 파묻히겠구나.〔會見汝在荊棘中耳〕”라고 탄식했던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60 索靖列傳》
[주D-004]조룡대(釣龍臺) : 나당(羅唐)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할 때 용의 조화로 구름과 안개가 끼어 방향을 구분할 수 없자 미끼로 유인하여 용을 낚아 올렸다는 곳으로 부여 백마강(白馬江)에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한국문집총간 3집에 수록된 《가정집》 권5〈주행기(舟行記)〉에 나와 있다.
이 글은 목은 이색(고려말)선생의 아버지가 쓴 가정집에서 발췌한 것이다.
윗글의 "청구(靑丘)는 산동 지역에 있는 지명으로 백제가 산동을 거점으로 하였던 제국임을 알 수 있으며 "천 년의 서기(瑞氣)는 땅을 씻은 듯 없어지고 / 千年佳氣掃地盡"에서 백제는 우리가 아는 약 700년의 역사가 아닌 일천년 백제를 말해주는 것이다.(고구려도 천년 고구려로 중국 정부가 인정하였다.-유네스코의 고구려 유적 증명에서)
천척 푸른 바위에 낙화의 이름이 붙었나니 / 千尺翠岩名落花에서 현 한반도 부여 낙화암은 일천척 되는 단애(절벽)가 없다. 일천척이면 300미터 높이를 말한다. 참고로 백마강(白馬江)은 산동의 '백마하'를 말한다.
첫댓글 청구는 산동이 아니며 백제가 산동에 거점을 두지도 않았다.
산동은 중국의 동쪽 끝 산동반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거란.요국에서 설치한 동경요양부 속주인 현주에 딸린 산동현 지역을 말하는 것으로 한 시기의 요동군 망평현 지역이다.
결국 한 시기부터의 대요수 곧 지금의 란하 중류 동쪽 지역을 예전부터 청구라 하였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백제가 지금의 란하 중.하류 동쪽 지역의 흥망지에서 서쪽으로 란하를 건너 진출한 요서 백제지부터 그 동쪽의 땅을 청구라 한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