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s5x5, “몽골귀족들은 어떻게 살았나요?”
몽골 고원의 몽골 귀족들은 아니지만, 혹시나 도움이 될까 싶어 올려봅니다ㅎㅎ
“단지 주의할 것은 내성과 궁전이 모두 티무르가 일상적으로 거주하는 장소는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그가 사마르칸트에 머물던 당시 거주하기 위해 이용한 것은 사마르칸트 교외의 목초지에 설치한, 성의 규모에 필적하는 거대한 천막이었다. 그는 권력을 장악한 후에도 고정 가옥에 살지 않고 천막생활이라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생활 양식을 견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후략)”
마노 에이지, “티무르조 문화,” 《교양인을 위한 중앙아시아사》, 마노 에이지, 호리카와 토오루 편집, 현승수 옮김(서울: 책과함께, 2009), p.264.
(상략) 도시[= 헤라트: 역주]의 북동쪽에 벽돌로 지어진 지배자의 거처가 있다. 그의 거처는 사각형인데, 연단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기둥이나 기와는 없다. 집에는 여러 방이 있고, 벽과 창문들은 황금색, 녹색 유리로 장식되어 있다. 문들은 뼈와 뿔을 이용해 꽃문양을 상감하여 장식했다. 바닥은 깔개로 덮혀있다. 군주가 자는 곳은 거처의 옆쪽에 있는데, 모기장으로 드리어져 있다. 침실에는 황금색 침대가 있고, 그 위에는 여러 층의 매트리스가 놓여있다. 그곳에는 의자가 없다. 군주는 단지 맨 바닥에 책상다리를 하고 앉을 뿐이다.
군주는 좁은 소매의 가운을 입고 모자가 덧씌워진 터번을 쓰는데, 하얀 줄을 이용해 이를 고정한다. 그는 머리를 뒤쪽으로 묶는다. 그의 의복은 하얀색인데, 그의 신민들이 입는 것과 비슷하다. 사람들은 그를 술탄이라 부른다. 술탄은 중국의 군주(君主)와 비슷한 의미이다. 군주의 아내는 악카라 불린다. 그의 아들은 미르자라 불리는데, 중국의 세자(世子)와 비슷한 의미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야기할때는 위아래 없이 이름으로 서로를 부른다. 그들은 크고 작은 정부 기관들이 없다. 그들은 또한 관료제도 가지지 않았다. 이러한 업무를 맡은 사람들은 디완의 관리라 불린다. 나라의 일은 크든 작든 디완 관리들에 의해 토의된다.
Moris Rossabi, “A Translation of Ch'en Ch'eng's Hsi-yü fan-kuo chih,” Ming Studies, 17(1983), pp. 49-50.
첫댓글 바로 이런것이 궁금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까먹고 글에는 안 썼는데, 두번째 인용문은 샤루흐의 이야기 입니다 ㅎㅎ
오스만 초기 술탄이란 비숫하네요 ㄷ
어느쪽이랑 비슷한가요? 티무르 아니면 샤루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