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김씨 진도입도는 김수로왕의 54세손(중려)이 할아버지께서 정부 종직에 재임중(개성. 평양. 한성) 1365년경(신동의 득세중)
경남하동으로 이주하였다가 다시 장택으로 옴기였고 여기서 장남선무량검교장군 가우,차남 진사 가의, 삼남가례, 세아들을 대리고
진도로 오던중 차남과 삼남은 장흥에 살게하고 장남가우씨만 단신 진도의신옥대(성사사제당)에 입도정착함/ 진도읍서외리에 대덕전이 있음(김해김씨 허씨 / 진도군 전체)
그 이 후 장흥에 거주한 가의의 손자 석곤이(김수로왕57세손이고 고군면조성하씨 딸과 결혼) 진도고군석현(오현사)에 입도정착 /
송정리는 57세손 석륜씨가 정착하여 집성촌이 되고 여기서, 백동. 남선. 지산면 서로지. 연동. 해남등 친가 있으며
영묘사(경파)는 김해김씨의 재당이고 선조들의 최초 집성촌이다/ 매년 3월 3일 참여하여 제를 모심
(김수로왕 57세손 장무 세종 을사생, 함흥박씨와 결혼)/ 약 400명의 선조의 제를 음3월3일 모심
참고사항 : 태조왕의 장손계 13세손 김유신장군을 중시조로하고 김해김씨148파중
김수로왕의 51세손 장손금령군목경을 파조로 한 경파(참판공. 횡성공. 안경공. 석성공), 차남익경은 사군파, 삼남김관을 중시조을 삼현파
라(절효공,탁영공,삼저공등 세아등를 두어서) 칭하였습니다 " 고인이신 김상수(진도읍)의 씨족문헌 참고함
필자는 김수로왕의 김해김씨 경파이며 증조부님은 현자돌림,조부님은 배자돌림, 아버님은 종자돌림,필자는73대손 태자 돌림, 자식은 영자 돌림, 손자는 겸자돌림/
세월이 흘러가면 한줌의 흙이 되고 영묘사 이곳에 명페가 있을 것이고---
1.경파세수(목경) : 67세 현, 68세 제, 69세 식, 70세현, 71세 배, 72세 종, 73세 태, 74세 영, 75세 겸, 76세 재
77세 진, 78세 호, 79세 근, 80세 익 81세 용, 82세 석, 83세 형, 84세 동, 85세 열,
2.사군파세수(익경): 67세 석, 68세 태, 69세 상, 70세 현, 71세 재, 72세 호, 73세 영, 74세 식, 75세 형,
76세 규, 77세 용, 78세 호, 79세 동, 80세 환, 81세 기,
3.삼현파(관) : 67세 창, 68세 두, 69세 용, 70세 곤, 71세 종, 72세 수, 73세 동, 74세 희, 75세 규, 78세 석,
4.시중공파(김탁)문경공파이고 예측은 신안임자도 김만조의 아들 김현희에서 조도로가지 않았나 생각함
71세 항, 72세 후, 73세 하, 74세 관, 75세 영, 76세 모, 77세 희, 78세 재. 79세 용.
80세 태, 81세 래, 82세 섭.
5.파 과 항열을 정어 놓은 것은 같은 성씨기 만나서 대화 할 때 김수로왕 몇대 손무슨파, 무슨 항열 돌임자 확인함
6. 참고사항 : 수로왕은 서기 42년 김해 구지붕에서 탄강하여 가락국을 세우고김해김씨 허씨, 인천이씨, 시조가 되었고
가락국을 창국하여 10대 양왕에 까지 491`년간 왕조가 낙동가유역과 김해를 중심/ 그 이후에는
삼국시대인 신라에 해당 김춘주/ 김유신장군등 역사에 기록되여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김대중 대통령은(종원) 70세손이고 경파손이지만 57세때 영정(1437년경 전라도관찰사/김대중대통령13대조)이
안경공파로 분류,이집안들은 강원도 원성군신현에 거주함 보명은 현중이고
7대조 김광성에 이르러 신안군 하의도에 정착 김광성(김대통령의 7대조)을 입도조로 하였음 약 연대는1700년경,
김대통령의 생모는 장로도이고 친정은 하의도오림리/외할아버지 장지숙은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에서132번지로
이사와 살면서 가사도출신 주귀심씨와의 사이에 세딸을 낳았는대 둘째딸이 김대통령의 생모이다
그 후 장지숙은 아들이 없어 장산수씨의 친족을 양자로 대려와 왔고 김대통령이 어렸을때 자주 놀려 찾아왔고
합니다 (김정호의 하의도발간책)
재헌국회의원 고 김병희 전 군향우회 김재권회장 경파/ 김태호회장 김정도회장은 사군파




첫댓글 김대중 대통령의 일부 내용과 부인 장씨집안이 진도에서 살았다는 내용을 서술 / 돌림자 내용은 진도군 김해 김씨 목자 경자 목겨의 후손들 일부임고
대화 할 때 알기 위해서 젊은세대들의 상식을 알려주고져함 나주에 시가 내서 돌림자 한문을 기록해드리겟습니다(혹시 이름을 지을때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