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과 우리들의 일상을 변화시킨 리더들의 이야기!
(사)대한언론인연맹 총괄상임회장
코리아 이슈저널 발행인 최계식
우리들의 일상과 세상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은 기업인들은 제조업이 아닌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분야에서 탄생하고 있다. 이들은 인터넷과 개인용 컴퓨터의 결합으로 인한 정보혁명 이후의 반도체와 초고속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등 인공지능과 로봇, 빅데이터, 사물인터넷등 몇 년전만 해도 상상하기조차 힘들던 4차 산업혁명이후 신기술의 창조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마이크로 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를 위시하여 애플, 삼성전자, 구글, 네이버, 페이스북, 카카오, TSMC, SK하이닉스, LG그룹, 현대차그룹의 회장 및 CEO, 창업자등이 쏟아낸 중요한 화두는 우리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들에게는 상상력과 통찰력과 기회포착 뿐만 아니라 승부욕에 실행력까지 겸비한 리더들이다. 그들의 생각과 행동과 실천에 귀를 기울여 승부를 걸어야 한다. 또한 그들의 이야기는 주옥같은 말보다 경영철학까지 담았기에 거울삼아 삶의 활력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마이크로 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2015년 하버드 대학교 졸업식을 앞두고 후배들에게 전하는 여러 메시지 중 한 대목이다.
「내가 대학생으로 돌아간다면 인공지능과 에너지, 생명공학을 공부하고 싶다. 여러분도 이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공부했으면 한다. 앞으로 인공지능과 에너지, 생명공학에 박식한 지식 노동자가 모든 조직을 이끌게 될 것이다.」
◎ 세계는 어떤 시대보다 좋아지고 있다.
※ 애플 창업자 ‘故스티브 잡스’는 2015년 스탠퍼드 대학교 졸업식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곧 죽게 된다는 생각은 인생에서 중요한 선택을 할 때마다 큰 도움이 되고 사람들의 기대 자존심 실패에 대한 두려움등 거의 모든 것들은 죽음 앞에서 무의미해지고 정말 중요한 것이 남기 때문이다. 죽을 것이라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무언가 잃을게 있다는 생각의 함정을 피할 수 있고 당신은 잃을게 없으니 가슴이 시키는 대로 따르지 않을 수도 없다.」
※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기술(반도체, AI, 바이오, 배터리) 인재에 집중투자하고 미래 신사업 및 먹거리를 마련해야 한다.
※ 구글 창업자 ‘래리 페이지’는 1996년 23세에 검색엔진 개발자
「창조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혁신에 매진하라.」
2017년 플라잉카를 만들기 위해 벤처기업 키티호크를 설립 1인승 플라잉카를 만드는데 1억달러 이상 투자하고 있다.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적의 군대가 철갑선 300척이라면 우리는 목선 10척밖에 없다. ‘다윗과 골리앗’을 이길 수 있는 유일한 힘은 집중과 속도뿐이라고 강조했다.」
※ 페이스북 CEO ‘마크 저커버그’
2017년 초고속 인터넷과 연결된 AR기기와 뇌파를 활용해 머릿속 개념을 말과 언어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면 생각만으로도 소통이 가능한 세상이 된다는 이야기다.
해커처럼 빠르게 움직여 문제를 해결하라.
머지않아 AR(증강현실) 기기가 기존 TV나 스마트폰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 카카오 의장 ‘김범수’
「기업가에게는 새로운 것을 찾아나서는 노마디즘이 필요하다.」
머릿속 지식은 혁신의 훼방꾼이다. 과거의 경험과 지식이 방해가 될 수 있다. 새로운 시대에는 이런 지식의 저주에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 TSMC 회장 ‘모리스 창’
「기술력만 있으면 틈새시장을 석권할 수 있다.」
※ SK그룹 회장 ‘최태원’
「재무적 가치만 키우면 사회적 가치가 망가진다.」
SK주요 계열사들의 정관에 사회적 가치 창출이라는 목적을 넣도록 했다.
※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 ‘정몽구’
어떠한 경우에도 품질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
「품질에는 타협과 양보가 있을 수 없다. 품질 향상은 기업의 존재이유다. 자동차가 고장이 없었다는 것은 경사스러운 이야기다. 완성차의 품질 경쟁력을 더욱 높여야 한다.」
◎ 정의선 회장의 경영철학 : 고객이 왕이다. 미래선도 기업이 되자. 2026년에는 자동차 세계 1위 기업으로 도약.
※ LG그룹 회장 ‘구광모’
선택과 집중
미래산업으로 전지, AI, 화학 권장 산업 육성
대한민국은 삼성그룹, SK그룹, 현대차그룹, LG그룹등 그룹의 총수들은 40.50.60대 초반의 나이이며 창업자의 2.3.4세대의 기업가들이다. 이들의 도전과 연구와 비전으로 대한민국은 현재 세계 6위국가로 발전했으며 중국을 제치고 세계 2위를 향해 전진합시다.
20230828
최계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