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월령에 용신이 없을 때도 있는데, 장차 어찌할 것인가?
연해자평의 월지 용신법과 자평진전식의 변격용신으로 구분되어 현재까지도 논쟁하는 이유가 이 질문 때문입니다.
초창기의 연해자평 용신법은 월지용신으로 전구월령용신법을 선정한 겁니다. 여기서는 투간자도 회합자도 용신할 수 없다는 주장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자평진전에서는 이를 부정하는 것입니다. 곧 자평진전의 용신법은 투간자 혹 회합자도 가능한 변격용신을 주장한 것입니다. 그래서 만약 일간과 월지의 본기가 동일하면 월지의 증기, 여기 투간자로 월령 이외에서도 용신을 구할 수가 있다는 견해를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연해자평에서는 전구월령용신이므로 용신은 월지를 벗어날 수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현재도 이것으로 논쟁하지 않습니까?
◯ 甲 ◯ ◯
◯ ◯ 寅 ◯
인목이 용신이다--연해자평식[전구월령용신]
◯ 甲 ◯ 丙
◯ ◯ 寅 ◯
인중(寅中) 병화(丙火)가 년간에 투간했으니 월령 이외에도 용신을 구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병화 식신용신이다[자평진전 변용]
자평진전에서는 투간회지한 별취용신을 찾는 방법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런 즉, 월령 이외에서도 용신을 구하는데 곧 병화 식신용신이 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러나 연해자평 관점에서는일부 학인들은 용신은 월지에서 벗어나면 큰일이 나는 것처럼 생각하는 겁니다. 곧 월령의 투간자 용신을 인정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단 겁니다.
그래서 심효첨선생도 논격국편에 용신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모두 연해자평의 전구월령용신법의 원칙을 따른 겁니다. 곧 변격을 변격장에 소개하지 않고 원칙적인 월지용신으로 모두 소개하는 겁니다.
그러므로 전구월령용신이 자평진전의 변격에 의해 사용법이 확대가 되는 겁니다. 즉 월지 용신이 아니라 월령에서 벗어난 지장간의 투간회지도 용신이 되었던 것입니다.
또한 월령에 용신이 없을 때도 있는데, 장차 어찌할 것인가?"
문제는 이 구결을 오해하는 겁니다
즉 이 내용을 월령 무용신(無用神)으로 단정하는 것입니다.
이건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 다음에 언급한 내용으로 인해 분명한 뜻을 지적하고 있는 것입니다.
-투간회지 별취용신
곧 월령을 벗어나서도 용신을 구하라고 말한 것입니다
이것은 월령에 용신이 없을 수도 있으므로
그럴 경우에는 월령 이외에서 존재하는 다른 용신을 찾아라
[투간회지 별취용신으로 구하라]
이게 자평진전의 변격을 말했던 것입니다.
다만 중요한 점은 반드시 월령에서 투간한 투간회지에 국한하는 겁니다
월지에 뿌리가 없는 것은 외격이 되기 때문에 해당이 안되는 겁니다.
그래서 말하길
종국에는 월령을 위주로 용신을 탐구해야 하는 것이다
라고 분명하게 지적한 겁니다.
然亦有月令無用神者將若之何如木生寅卯日與月同本身不可爲用必看四柱有無財官殺食透干會支另取用神 |
그러므로 이 구결의 내용은 다음 아래와 같이 이해하면 됩니다
◯ 甲 ◯ 丙
◯ ◯ 寅 ◯
일간과 월지의 인목(寅木) 본신(本身)이 동일하면 용신(用神)으로 할 수 없다. 그럴 경우에는 일단 투간회지한 별취용신을 찾아본다. 그런데 년간에 병화(丙火)가 투간(透干)하였다. 병화는 비록 월령에서 벗어났지만 월지에서 투간회지한 구조이므로 병화는 월령 이외에서 투간한 용신에 적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