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의 고도(古都) 후예(Hue)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베트남어: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共和社會主義越南, 문화어: 윁남 사회주의공화국, 통용: 베트남(越南), 월남)은 동남아시아에 있는 사회주의국가이다. 북쪽으로는 중국, 서쪽으로는 라오스 및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동쪽과 남쪽으로는 남중국해에 면해 있다. 동남아시아 본토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이다. 수도는 하노이이며, 최대 도시는 호찌민 시이다.
월남으로도 부른다. 이 나라의 명칭은 베트남어로 "Việt Nam(월남, 越南)"인데 이것은 오늘날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를 지배하였던 옛 베트남 왕조인 "Nam Việt(남월, 南越)"의 명칭을 거꾸로 쓴 것이다. 또한 같은 혈족인 중국계의 위에족(越族)도 고대에 중국 남부에 가까이 살던 민족의 이름이다.
베트남의 역사적 국명은 주로 大越. 한국식 발음으로 대월, 베트남식 발음으로 다이 비엣이었습니다. 예전에 다른 국명을 가진 적도 있고 일시적으로 바뀌기도 했지만 주로 다이 비엣이었습니다. 다이 비엣은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월나라라고만 생각하기 쉽지만, 이것도 사실상 말을 줄인 것에 가깝습니다. 그 전의 국명이 大瞿越이었기 때문이죠. 한국식 발음으로는 대구월, 베트남식 발음은 다이 꼬 비엣입니다.
베트남은 16세기 중반 분열을 하고 200년간의 분리와 떠이 썬의 난, 그리고 응우옌 푹 아인의 최후의 전쟁을 거친 끝에 통일됩니다. 300여년만의 통일이었죠. 그런데 분열기에 베트남은 놀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생존을 위해서 주변을 필사적으로 삥뜯었고, 그 결과 베트남의 국토는 분열 이전의 2배였죠. 그래서 그전까지의 국명인 大越로는 새로운 국가를 모두 대표하기가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응우옌 푹 아인의 조정은 중국에서 베트남을 부르던 명칭인 안남(安南, 베트남 발음 안 남), 즉 베트남을 대표하는 안남에서 南자를 빼오고 베트남 지역의 옛 명칭이자, 나중에는 현 베트남 중부지역에 위치했던 참파국을 가르키기도 했던 월상(越常, 베트남 발음 비엣 트엉)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새로운 국명을 제시합니다. 그게 바로 남월(南越, 베트남 발음 남 비엣)이었죠.
베트남은 다민족 국가로서 베트남 정부가 공인하는 민족의 수가 54개에 이른다. 최대 민족은 킨족(京族) 또는 비엣족(越族)으로 보통 베트남인이라고 할 때 다수종족인 이 킨족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킨족은 베트남 전체의 86.2%를 차지한다. 킨 족 내부에서도 서로 다른 역사적 배경과 정체(政體)를 거친 북부인과 남부인은 여러가지 면에서 대조적인 신체적 특징과 정치,경제적 대립의식을 갖고 있다. 각각의 소수민족은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참족과 같이 역사상 독립국가였다가 베트남에 흡수된 민족도 있고, 민족국가를 이루지 못한 채 산간지역에서 생활을 하는 민족도 있다.
1999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킨족(비엣족)은 86.2%를 차지하며, 따이족 1.9%, 므엉족 1.5%, 크메르 크롬(크메르족) 1.4%, 호아족이 1.1 %, 눙족이 1.1%, 몽족이 1%, 기타 민족이 4.1%를 차지한다.
자기 희생적 민족근성의 베트남인
흔히 베트남인은 인내심이 부족하고 우유부단한 데다 잘 화합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지만, 일단 전쟁이나 재난등 공동체의 운명이 걸린 대의명분앞에서는 사심을 버리고 강하게 뭉치는 등 자기 희생적 민족근성이 발휘된다.특히 다종족, 다문화 민족답지 않게 국가안보라는 대의명분앞에서는 베불, 베미, 베중전에서 보듯 가공할 만한 위력이 나타난다. 이 외에도 베트남 사람은 손재주가 좋고 총명하며 깊은 신앙심과 문화친화력 등 장점이 많은 민족이다.
용왕의 자손들 우리는 한 가족
최초의 낀족, 혹은 베트남 사람들은 천룡의 자손 락롱구엉(Lạc Long Quân)과 선녀 어우꺼(Âu Cơ)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전설에 의하면 두 사람은 동침하여 100개의 알을 낳았고, 그 알에서 100명의 아이가 태어났다. 베트남 사람들은 선조들이 한 자루에서 태어났다 하여 서로간에 동족이라는 의미의 꿍복(cùng bọc), 또는 동바오 (đồng bào;동포)라고 부른다. 즉 모든 베트남 국민은 한 조상으로부터 나왔으며 그들은 모두 형제자매라는 것을 암시하는 말이다.
베트남 최초의 국가, 남비엣
한편 이들 중 가장 강한 자가 방랑Văn Lang국(B.C.2019~B.C.207)을 세워 스스로를 훙왕(Hùng Vương, 雄王)이라 불렀으며 이후 기원전 257년경 중국 촉나라의 왕자 안증붕(An Dương Vương)이 오늘날의 베트남 북부지방에 어우락(Âu Lạc) 국을 건설한다. 하지만 기원전 208년 남비엣(Nam Việt)국의 중국 진나라 시대의 장군이었던 찌우다(Triệu Đà)가 안증붕왕을 죽이고 어우락 국을 복속시킨 뒤 스스로 남비엣(Nam Việt)국을 세워 왕이 된다.
방랑은 한국의 단군조선격으로 동서문화의 발원지이며, 어우락은 기자조선 격으로 꼬로아 성을 지은 나라다. 하지만 이 두나라는 역사적으로 고증되기 어려워 사가들은 일반적으로 남비엣을 최초국가로 여긴다. 남비엣이 한 나라에 대항함으로써 대중국 투쟁의 단초를 열었으며 마지막으로 베트남 역사를 관통하는 이름, 비엣이 최초로 등장하기 때문이다. 결국 베트남 역사의 국명은 남월, 대월 등 비엣越이 거의 끝까지 가다가 결국 남비엣(南越) 에서 순서만 뒤집어서 비에트남 越南=월남이 된다.
베트남 사람, ‘응으이 비엣남’
베트남 사람을 흔히 응으이 비엣(Người Việt) 또는 응으이 낀(người Kinh)이라고 하는데, 지리상으로는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 일대에 걸쳐 사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들은 오늘날 베트남 인구의 86.2%를 점하고 있으며 ‘영똑낀’(dân tộc Kinh;낀족)이라고 하여 여타 베트남내 소수종족인 ‘영똑 티우소’(dân tộc thiểu;소수민족) 와 구별된다.(따이족 1.9%, 므엉족 1.5%, 크메르족 1.4%, 호아족 1.1 %, 눙족 1.1%, 몽족 1%, 기타 민족이 4.1%를 차지함)
세계 ‘14위’ 인구대국, 베트남 최근 발표된 CIA의 The World Factbook 통계자료에 의하면 베트남 인구는 90,549,390명으로 세계 14번째 인구대국이 되었다. 베트남 통계국 자료에 의하면 이들 인구 가운데 2,540만명(29.6%)가 도시 지역에 살고 있고 나머지 6천만명이 농촌지역에 거주한다.
한편 남녀 평균비율은 98:100, 서부고원지대는 102: 100으로 남아비율이 가장 높고 베트남 동남부의 경우 95: 100으로 그 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에 속한다.
베트남 국어, 띠잉비엣
베트남 사람들이 사용하는 국어는 띠잉비엣(tiếng Việt;베트남어)으로 베트남의 총 인구 중 약 87%를 차지하는 킨족의 모국어이자 베트남의 공용어이다.
이는 비엣-므응 (Việt-Mường) 계통의 언어로, 북부 홍강 델타지역을 비롯한 베트남 전국에 걸쳐 널리 통용되고 있다. 북부 방언은 6성조를 사용하고 음절 끝자음을 분명히 발음하지만, 중부와 남부 방언은 5성조를 사용한다. 베트남어의 표준음은 하노이의 북부 방언을 기초로 하고 있다.
한편 베트남의 공식언어는 베트남어이며 로마자로 적는다. 베트남어는 단철어로, 성조에 6성이 있다. 중국의 영향으로 한자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19세기부터 프랑스의 식민통치를 받으면서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가 추진되어 현재 한자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 꾸옥 응으(베트남어: quốc ngữ/ 國語)로 불리는 이 로마자 표기는 16세기부터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이 현지어를 로마자로 옮겨 적으려는 작업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재외 베트남인 비엣끼우
베트남 교포를 지칭하는 비엣끼우 (Việt kiều)는 베트남 동포로 외국에 거주하는 자들을 가리킨다. 흔히 끼우 바오(kiều bào)라고도 하는데 이는 베트남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외국에 거주하는 베트남 동포를 일컫는 말이다. 197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프랑스 등에 10만여명의 교포가 거주했지만 1975년 해방 후 교포수가(보트 피플)가 대폭 늘었고, 1990년 러시아와 동독이 무너지자 유학갔던 베트남인들이 그곳에 안착하기 시작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띠었다.
그 결과 2012년 외교학술원 보고자료에 따르면 외국에 거주하는 베트남 교포의 숫자는 400만명에 육박한다. 이들은 103개국에 흩어져 살고 있으며, 이들 중 98%는 미국 (220만명), 유럽 (40만명), 동남아 (60만명), 동북아 (20여만명) 등 21개국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며 자국내 달러 유입에 크게 기여해오고 있다.
백인백색 다양하고 풍부한 전통문화
베트남은 다양하고 풍부한 전통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54개의 소수 민족들은 저마다 고유한 전통과 풍속, 생활방식, 종교를 유지하고 있으며 각자 독특한 언어체계를 바탕으로 문학과 예술도 제각기 발달되었다.
베트남 문화는 북부 홍강 델타문명 (đồng bằng sông Hồng)을 중심으로 꽃 피기 시작하여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영토확장과 더불어 북서부와 동북부 고원지대, 북중부의
짬파 (Chăm Pa) 문화및 남부의 호아족(người Hoa) 및 크메 (người Khmer)족 문화,기타 따이윙 (Tây Nguyên:서부고원)지대 문화와 결합하여 더욱 다양하고 풍부해졌다.
전형적인 가족공동체 문화
한편 일찍부터 유입된 유교사상에 의해 효와 인의예지신 등과 같은 덕목이 중시되고 가장 또는 족장에 의해 움직이는 철저한 가족공동체 사회라 할 수 있다. 즉, 개인주의를 중시하는 서구 문화와 달리 유교적 동양문화권에 속하는 베트남은 가족 혹은 가정공동체 생활을 중시해왔다. 이 중에서도 야똑(gia tộc;가족, 가문)이 야딘(gia đình;가정)보다 우월한 개념으로, 가족 내에는 반드시 똑쯩(tộc trưởng;족장)과 방터(bàn thờ ;제단, 사당)가 있으며, 장례식에는 일반적으로 가족과 족장이 참여한다.
한편 지난 호에 소개한 조상숭배, 즉 똥낀또띠엔(tôn kính tổ tiên)이라고 하는데, 베트남의 가장 중요한 전통 문화 가운데 하나로, 국가적으로 장려되고 있다. 특히 따이윙 (Tây Nguyên;서부고원지대)에서는 야이(nhà dài;큰 집) 라고 하여 한 집에 여러 가정이 함께 거주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으며, 베트남 농촌 지역에서도 오늘날까지 한 집에 삼 사 세대가 함께 사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 중국의 유교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베트남에서는 윗사람과 아랫사람이라는 상하 개념은 없고, 서로 스스럼없이 대하는 경향이 있다.
건국신화와 민족기원
선사시대
고대문화와 국가의 발생
중국 복속 시대
전통왕조시대(939-1858)
프랑스령 식민시대(1859-1954)
대미 항쟁시대(1954-1973)
통일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1973-현재)
1. 건국신화와 민족기원
1) 건국신화
- 강한 힘을 가진 바다신 락 롱뀐(Lac Long Quan)과 아름다운 산신 어우 꺼(Au Co)의 결합으로 100명의 아들이 탄생,반은 아버지를 따라 바다로 반은 어머니를 따라 산으로 감.
- 어우 꺼 여신의 직계 후손인 훙(Hung) 가문이 베트남 최초의 부족국가인 반 랑(Van Lang)국을 건국했고 후에 이 왕국은 어우락이라 불림(최근 발견된 고고학적 유물들에 의하여 훙 왕조가 풍 우옌(Phung Nguyen)이라는 고도롤 발달된 문화를 건설했음이 재확인 됨.
- 13세기 후반 세차례의 대몽항전을 계기로 높아진 민족의식을 배경으로 건국신화가 완성됨.
14세기 후반에 편찬된 것으로 추측되는 설화집 "영남척괴"(Linh Nam Chich Quai 嶺南拓怪)에 수록 되었고, 약 100년 뒤에 서술된 "대월사기전서(Dai Viet Su Ky Toan Thu 大越史記全書)에도 동일한 내용이 유교적으로 윤색되어 실림.
* "사기(史記)"열전에 나오는 중국 남부지역에 거주했던 바익 비엣(Bach Viet 百越)이 락 롱 꿘과 어우 꺼와의 결합으로 탄생된 100명의 아들들이 세운것이라는 설도 있음.
2) 민족기원
- 비에트(Viet)족이 중국 전국시대 월나라가 초나라에 망하자 (BC 330경) 남하한 월나라 유민의 후예라는 설이 있음(주로 외국학자)
- 반면 베트남인들은 BC 3000년경 동선(Dong Sun 東山) 문화를 이루고 있던 락 비에트(Lac Viet)족이 오늘날 베트남인의 직접적 조상이라고 주장(주로 베트남인 학자)
* 락 비에트 족은 정교한 사회조직을 형성하고 채관기술,야금술,동광석의 제련술등을 보유(동선문화 시기에 제작된 동고를 통해 확인)
락(Lac )은 베트남 민족 토템인 Long(龍)으로부터 유래햇다는 설과 농경과 관련한 하천이나 수로를 의미하는 "Lach, Rach"으로부터 유래했다는 설이 양립
2. 선사시대
1) 구석기 시대
- 랑 썬(Lang Son)성에서 1965년에 약 50만년전 전기 구석기 시대로 추정되는 Sinanthropus와 유사한 유골화석 2구 발견
- 1965년 타잉 호아(Thanh Hoa)성 도 썬(Do Son)에서 약 30만년전의 슐리앙(Chellean)형 손도끼를 포함한 석기 수천점 발견
- 약 3만년에서 2만년 사이의 후기 구석기 문화는 크게 박편석기와 석핵석기(썬 비 문화)의 두 계통의 문화가 존재
2) 중석기 및 신석기 시대
- 1만천년에서 7천년사이 호아 빙(Hoa Binh)문화시기에 원시적인 농경이 시작되었고 토기가 제작됨.(중석기에서 신석기 초기 단계)
- 호아 빙 문화에 이어 박 썬(Bac Son , 8,000-6,000년전), 다 븟(Da But, 6,000-5,000년전), 뀡 반(Quynh Van, 6,000-5,000년전), 하 롤(Ha long, 6,000-5,000년전), 동 나이(Dong Nai, 약 4,000년전) 등의 문화가 북부,중부,남부에서 연속적으로 발전하여 4천년 전부터는 청동기 시대로 진입함.
3. 고대문화와 국가의 발생
1) 고대문화(청동기-초기철기)
가) 풍 응웬(Phung Nguyen)문화(4000년전,초기 청동기 문화)
유물.유적이 홍하 삼각주의 고지대에 분포하고 잇으며, 수도작 농업을 영위
나) 동 도우(Dong Dau) 문화(3500여년전,중기 청동기 문화)
점진적으로 청동 주조기술이 진보하였으며, 유물.유적이 홍하 삼각주 전역에서 출토
다) 고 문(GoMun)문화(3000여년 전후,후기 청동기 문화)
청동 주조기술과 동기 제작 기술이 정교해졌고, 유물.유적의 분포지역이 동 도우(Dong Dau)문화와 동일
라) 동 썬(Dong Son)문화(3000년경,말기 청동기 초기 철기 문화)
락 비엣(lac Viet)족이 건설한 문화로 정교한 사회조직을 형성하고 채관기술,야금술,동광석의 제련술을 보유
유적,유물 분포 지역이 홍하 삼각주 지역뿐만 아니라 응에(Nghe An)지역까지 북부 베트남 전역에 분포
난숙한 청동기 문화와 수도작 농업의 생산력을 바탕으로 최초의 국가인 반 랑국을 건국
2) 고대국가의 발생(BC 690-111)
가) 기원전 690년에 최초의 국가 반 랑(Van Lang)국이 건국되엇고, 반 랑국은 흥 브엉(Hung Vuong 雄王)이라 불린 18명의 왕에 의해 다스려 지다 기원전 258년에 어우락(Au Lac)국의 안 즈엉 브엉(An Duong Vuong 安陽王)에게 멸망됨.
나) 어우 락국은 기원전 206년 남 비엣(Nam Viet 越南)국의 찌에우 다(Chieu Da)에게 멸망되엇으며, 남 비엣국은 기원전 111년 한무제의 정복으로 멸망
다) 기원전 111년 한 무제가 남월을 정복하여 베트남 지역에 3개의 군(교지,구전,일남)을 설치 함.
4. 중국복속시대
베트남은 중국에 조공을 바치는 대신 새로운 교육제도,한자 및 서적, 행정제도, 제방 축조술, 벼농사 기술, 토지 개발방법 등을 전수 받았고, 유교, 도교, 불교, 등의 종교를 수용 한무제의 남월정복 이후 중앙에서 관리가 파견되었으나 이는 토착지배층의 통제에 그치고, 중국의 지배력이 토착사회 내부에까지는 미치지 못함. 따라서 토착지배 세력은 현실적으로 거의 독립적인 상태에서 주민을 지배하엿으며, 중국 중앙에 대해서는 정기적으로 남방 특산물을 조공으로 바침.
쯩자매(Trung Trac, Trung Nhi, 40-43),찌우에 어우(Chieu Au 또는 Ba Chieu, 248),리 비(Ly Bi 또는 Ly Nam De,544-547),마이 툭 로안(Mai Thuc Loa,722),풍 흥(Phung Hung,782-789)등의 봉기를 통해 중국의 지배를 줄기차게 저항
* 쭝자매는 오늘날까지 민족운동의 선구자로서 베트남 사람들의 추앙 대상
베트남의 기후와 지리적인 조건때문에 대개 수준이 낮은 관리들이 파견되어, 개인적인 부를 축적하기 위해 가혹한 수탈을 일삼고 토착관습을 무시하고 중국의 관습과 제도를 강제로 관철시킴으로서 반란이 빈발
반면, 선량한 관리가 부임하여 토착관습을 존중하고 농민을 위한 시책을 펴는 경우에는, 오히려 중국의 제도와 문화가 토착 지배층에 점진적으로 수용.
장기간 중국의 지배하에서 중국문화의 수용을 둘러싸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입장(주로 홍하 삼각주 지역 출신)과 중국의 정치적 지배와 문화의 수용을 거부하는 입장(주로 마강 유역등 북부 남단지역 출신)이 대립
- 당 말기에 이르러 중국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견지하는 세력들에 의해 빈번하게 저항운동이 발생하였으며, 마이 학 데(Mai Hac De)를 칭한 마이 툭 로안,보 까이 다이 브엉(Bo Cai Dai Vuong)을 칭한 풍 흥은 후자의 대표적인 존재(베트남의 고유의 관습과 문화를 강조)
5. 전통왕조시대(939-1858)
1) 응오(Ngo 吳)왕조(939-944)
응우 꾸엔(Ngo Quyen)은 938년 중국의 남한군을 바익 당(Bach Dang)강 전투에서 물리치고 독립을 쟁취하고 수도를 중국 지배의 중심지였던 다이 라(Dai La)에서 꼬 로아(Co Loa)로 옮김
그러나 새왕조의 위엄과 권위를 세우기 위해 관리들의 의복 빛깔까지 중국의 제도를 모방
이러한 응오 꾸엔의 중국화 정책의 한계로 인해 베트남의 중국으로부터의 독립시점을 972년으로 설정하는 견해도 있음.
2) 딩(Dinh 丁)왕조(965-980)
딩 보 링(Dinh Bo Linh)은 965년 응오 꾸엔 사망루 지방을 근거로 할거하는 토착세력간의 치열한 투쟁시기인 12사군 시대를 종식시키고 베트남을 통일
966년 중국과 대등하게 황제를 칭하고 나라이름을 다이 꼬 비엣(Dai Co Viet)이라고 하고 수도를 호아 르(Hoa Lu)로 옮기고,형벌을 엄하게 하여 사회혼란을 종식시키려 노력하는 한편 970년에는 타이 빙(Thai Binh 太平)이라는 연호를 사용
3) 전기 레(Le )왕조(980-1009)
레 호안(Le Hoan)이 980년 침입한 송군을 물리치기 위한 출전에 앞서딩 또안(Ding Toan)으로 부터 왕위를 물려받아 전기 레(Le)왕조를 세움. 980년 티엔 푹(Thien Phuc 天福)이라는 연호를 제정하고 981년 송군의 침입을 격퇴
중앙집권적인 정부건설, 승려존중,불교문화 번창,교육의 질 개선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활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엿으며, 남쪽의 참파(Champa) 왕국과 대결하여 다낭 북쪽까지 진출
4) 리(Ly 李)왕조(1009-1225)
레 호안 사망후 리 꽁 우언(Ly Thai To 李太祖)이 관리와 승려들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올라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장기적으로 대내외 안정을 이룩한 리(Ly)왕조 수립
1010년 수도를 교통의 요지인 탕 롱(Thang Long,현 Hanoi)으로 옮기고 불교를 장려하고 세제 및 지방 행정제도를 개혁하는 등 왕조의 영속을 위해 노력
불교보호, 지방행정제도 및 조세제도 정비 등 중앙집권화를 이룩하고, 문묘 건립(1070) 및 과거실시(1075),국자감 설치(1076), 중국으로 부터 전수 받은 관개기술을 활용한 수로건설,광대한 농토개간 등 중국의 유교적 농경문화가 확고하게 정착됨
1075년 송나라의 침입을 물리치면서 병사들이 노래한 "남국강산 남제거(南國江山 南帝居)"라는 싯귀를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독립을 선언한 것으로 높이 평가
* 이용상 왕자가 고려에 망명, 화산이씨의 시조가 됨
5) 쩐(Tran)왕조(1225-1400)
리 왕조의 뒤를 이은 쩐 왕조도 200여년간 존속하였으며, 강력한 정치제도와 군사조직에 힘입어 세차례에 걸쳐 몽고의 침입을 물리쳣음.
몽고의 침입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베트남 민족정신이 고양되엇고 독특한 베트남어 표기법인 쯔놈으로 쓰여진 국어시가 발달
리 왕조시대 못지 않게 불교가 융성하였으나 후기에는 불승들의 정치적 영향력은 점차 후퇴하고 과거제도에 의해 선발된 유교적 소양을 갖춘 문인층에 의해 정치가 주도
리 왕조에 이어 나진정책을 계속 추진하여 참파왕국으로 부터 영토를 할양받는 등 공세를 취하엿으나, 말기에 이르러 국정문란과 국력약화로 인해 오히려 참파 왕국의 침입에 시달림
6) 호(Ho 胡)왕조(1400-1407)와 명의 지배
쩐왕조의 인척으로 실권을 장악한 호 뀌 리(Ho Quy Ly)는 1400년 왕위를 찬탈하고 ,세제를 개혁하고 한전법을 제정하여 왕실과 귀족의 토지소유를 제한하는등 농민의 부담을 경감시킴
또한 교육제도 개혁 및 쯔놈 장려 등을 통해 민족문화 건설에 노력하고 중앙집권 강화를 위해 행정제도를 개편함
호 뀌 리는 자신의 세력기반인 타잉 호아(Thanh Hoa)에 수도를 건설하면서(1397) 서도라이름하고 탕 롱은 동도로 개칭함(명의 침입으로 서도로의 천도는 성사되지 못함)
명의 영락제때 남해무역 장악을 위한 대외팽창정책의 일환으로 쩐 왕조를 찬탈한 호씨를 징벌한다는 명분으로 베트남을 침공, 1407년 호 뀌 리 부자를 체포하고 1428년 쫓겨갈 때까지 명제국의 일부로 통치하면서 동화정책을 실시
7) 후기 레(Le)왕조(1428-1788)
1427년 레 러이(Le Loi)가 응웬 짜이(Nguyen Trai) 도움을 받아 명의 군대를 격퇴하여 창건
1428년 응웬 짜이가 레 타이 또(Le Thai To)의 명을 받아 명과의 전투경과를 회고하고 베트남이 중국의 속방이 아닌 오랜 전통과 문화를 가진 독립국임을 천명하는 "평오대고(平吳大誥)"를 지음(역사상 두 번째의 독립선언으로 높이 평가)
오랜 전란으로 피폐된 사회를 재건하기 위해 행정체제의 확립과 토지제도의 개혁에 노력을 경주하였으며 학문과 교육을 장려하고 동남아에서 가장 발달된 법전을 편찬함
8) 막(Mac 莫)왕조(1527-1592)
후기 레(Le)왕조가 수립된지 약 100년이 흐르자 왕권이 약화되면서 권신이 발호하여 1527년 막 당 쯩(Mac Dang Dung)이 왕위를 찬탈
막 당 쯩은 레(Le)왕조의 전통과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면서 전제와 군제를 개혁하여 자신의 권력을 보다 강화
응웬(Nguyen), 찡씨(Thinh)에 의한 레(Le)왕조의 부흥운동이 결실을 맺어 1592년에는 막씨를 까오 방(Cao Bang) 지방으로 축출하고 레왕조 제건
-막씨는 1677년까지 중국 청조의 보호하에 지방정권으로 명맥유지
9) 남.북 분립기(1593-1770)찡(Thinh 鄭), 응웬(nguyen 院)가의 대결
막씨가 축출된 다음 일시적으로 베트남이 통일되엇으나 북부에서는 찡씨가 레왕조를 받들고, 중남부에서는 응웬씨가 권력을 잡고 서로 주도권을 다툼
재건된 레왕조의 황제는 부어(Vua)라 불리는 합법적인 지배자로 인정되엇지만 실권은 쭈어(Chua)라 불리는 찡씨와 응웬씨가 장악
10) 떠이 썬(Tay Son 西山) 왕조(1771-1802)
1771년대 중부지방(Binh Dinh)에서 응웬(Nguyen)씨 3현제는 원래 조상의 성이 호(Ho 胡)씨로 증조부때까지 응에 안성에 살다 1650년경 중남부지배자인 빙 딩(Binh Dinh)성 떠이 썬 지역에 보내졌음(뒤에 성을 응웬으로 바꾸었음)
관리들의 부패와 토지숱날에 분노한 농민들 사이에 상당한 지지를 획득하여 떠이 썬 삼형제의 반란군이 남부에서 사이공을 점령(패주한 응웬가의 생존자들은 프랑스 선교사의 도움으로 생명 보존)
중부 후에를 정복한 떠이 썬의 맏형인 응웬 반 냑(Nguyen Van Nhac)이 남부와 중부의 통치자로 군림
떠이 썬의 막내 응웬 반 후에(Nguyen Van Hue)가 북부에서 중국 군대를 물리쳐 찡(Thinh)가의 지배를 종식시키고 꽝쭝(Quang Trung)제로 즉위하여 농민들을 위한 개혁정책과 봉건 영주제 폐지 등을 시도햇으나 그의 사망후 왕조 분리
11) 응웬(Nguyen 院)왕조(1802-1859)
프랑스 선교사의 도움으로 떠이 썬 반란군으로 부터 생명을 보전한 응웬 축 아인(Nguyen Phuc Anh)이 프랑스 용병(300명)의 도움과 의병의 호응을 받아 떠이 썬 세력을 격파하고 1802년 응웬왕조를 수립하고 후에에 정도함
응웬왕조때 현재의 베트남 영토를 확보하였으며 왕조 수립의 중심 세력은 사이공등 남부 출신임.
중국 청왕조로 부터 왕위를 인정 받는 대신 조공을 바치고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구축 하였으며 응웬왕조 수립에 공로가 큰 프랑스 상인들에게 여러가지 이권을 제공함.
응웬왕조 2대 황제 밍 망(Minh Mang)제는 자신의 통치를 어렵게 만들고 있는 각 지방에서의 반란에 외국인들의 영향을 의심하고 프랑스와 자국인 성직자들을 박해하고 참형에 처함으로써 프랑스의 군사 개입을 초래
프랑스는 중국 내륙의 풍부한 자원을 선점하기 위한 통로로 베트남을 이용하기 위해 무력을 앞세워 베트남을 식민화시킴.
* 응웬왕조는 프랑스 식민지 체제하에서도 마지막 황제(Bao Dai)가 퇴위한 1945년까지 존속
12. 프랑스령 식민시대(1859-1954)
1859 프랑스군 사이공, 지아딘 및 미토 점령
1862 프랑스 비엔 호아, 바리아, 빈롤 코친차이나 동부 3성 점령
1867 프랑스 남부 코친차이나 전지역 점령
1873 프랑스 북부 통킹에 무력 진출(홍강을 통한 중국내륙 진출 목적)
1874 프랑스 사이공 조약을 체결 코친차이나 전역을 직할 식민지화
1883 프랑스의 위협에 따라 응웬 왕조와 프랑스 사이에 아르망 조약체결(프랑스의 보호국으로 전락)
1887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성립(라오스, 크메르 포함)
1890 호 치 밍 응에 안(Nghe An)성 낌 리엔(Kim Lien)에서 탄생
1893 프랑스 라오스를 인도차이나 연방에 편입
1905 판 보이 쩌우 동유(일본유학)운동 전개
1907 하노이에 동경의숙 개설
1915 유럽전선에 14만명의 베트남인이 병사, 노동자로 징발
1916 주이 떤(유신)황제 무장봉기를 시도하다 레위니옹섬에 유배
1919 응웬 아이 꾸옥(호 치 밍) 베르사이유 강회회의에 8개한의 "베트남 인민의 요구" 제출
1925 바오 다이(Bao Dai) 응웬왕조 마지막 황제로 즉위
1927 서구의 민주주의 사상을 배운 중신층인 교사.학생.언론인을 중심으로 베트남 국민당을 결성하엿으나, 성급한 무력 봉기 시도로 지도자들이 처형됨으로서 우파의 독립운동은 주도권 상실
1930 베트남공산당 결성
1936 프랑스 인민전선 레옹 블룸내각 성립, 인도차이나 공산당 활동 합법화 됨.
1940. 9 일본군의 베트남 진주
1941 응웬 아이 꾸옥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주체로 하는 "베트남 독립 동맹(베트민)"을 결성
1944. 12 베트남 인민군의 전신인 "해방군 무장선전대"를 조직
1945. 3 일본군 프랑스 식민당국을 축출하고 베트남 직접지배
1945. 8 일본군 항복
1945. 9 . 2 호 치 밍 베트남 민주공화국 독립선언(베트남 역사상 3번째의 독립선언)
1945. 9 연합군 베트남 진주(일본군 무장해제를 위해 16도선 이북에는 20만의 장개석군이, 이남에는 영국군이 진주)
1946. 1 영국군 프랑스군에게 북위 16도선 이남의 정권을 이양
1946. 2 "프랑스. 중구협정"에 의거 프랑스군 북위 16도선 이북 관리권 획득
1946. 3 호 치 밍 - 쟝 생뜨니간 "예비협정(하노이 협정)"에 조인하고, "베트남 민주공화국"을 프랑스 연합,인도차이나 연방내의 "자유국가"로 승인(제1기 국민회의 제1차 회의 호 치 밍을 국가주석으로 선출)
1946. 8 풍뗀느블로 교섭 결렬
1945. 12 베트민군 하노이에서 일제 봉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대불전쟁) 발발
1949. 10 "중화인민공화국"성립,베트남 원조 본격화
1950. 1 중국 ,소련 "베트남민주공화" 을 승인
1950. 2 미국,영국"베트남국(바오 다이정권)" 승인
1951. 3 호지밍 인도자이나공산당을 개조하여 "베트남 노동당" 결정
1954 .5 뎐변푸 함락
1954. 7 "제네바협정"에 조인 (북위 17도선을 잠정 군사분게선으로 하여 베트남을 남과북으로 분할)
7. 대미 항쟁시대(1954-1973)
1955 남부에 미국지원 베트남 성립(ㅊ대 대통령 응오 딩 지엠)
1956. 5 북베트남 남베트남에 대해서 통일선거 실시 협의 제의, 남베트남 이를 거부
1956. 11 북베트남 응에 안 지방에서 토지개혁에 불만을 품은 농민들이 폭동을 일으킴(쯔엉 친 노동당 서기장 해임)
1957. 1 호 치 밍 주석 미얀마, 인도, 북한, 폴란드, 동독, 유고, 헝가리, 알바니아, 루마니아 방문
1958 김일성 북베트남 방문, 남베트남에서 반 응오 딩 지엠 조직 성립
1960. 1 북베트남 신헌법 공포
1960. 12 민족해방전선(NLF, 속칭 베트콩)결성
1962. 2 미국, 사이공에 "남베트남 군사원조 사령부"를 성치(군사 고문단을 4,000명까지 증가시킴)
1963. 11 구테타로 남베트남 응오 딩 지엠 정권 붕괴
1964. 8 통킹만 사건 발생, 미군기 북베트남 어뢰정 기지 공습
1965. 2 미국군 북폭개시, 미국의 전쟁개입(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1968. 1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일제 공세(구정대공세)
1968. 5 미국, 북베트남, 파리에서 평화회담 시작
1969. 1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사이공 정권을 포함한 확대 파리회담 시작
1969. 6 남베트남 해방전선을 주체로한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 성립
1971. 7 파리평화회의에서 응웬 티 빙(Nguyen thi Binh 현재 국가부주석)임시 혁명정부 대표 7개항의 평화 제안
1973. 1 미국,북베트남,남베트남,남베트남 임시혁명 정부, 파리에서 평화 협정에 조인
1973. 6 4당사자 사이에 "재정전" 결정
8. 통일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1973-현재)
1975. 4. 30 베트남 공산화(사이공 함락)
1976. 4. 26 남북통일 총선거 실시
1976. 7.2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수립
1977 UN가입
1978. 10 캄보디아 침공
1979. 2 중. 월 국경전쟁
1986 도이머이(Doi Moi:개혁)정책 추진결정(6차 전당대회)
1989. 9 캄보디아 철군 완료
1991 중국과 국교 정상화
1992. 12. 22 한국과 수교
1995. 7. 12 미국과 수교
1995. 7. 15 ASEAN 가입
1998 APEC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