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문학관과 혼불마을
혼불문학관은 대하소설《혼불》의 배경이 되는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
혼불마을 안에 세워진 문학관으로 근원에 대한 그리움을 해소하고자
혼을 불사른 최명희 님의 뜻을 기리고자 2004년 개관했다.
노봉, 수촌, 서촌, 인화, 덕평 5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혼불문학마을에는
혼불문학관을 비롯해 종가·청호저수지·달맞이공원·노적봉·서도역 등
소설에 등장하는 장소가 조성돼있다.
청호저수지는 노봉마을 서북쪽으로 뻗어내린 노적봉과 벼슬봉의
산자락 기맥을 가두기 위해 큰 못을 파고 그 갇힌 기운이
찰랑찰랑 넘치게 한다면 가히 백대천손의 천추락만세향을
누릴 곳이다하여 소설 속 청암부인이 2년여에 걸쳐
만든 곳으로 혼불문학관 옆에 있다.
수촌마을 입구에는 약 500년된 느티나무가 있는데
옛날 사포대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아름다운 주변의 경치에
도취되어 지팡이를 꽂아놓고 잠시 쉰 후 깜빡 잊고 그냥 갔으니
그 지팡이에서 싹이 돋아 느티나무가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혼불』은 고 최명희 씨가 1980년부터 1996년까지 17년에 걸쳐 원고지 12000장 분량
(총 10권)으로 완성한 대하소설이지요. 1930년대 암울했던 시대를 배경으로 남원의
몰락해가는 양반가 며느리 3대의 이야기를 주축으로, 국권을 잃고
일제의 탄압에 힘겹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정신세계를
그려낸 소설입니다. 특히 호남지방의 세시풍속과 관혼상제 등
전통문화를 생생한 우리 언어로 복원해 냈다는 점에서
‘우리 풍속의 보고’라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혼불』 완간 직전에 난소암에 걸린 것도 숨긴 채 집필에만
매달리던 최명희 씨는 책이 완간된 지 2년 후인
1998년 안타깝게도 쉰 살의 짧은 생을 마감했습니다.
문학관 내부에는 소설 속 각종 장면(혼례식·강모와 강실의 소꿉놀이·
액막이연 날리기·청암부인 장례식·춘복이 달맞이 장면 등)이
디오라마(diorama; 작은 공간 안에 어떤 대상을 설치해놓고
틈을 통해 볼 수 있게 한 입체 전시)로 전시되어 있다.
또 작가 최명희의 집필실이 재현되어 있으며,
베짜기 체험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1


↑ 재현해 놓은 작가 최명희의 집필실

↑ 액막이 연 날리기
↑ 강모와 강실의 소꼽놀이
↑ 춘복이 달맞이 장면

↑ 혼례식 장면

↑ 청암부인 장례식



종가는 혼불의 중심무대이며 청암부인, 율촌댁, 효원과 강모가 거주하던 곳이다.
종부는 그저 한 사람의 아낙이 아니고 흘러내려오는 핏줄과 흘러가야 할 핏줄의
중허리를 받치고 있는 사람이라고 한 청암부인의 기상이 서려있다. 2


↑ 종가집이 소실되어 아직 복원되지 않은채 주춧돌만 남아있다.


↑ 노봉서원
1728년(인조 17년)나라에서 현판과 책, 노비, 토지를 함께 받은 사액서원이다.
그러나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없어진 후
지금은 빈터에 주춧돌만 남아있다.
종가 담장안의 뒤편에 있다.


|
아름다운 간이역, 구 서도역
서도역은 소설 혼불의 중요한 문학적 공간이며 혼불문학마을의 도입부이다.
서도역은 소설 혼불에서 효원이 대실에서 매안으로 신행올 때
기차에서 내리던 곳이며, 강모가 전주로 학교를 다니면서
이용하던 장소이기도하다.



1932년 지어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역사로서,
전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역으로 손꼽힌다.
2002년 전라선 철도 이설 후 신역사로 이전하면서
헐릴 위기에 처하자, 2006년 남원시에서
매입하여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하고 영상촬영장으로 보존 활용하고 있다.
|
날씨만 좋았다면, 청호 저수지 새암바위등 소설 "혼불"의 배경지를 돌아보고
올 예정이였으나 포기하고 서둘러 서울로 돌아왔습니다.
감사합니다.
|
첫댓글 아~~ 이렇게 생겼군요.
처음 접하는 혼불문학관과 마을 감사히 봅니다.
날씨가 흐렸는데도 사진이 깨끗하게 나왔습니다. '혼불문학관'의 배경지들을 둘러보려고 딸딸이까지 동원하였는데, 비가 와서 다돌아보지 못하여 안타까웠습니다. 신봉공주님의 답사기는 항상 만족스럽습니다.
이번에는 답사사진도 좀 배워볼가하고 갔는데 막상 현장에 도착했는데 역시 않되더이다. 여기 와서 답사후기를 보면서 사진을 가만히 들여봅니다. 멀리 전체를 잡으셨구나 그리고 문학관 내에서도 빠짐없이 선명하게 찍힌 사진들을 보고 감탄합니다. 설명과 함께 완판을 내놓는 위력! 박수를 보냅니다. 다음 기회엔 요기서 요렇게 찍어보라고 일러주실래요? 녜? 시끄러우니 나가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