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 (內外)
⑴ 내(內)란 마음 또는 마음이 갖춘 덕이라는 뜻, 외(外)란 육신 또는 육신의 형상이란 뜻. ⑵ 내란 마음이요 외란 바깥 경계라는 뜻. ⑶ 내란 이(理), 외란 사(事)의 뜻.
내외겸전 (內外兼全)
⑴ 인격 형성에 있어서 안과 밖이 조화를 잘 이루어 원만한 것. 명대실소(名大實小)하지 않고 명실상부한 것. 내허외실(內虛外實)·내실외허(內實外虛)하지 않고 원만 무결(無缺)한 인격. ⑵ 마음 수양에 있어서 내수양 외수양, 내정정 외정정을 아울러 닦아 얻어가는 것. ⑶ 행동과 실천에 있어서 이론과 실제, 아는 것과 행하는 것, 믿는 것과 실천하는 것이 일치하는 것. 곧 지행일치·언행일치·신행일치 하는 것. ⑷ 동정일여·영육쌍전·이사병행을 잘 실천하는 것. ⑸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을 조화 발전시키는 것. ⑹ 이성적인 것과 감성적인 것, 지성적인 것과 야성적인 것,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 고전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을 조화 융통하는 것.
일심얻는 공부(삼학공부 정진)
마음을 통일하고(定)
지혜를 단련하고(慧)
중도를 실천하자(戒)
무시선(無時禪)
무처선(無處禪)
1. 간단없는 일심공부는 바로 불공이 되는 동시에 혜복이 쌍전(雙全)된다.
2. 일심공부는 일하는 가운데 얻는 일심이 제일이니 우리는 일하는 가운데서 일심 얻기를 힘쓰자.
불공하는 공부(보은공부 실천)
정성으로 보은하고
공경으로 보은하고
신의로써 보은하자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佛供)
1. 사심없는 불공은 바로 일심이 되는 동시에 복혜 쌍전된다.
2. 불공은 실지불공이 제일이니 우리는 실지에 불공하기를 정성껏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