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지적도는 보통 Bessel 측지계를 사용하고 수치지형도는 Bessel과 GRS80 두종류가 있으며, 최근의 GRS80은 원점의 가산수치가 500,000에서 600,000 으로 변경되어 있읍니다. 측지계가 다른 경우는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좌표변환을 하시면 되고 투영원점의 가산수치만 다른 경우는 CAD의 move 명령으로 북쪽으로 100,000 만큼 이동시키면 됩니다
우선 우리나라의 여러 TM 좌표계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활용팁]란 글번호 1220번( http://cafe.daum.net/GPSGIS/Lrtt/1220 )에 소개되어 있으니 어떤 좌표로 변환할 것인지 파악하세요. 이를 바탕으로 Global Mapper 또는 GPS TrackMaker Pro에서 측지계 및 좌표계 변환을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http://ngii.go.kr )/[자료마당]/[공개자료실]에서 [좌표변환]으로 검색하시면 수치지도의 좌표계 및 측지계를 변환시킬 수 있는 무료 변환 프로그램(GDKtrans)을 다운로드하실 수 있숩니다. 만약 TM2009(공지란 글번호 104번 참조)로 변환하신다면 정진옥님 말씀처럼 추가로 캐드에서 move 명령을 통해 변환하세요.
나도 같은 지역의 Bessel과 GRS80을 구입하여 기존 여러 프로그램으로 변환하여 보았으나 차이가 있었습니다. 일단 전자지적도와 Bessel은 좌표체계가 같습니다. 두지도를 오버랩시켜서 특정지점을 확인한 후, 억울(?)하지만 같은지역의 GRS80을 구입하여 전자지적도의 특정지점과 일치시켜야합니다. 만약 그 지역의 Bessel 수치지형도가 국토정보지리원에 없다면 네이버지도등을 참조하여 지적과 GRS80의 현황을 최대한 일치시켜야 합니다. /국토정보지리원에서 변환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일반인은 알수없는 여러가지 파라미터를 대입하여 변환하는것 같습니다. 기존 변환 프로그램으로는 오차가 발생하니 참고 바랍니다.
국토정보지리원에서 판매하는 수치지형도는 어떤 지역의 GRS80은 있어도 Bessel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민간기업체에서 제작하는 전자지적도도 이제는 GRS80체계를 따랐으면 좋겠습니다. 동사무소에서 종이지적도를 발급받아 벡터라이징을 통해 변환하여 사용하는것보다 돈이 조금들더라도 전자지적도를 구입 사용하는것이 정밀도면에서는 훨씬 우수하더군요. 불보합 지역을 제외하고는 잘 만들었더군요.
오늘 수치지형도를 구입하고 나서 보니 우측으로 약 278정도 오차가 납니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입한 지도를 다음이나 구글에서 확인후(배경으로 넣어서 맞춘 후) 수치지도를 확인하였고 UTM, GRS80이라고 하여 매칭해보니 어긋나네요. 새로운 변수를 사용하는 것 같은데 해외IP라고 막아버려서 확인도 못 하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해결하신분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첫댓글 어떤 소프트웨어인가요? 그리고 약간이 어느 정도인지요?
캐드입니다.
전자지적도는 보통 Bessel 측지계를 사용하고 수치지형도는 Bessel과 GRS80 두종류가 있으며, 최근의 GRS80은 원점의 가산수치가 500,000에서 600,000 으로 변경되어 있읍니다. 측지계가 다른 경우는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좌표변환을 하시면 되고 투영원점의 가산수치만 다른 경우는 CAD의 move 명령으로 북쪽으로 100,000 만큼 이동시키면 됩니다
우선 우리나라의 여러 TM 좌표계의 속성에 대한 정보는 [활용팁]란 글번호 1220번( http://cafe.daum.net/GPSGIS/Lrtt/1220 )에 소개되어 있으니 어떤 좌표로 변환할 것인지 파악하세요. 이를 바탕으로 Global Mapper 또는 GPS TrackMaker Pro에서 측지계 및 좌표계 변환을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국토지리정보원 홈페이지( http://ngii.go.kr )/[자료마당]/[공개자료실]에서 [좌표변환]으로 검색하시면 수치지도의 좌표계 및 측지계를 변환시킬 수 있는 무료 변환 프로그램(GDKtrans)을 다운로드하실 수 있숩니다. 만약 TM2009(공지란 글번호 104번 참조)로 변환하신다면 정진옥님 말씀처럼 추가로 캐드에서 move 명령을 통해 변환하세요.
나도 같은 지역의 Bessel과 GRS80을 구입하여 기존 여러 프로그램으로 변환하여 보았으나 차이가 있었습니다. 일단 전자지적도와 Bessel은 좌표체계가 같습니다. 두지도를 오버랩시켜서 특정지점을 확인한 후, 억울(?)하지만 같은지역의 GRS80을 구입하여 전자지적도의 특정지점과 일치시켜야합니다. 만약 그 지역의 Bessel 수치지형도가 국토정보지리원에 없다면 네이버지도등을 참조하여 지적과 GRS80의 현황을 최대한 일치시켜야 합니다. /국토정보지리원에서 변환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나, 일반인은 알수없는 여러가지 파라미터를 대입하여 변환하는것 같습니다. 기존 변환 프로그램으로는 오차가 발생하니 참고 바랍니다.
국토정보지리원에서 판매하는 수치지형도는 어떤 지역의 GRS80은 있어도 Bessel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민간기업체에서 제작하는 전자지적도도 이제는 GRS80체계를 따랐으면 좋겠습니다. 동사무소에서 종이지적도를 발급받아 벡터라이징을 통해 변환하여 사용하는것보다 돈이 조금들더라도 전자지적도를 구입 사용하는것이 정밀도면에서는 훨씬 우수하더군요. 불보합 지역을 제외하고는 잘 만들었더군요.
AutoCad 에서는 소수점이하 4자리 이하의 정밀도가 확보되는데 이렇게 변환할려면 국토정보지리원에서 제공하는 GDKtrans도 오차가 생기고, 국토정보지리원에서 제작 판매하는 지도를 구매하는것이 최선이라 생각됩니다.
오늘 수치지형도를 구입하고 나서 보니 우측으로 약 278정도 오차가 납니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입한 지도를 다음이나 구글에서 확인후(배경으로 넣어서 맞춘 후) 수치지도를 확인하였고
UTM, GRS80이라고 하여 매칭해보니 어긋나네요. 새로운 변수를 사용하는 것 같은데 해외IP라고 막아버려서 확인도 못 하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해결하신분 답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