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MB계 대망론’ 이어 ‘고대 대망론’ 부상...정진석‧정호성 ‘주목’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최근 3달 사이에 이뤄진 이후
용산 대통령실의 인선 기조를 두고
정치권 해석이 분분합니다.
그간 MB계를 집중 기용했던 것과 달리,
총선 이후에는 이명박‧박근혜 정부 출신 참모진을
교차발탁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어서입니다.
이 와중에 대통령실
‘고대 라인’인 참모 2인에게도 이목이 쏠리고 있는데요.
바로 정진석 대통령실 비서실장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연루된 혐의로 옥고를 치른 뒤
8년 만에 현실정치로 복귀한 정호성 비서관입니다.
MB계 핵심이었던 정 비서실장과
박근혜 정부 ‘문고리 3인방’ 출신인 정 비서관의 조합은
정치권 뒷말을 양산하고 있는데요,.
고대 동문이자
구 보수권 2인자라는 공통분모를 둔 두 사람이
용산 실세로 등극하는 것이 아니냐는 것입니다.
尹 1선 참모 정진석, 용산 2인자 자리매김
윤 대통령은 지난 4월 22일
이관섭 전 비서실장의 사의 표명으로
공석이 된 대통령실 비서실장에
정진석 전 국민의힘 의원을 전격 발탁했는데요.
당시 베테랑 정치인 출신인 정 비서실장 인선에
총선 후 깊어진 여소야대에
야당과 소통 강화 차원이라는 해석과
위기의 보수진영 재통합 시도라는 해석이 교차.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총선 참패로 인한
대통령실의 단순 책임성 인사라고 보기에는
정 비서실장의 이력이 심상찮다는 시각도 있었답니다.
정 비서실장은 과거 이명박 정부에서
정무수석을 지낸 이력이 있는데요.
당시 보수진영 내분과 야권의
광우병‧4대강 공세에 대한 대응전략을
주도한 것도 정 비서실장이라는 평입니다.
그야말로 MB계 핵심이었던 셈입니다.
이명박 정부의 최대 딜레마는
박근혜 세력과의 갈등이었는데요.
당시 여권은 보수 세대교체를 시도했던
친이계와 구 보수세력에 기반한
친박(친박근혜)계로 갈라져
극심한 갈등구도를 빚고 있었답니다.
야권발 광우병 파동 등으로
치명상을 입은 이명박 대통령은
정권 조기종식을 막기 위해서라도 5회 지방선거,
19대 총선 전 진영 대통합이 절실했답니다.
이에 양측 화해의 물꼬를 틀 구원투수로 등판한 이가
바로 ‘여의도 마당발’ 정진석 정무수석입니다.
지난 2010년 8.21
이명박-박근혜 회동 가교를 놓은 것도 그인데요.
실제로 정 비서실장은 지난 2014년 <조선일보> 기고를 통해
MB정부 비화를 소개하며
자신이 8.21 회동을 막후에서 치밀하게 준비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보수정권 재창출 신호탄이 됐다고
자평하기도 했답니다.
그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일선 참모로 활약한 이후에는 5선 의원,
국회부의장을 지내는 등 승승장구하다
현 정권에서는 최고권력 핵심 보좌직에 이르렀답니다.
그런 그가 레임덕 위기에 봉착한
현 정권의 해결사로 재등판한 뒤
용산의 분위기는 확연히 달라졌는데요.
비서실장 취임과 동시에
‘익명발(發) 메시지’를 엄격히 단속하며
조직기강 확립에 나섰고,
윤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비공개 담화를 제언하는 등
4.29 영수회담에서도 중책을 수행했답니다.
또 지난 11일에는 역대 최초로
여야 전직 대통령 비서실장들을 초빙해
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등
발군의 소통능력을 과시하기도 했는데요.
22대 국회 개원 후
여야 갈등이 깊은 상황에서 마련된 자리여서
더욱 주목받고 있답니다.
이렇다 보니 정 비서실장을 향한
여권의 기대감도 남다릅니다.
현 정부의 역대 비서실장들은
하나같이 고위직 인선 및 정무보좌 실패,
용산발 선거전략 부재, 대통령실 기강 해이,
김건희 리스크 방치 등 무용론에 자리를 물렸답니다.
반면 역대 비서실장 중
유일하게 정치인 출신인 정 비서실장은
취임 전후 식민사관 논란 등으로 잡음이 일긴 했으나,
농익은 정무감각과 교섭력으로
열세 국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정권이 가장 어려울 때 (비서실장으로) 발탁된 것은
그 만큼 VIP(윤 대통령)의 신뢰가 두텁다는 것”이라며
“정진석 실장은 비서실장의 핵심 소양인 정무,
사교 측면에서 전임 실장들과 급이 다르다.
MB 때와 같이 보수 대통합을 시작으로
서서히 야당과의 대화 물꼬를 트는 전략을
취할 것”이라고 했답니다.
나아가 이 관계자는 정 비서실장이
이례적으로 현 정권과 함께
임기를 마칠 수 있다고도 내다봤답니다.
대통령실은 최근 대대적인 정무수석실,
시민사회수석실 개편을 통해
국회와의 소통의지를 피력했는데요.
정무수석실은 기존 비서관 3인 체제에서
4인 체제로 조직이 확대됐고,
시민사회와의 소통을 담당하는
시민사회수석실도 기존 사회통합비서관·
시민소통비서관·국민공감비서관을
각각 1‧2‧3비서관으로 명칭을 바꾸며
새단장했답니다.
그 중 유독 눈에 띄는 인사는
시민사회수석실 3비서관으로 발탁된
정호성 전 청와대 비서관인데요.
정 비서관은 박근혜 전 대통령
재임기 정권 실세로 손꼽혔던 인사로,
국정농단에 연루돼 구속‧수감됐답니다.
당시 국정농단 수사를 진두지휘했던 것이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입니다.
이후 윤 대통령은 취임 첫 해인
지난 2022년 정 비서관의 특별사면 및 복권을 재가했고,
2년 뒤인 지난달 말 대통령실은
정 비서관을 시민사회수석실로 불러들였답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논란이 들끓었는데요.
국정농단 사태로 실형을 치른 인사를 기용하는 것은
국민정서에 어긋난다는 지적에서입니다.
여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해부터
일찌감치 정 비서관 영입을 염두에 뒀으나,
반발 여론 등을 의식해 섣불리 결단을
내리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에 최근 용산 관가에서는
정 비서관의 대통령실 재입성 배경에는
정진석 비서실장이 있다는 후문이 돌고 있는데요.
정 비서실장이 정 비서관 발탁을
적극 권유해 윤 대통령이 결심을 굳혔다는 것입니다.
정 비서실장과 고대 동문이라는 점과,
과거 국정농단 사태 수사 과정에서 보인
‘충심’이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무엇보다 오는 202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선
보수결집 여부가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정 비서관을 발탁해
구 보수권을 포용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도 읽힙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