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야외의 품격 "야품" 입니다.
오늘은
별다방 등 대형카페에서 사랑하는 자재,
징크판넬에대해 얘기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
(웃음 웃음)
템바보드 제품정보 뿐 아니라
방부목 루버와는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징크판넬 자재 가격과 마감 후레싱 가격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탬바보드는 무엇인가요 ?
튼튼한 강판에 도금을 한 후 원하는 컬러의 색상을 도색한
자재를 탬바보드(=징크판넬)라고 부른답니다.
위으 사진을 보니 이해가 더 잘되지요~~?
융융 아연 + 알루미늄 + 마그네슘 합금 도금강판
야품의 루버강판 소재는
가공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삼원계 합금 도금 제품으로
용융 아연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 도금 강판입니다. :-)
야품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
동국제강 GIX Luxteel ㅣ 포스코 PosMAC1.5
사용으로 부식에 강하며 국내 내노라하는 대기업 제품을 사용하여
도금 후 디자인 페인팅으로 제작이 완성된답니다.
목재루버 vs. 탬바보드를 비교해 볼게요!
방부목 목재 루버는 진짜 나무로 만들었기 때문에
나무의 결이 살아있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 것 같아요.
다 좋아요.
그러나 관리가 쉽지는 않죠...........
수명을 위해 매년 2회씩 오일스테인칠을 해줘야합니다.
너무 번거롭죠..
그렇지 못할 경우
나무가 쫙 쫙 갈라져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답니다.
갈라짐이 심할 때는 다시 탬바보드를 이용한
시공 의뢰를 많이 주시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비용도, 시간도
모두 낭비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니.....흙흙
자재 선택에 참 신중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목재 탬바보드 단점 보완, 징크판넬!
탬바보드 (=징크판넬)
위의 사진은 징크판넬입니다.
진짜 나무의 무늬라고 해도 믿겨지지 않나요 ?
방부목 특유의 따뜻한 결 무늬를 찾는 분들에게는
눈이 번쩍 뜨일 만큼 매력적인 제품이네요~
게다가 유지 관리도 쉽기 때문에
안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
▼ 목재 vs. 합성목재 v.s 탬바보드 비교표 ▼
징크판넬을 목재, 합성목재를
한눈에 보기 편하게 표로 비교해봤습니다.
평균 가격은 3-4만원대로 저렴한데,
수명이 길어 45년 이상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한 것이 큰 장점 같네요~
공장직영으로 운영합니다.
야품의 탬바보드는 공장직영 운영으로
가격 거품을 쫙~ 뺐답니다.
그렇기에 헤베당, m당
합리적인 정찰제 가격이 가능합니다.
(갓성비 최고~!!)
공장에서 일반 코일을 구부려
골을 만들고 있는 중이랍니다.
가운데에서 양끝으로 지나가면서
원하는 사이즈의 골이 제작 된답니다.
** 1m 이하 징크판넬 재단도 가능하지만,
찌그러질 수 있기 때문에 최소 1m 이상 재단 주문을 추천드립니다.
폭 & 색상은 어떻게 되나요?
1. 도레레미
유효폭 290mm, 골간격 28mm,
높이 20mm 두께 0.5t의 도레레미는
골 간격이 도-레-레-미 처럼 50-28-28-60으로 튀어나와
'도레레미'라고 부른답니다.
세련되고 모던한 분위기를
원하시는 분들이 많이 찾아주고 있답니다.
2. 루버 40
유효폭 296mm, 골간격 34mm,
높이 20mm, 두께 0.5t의
루버 40은 튀어나온 골이 40이라
'루버40'이라고 부르고 있답니다.
골 간격이 40으로 일정한 가장 기본 디자인이며,
튀지 않는 루버를 찾으신다면, 추버 40 폭을 추천드릴게요.
색상
야품의 징크판넬은
총 7가지 컬러로 준비되어져 있습니다.
가장 인기 좋은 컬러는 우드 계열이며,
차분한 징크계열도 많이 찾아주시고 있어요~
자재가격 & 시공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탬바보드 구매하기
https://smartstore.naver.com/yapoom/products/9968081592
▼ 후레싱 가격 ▼
※주의: 판가가 다르기 때문에
마감o / 마감x 여부 꼭 알려주세요~
탬바보드 시공 완성 사진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선호도가 높은 우드계열의
징크판넬 시공완성 사진을 공유해 드릴게요.
건물 외관이 눈에 띄지 않아
주변의 건물들과 참 잘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퀄리티가 높으며 고급스러운 분위기까지 풍겨
고객님들의 러브콜이 계속 되어지고 있는 것 같네요.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할게요~
블로그 보러가기
https://blog.naver.com/yapoom
첫댓글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