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 보는 중국인들의 심성_26] 중한합작으로 일본 혼내야 이제 일본의 영토 침탈 도발과,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 저지, 그리고 일본정부의 과거사청산문제 국제화를 위해 중-한 간의 합작이 차츰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한 상황에서 중국의 네티즌과 언론들은 양국 사회단체들과 국민들이 연합으로 일본을 대처하기 위해서는 중한 양국이 적절한 선에서 합작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양국이 대일 전선을 형성할 것을 호소하고 있다.
|
▲중-한 연합으로 "항일"국제화를 추진하자. 신화통신 산하 유력 주간지 국제선구도보 사이트판의 메인화면. © 란보라 | 중국언론들 일본의 역사문제 국제화 호소 4일, 중국 최대 통신사인 신화통신 산하의 유력주간지 "국제선구도보"는 "중한 연합으로 '항일'국제화를 떠밀자"는 기사에서 중한 연합으로 일본의 역사청산문제를 국제화함으로써 이번 기회에 일본의 역사청산 문제를 국제화 할 것을 호소하고 있다. 기사는 "반파쇼전쟁승리 60주년 기념-중한 관계의 과거와 미래" 세미나에서 한국의 전 주중 정종욱대사의 "전환기를 맞은 한중 관계는 수교 13년간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룩했으나 도전에도 직면하고 있는 바, 양국의 밀접한 합작으로 새로운 도전을 맞받아 나가야 할 시점에 와 있다"는 발언을 인용하면서, 중한 양국에서 "역사문제 통일전선"을 건립하자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사는 미국에 본부를 둔 화교단체인 '항일전쟁 역사사실 보호회'에서 발기한 전세계 범위에서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 가입을 저지하는 서명운동에 한인단체와 한국인들도 6만 여명이나 서명, 한국 국내에서도 서명운동은 퍼져나가기 시작, 지난 28일에는 24개 시민단체에서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전문 사이트까지 열었다고 하면서 한국인들도 서명운동에 점점 많이 모여드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또한 한국정부에서 일본의 교과서왜곡 등 문제를 국제사회에 제기하는 것과 때를 같이하여 중국 국내에서도 일본의 과거청산과 교과서왜곡 등 문제들을 국제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중국 조선사연구회 리둔츄(李敦球) 비서장은 2001년에 벌써 중한 양국이 일본의 교과서왜곡 등 문제에서 통일 전선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었었다고 하면서 "일본의 교과서왜곡과 영토침탈 등 문제에서 중국이 한국을 성원하는 것은 사실상 자기 자신을 성원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
▲중국 유력일간지 "중국청년보" 기사. "중한지도자들 아름다운 전경 담론, 변덕많은 일본 무섭지 않아". 중국 원자바오(溫家寶)국무총리와 노무현대통령의 회동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 란보라 | 이번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가입 저지와 일본의 역사교과서 역사왜곡 등 문제를 두고, 홍콩언론들은 "2005년은 중한 양국의 대일본투쟁의 해"라고 하면서, "중한 양국이 만약 이 하늘이 준 절호의 기회를 잘 이용하지 못하고, 일본이 역사문제를 바로잡도록 하지 못한다면 앞으로 더 어렵게 될 것"이라고 하면서 중한 양국이 적절한 선에서 손을 잡고, 반일 통일전선을 이룩할 것을 호소했다. 이와 함께 신화통신 인터넷판인 xinhuanet.com에서 한 기자는 중국이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 가입에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불리한 일면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일본의 역사청산, 위안부, 교과서왜곡 등 문제는 국제화가 되면서 국제사회에서 일본이 과거 침략의 역사를 왜곡하고, 지금까지 역사를 청산하지 않는 등 문제들을 알게 되면서 중국이 이해를 얻을 수 있는 등 많은 면에 이점도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문제의 법률화 이에 앞서 중국의 일부 국제법전문가들은 일본의 대 중국 민간배상문제와 위안부 문제, 화학무기 등 문제를 법률적 관점으로 해결 할 것도 권장하고 있다. 한 전문가는 위안부 문제에서 일본의 보수적인 사회정치환경으로 기각되는 일이 많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일본의 법원에 제소할 것이 아니라, 미국과 같은 나라에 가서 대일본고소를 접수할 수 있는 주(州)의 법원에 제소하면 승소할 가능성이 더 많다고 하면서 미국에 가서 제소할 것을 권장했다. ▲일본 아사히맥주사에서는 해마다 4월이 되면 거금을 들여 2주간의 시간으로 이 쇠로 만든 거대한 호로박을 닦는다. 하다면 역사를 씻을 수는 없는가? ⓒ 국제선구도보
|
▲중국에서 불매운동의 대상이 된 일본 아사히맥주사에서는 해마다 4월이 되면 거금을 들여 2주간의 시간으로 이 쇠로 만든 호로박을 닦는다고 한다. 그렇다고 자신들의 부끄러운 역사를 씻을 수는 없는가? ©국제선구도보 | 지난 1일, 북경의 유력일간지 "신경보"는 "중한 양국국민 연합으로 대일본교과서문제 소송제기, 법적 과정을 걷기 시작"이라는 기사에서 일본 한 지방에서 왜곡된 교과서를 채택한데 대해 중-한 양국의 260여명이 일본 한 지역의 왜곡된 역사교과서를 채택함으로 정신적 고통을 받고 있다면서 이 지방정부를 법에 고소한 예를 들면서 일본의 교과서 역사왜곡 문제를 법적 과정을 통해 해결 할 것을 주장했다. 기사에서는 일본 우익들이 제기한 교과서 문제는 헌법이 준 언론 자유로서 정부에서 간여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이미 1997년에 일본 고등법원에서는 문부성이 교과서에서 "남경대학살", "일본군 부녀를 간음", "731세균부대(중국 하얼빈시에 있었던 일본의 세균부대)" 등 내용을 삭제한데 대해 문부성이 심사권을 남용했다고 판결 내린 바 있는 것인데, 이는 고등법원이 변상(變相)적으로 역사사실 판명권을 행사한 것이라고 하면서, 현재의 상황에서 일본의 법률로 우익세력을 견제하고 국제법이론으로 피해자들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언론들의 분석 일본의 역사교과서 역사왜곡 문제,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가입 저지문제, 그리고 이런 영역들에서 중한간의 합작을 두고 중국 언론과 언론인들은 다양한 관점들을 보이고 있지만, 대체로 중국에 가해지는 압력, 중국이 거부권을 낼 경우 닥치게 될 난제, 그리고 중한간의 대일 역사청산과 유엔상임이사국저지에서의 합작에 대한 낙관론과 회의론에 집중되어 있다. 일부에서는 일본이 이미 100여개 국 이상의 지지를 얻고 있다고 하면서 총 128개에서 멀지 않은 선에 와 있으며, 이제 중국은 아주 불리한 환경에 놓여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일본은 수 십년 동안 ODA프로젝트로 많은 국가들에 지원을 주었는데, 그 중 아프리카에 가장 많은 바, 이런 나라들에서는 모두 일본의 유엔 상임이사국 가입을 지지할 것인 바, 유엔회원국 대부분이 일본의 상임이사국 가입을 지지하는 상황에서 중국에서는 전에 없던 압력에 직면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중국에서 거부권을 낼 경우,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보는 가 하는 것이다.
|
▲중국 유력주간지 "국제선구도보"의 머리기사. 한국과 중국은 일본의 역사교과서 역사왜곡문제를 국제화하자는데 저도 모르게 일치를 보았다, 중한 양국은 이 좋은 기회를 이용하지 못하면 장차 더 큰 어려움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적당한 선에서 공동대책을 연구하여 일본을 대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란보라 | 그러나 다른 일부에서는 그것도 나쁠 바가 아니라는 것이다. 중국에서 거부권을 행사하게 되면 일본의 교과서역사왜곡문제와 역사청산 문제가 국제화 되면서 국제사회에서 일본이 2차대전 당시 어떻게 했는가에 자연 눈길을 돌리게 될 것이며 그럼으로 국제사회에서도 중국의 거부권 행사를 이해하게 될 것이며, 일본에서 역사청산을 철저히 할 것을 요구하게 될 것으로 분석했다. 중국의 대부분 언론과 언론인들은 일본의 역사교과서 역사왜곡문제와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가입에서 중한양국의 합작을 낙관적으로 보고 있기는 하지만, 그러나 다 그렇기만 한 것은 아니다. 일부에서는 한국에서 과연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 가입을 결사적으로 저지할 것인지에 물음표를 달고 있다. 이들은 2001년, 교과서 사태 때, 한국에서는 일본주재 한국대사를 소환하고, 조목조목 적어 일본에서 수정할 것을 요구했으나, 이번에는 지금까지는 말에 그치고 있는데, 지금은 저지하겠다고 떠들지만 나중에는 진정 저지할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하면서 한국과 일본, 미국의 삼각관계, 그리고 한국경제의 대일본 의존도 등을 거들면서 물음표도 적지 않게 던지고 있는 상황이다. 아무튼 이번 일본의 유엔상임이사국가입과 역사 교과서 역사왜곡문제를 가지고 중한간은 새로운 합작의 시기를 개척할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많은 변수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능성이 어떻고, 변수가 어떻든 간, 한국정부와 정치인들 앞에 선택, 오로지 하나의 선택이 있는 것 많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