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을 태운 버스가 꼬불꼬불 고갯길을 달리다 수십m 언덕 밑으로 굴러 사망자가 발생하고 많은 부상자가 발생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급커브 길에 대한 교통사고 줄이기 대책으로 시속 60km 지역을 20km, 30km, 40km지역으로 세분화 하고 있지만 운전자들에게 더 많은 고통이 따르고 교통체증도 수시로 발생한다.
전국의 꼬부랑 급커브길을 직선화 하는 사업을 시작해야 한다.
현재 지방도로는 수 백년 전부터 사람과 우마차가 다니던 자연발생도로를 조금씩 넓혀서 현재도로가 된 것이 많다.
경제성장에 따라 지방도로는 물론 시골길, 산간도로까지 모두 포장 되었지만 꼬불꼬불 그대로라서 사고가 잦고 속도가 늦어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늦었지만 지금부터 직선화를 시작해야한다.
평지의 꼬불꼬불 길은 직선화하면 현행도로보다 운행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사고도 크게 줄일 수 있다.
현행도로는 하부는 넓지만 상부가 좁아 왕복차선이 없는 1차선으로 달리다 상대방에서 차가 오면 기다렸다가 지나가야 한다.
양쪽 하부에서 수직으로 콘크리트 축대를 설치한다면 전국의 ‘1차선은 2차선, 2차선 도로는 일시에 4차선 도로’로 바뀔 수도 있다는 20년 전 필자의 제안이 아직도 유효하는 것이 유감이다.
정부와 자치단체의 의지만 있다면 수 년내 모든 도로의 직선화와 4차선화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전국의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와 고속화 도로는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지방도로는 수십 년 째 그대로이다.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국도와 지방도로를 직선화하고 확장하는 사업이 4대강 사업보다 더 시급한 일이지만 4대강은 끝났으니 4대강에 이은 지방도로의 직선화 사업을 최우선 국책사업으로 확정하여 주길 정부당국에 건의한다.
첫댓글 나라돈을 제대로 쓰고 있는 지 걱정입니다. 좋은 생각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