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엉 수확
겨울내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장 농장 땅 속에서 추위를 이겨낸 강한 우엉 뿌리를 수확하여 보았어요.
작년에도 년중 내내 우리 친구들이 우엉잎 쌈을 싸서 먹었는데 오늘은 봄 맞이로 생태 어린이답게 뿌리를 으라차차! 뽑았어요^^
2015년 ‘자연 속에서 뛰어놀다 보면 창의력과 사고력이 쑥쑥 자라요’
자연이 어린이들의 스승인 한결어린이집은, 아이들의 건강한 식단으로 원내에 1천1백여평의 자연학습장 먹거리 농장을
직접 관리하며, 어머니의 품같이 아늑한 청계산자락의 드넓고 청명한 하늘아래 위치하여, 흙의 향기를 마음껏 맡고 밟으며
뛰어 놀수있는 친환경 숲속나들이 활동 생태놀이터로, 천연적인 산림욕장 산책로 또한 한결어린이집 문을 나서자 마자 바로
“교실 밖 교실” 돌멩이, 솔방울, 나뭇잎, 나뭇가지, 민들레 갓털불기 등의 자연재료를 늘 접할수있고, 곤충과 식물의 생태를
가까이 관찰함으로 생명의 소중함을 느낄수 있는 5감각 체험위주의 과천도시농업포럼 시범모델 지정 생태 어린이집으로써,
도심속에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늘 자연과 접하며 성장하도록 진지한 고민을 실천하고자, 한국원예대학 도시농업지도자
과정 및 아시아에서는 대한민국에 유일하게 채택한 미국 자연과학 분야의 명문 Texas A&M 주립대학교의 어린이들을 위한
자연 및 생태전문 교육프로그램(Junior Master Gardner)을 자연과 환경, 과학 등의 교과목에 연계하여 발표력과 리더십을
길러주는 "자신감 UP 주니어 리더십 스피치"로 프로젝트 생태 스토리텔링을 통합한 프로그램의 메카 한결어린이집입니다.
청정지역 청계산자락에 위치한 한결어린이집內 자연학습장 1,100여 평의 먹거리 농장 녹색지대는...
신선한 공기와 햇빛이 드는 자연에서 부모와 교사의 간섭 없이 자유롭게 생각하고 상상하며 온몸으로 뛰어노는 곳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024AC13351C902551C)
구름송이반(만 4세) 생태 어린이들이 ‘교실밖 교실’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장 농장으로 우엉을 뽑으러 나가고 있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4563C465507936506)
우엉 뿌리가 겨울 추위에 얼어 죽지는 않았을까??
![](https://t1.daumcdn.net/cfile/cafe/26370A46550793681A)
동물 사육장 앞 우엉밭이예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42C3A46550A07A503)
생태 박사 담임 선생님께서 설명을 하시고...
섬유질의 보고인 우엉은 연근과 함께 뿌리채소의 대표적인 밑반찬으로
짭짤하게 조려 먹는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맛과 독특한 맛이 한결어린이들의 식탁에 오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5E3A4355079A7930)
관리자님께서 3발 쇠스랑으로 우엉밭을 파 주셨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46B874A5509369F39)
하늘타리반(만 5세) 형님반들이 땅 속에 있는 우엉을 어떻게 수확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https://t1.daumcdn.net/cfile/blog/223F314155C01E1C2F)
포스로는 나무 뿌리라도 뽑아 올릴 기세랍니다^^
우엉은 땅 속 깊이 있어 윗등을 흔들흔들하면서 뽑아야 한다고 원장님께서도 설명해 주시며 격려하셔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75D76475509226A1A)
이렇게 쑤욱! 뽑아 올려요 히힛^^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933475509226E33)
땅 속에 있는 우엉 뿌리가 보이네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63A0F495509227229)
하늘타리반(만 5세) 형님들이 우엉을 수확하기 시작했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820495509227833)
우엉 머리가 보이네...
배운데로 하는데 잘 안 뽑히는것 같아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458CE495509227C11)
우엉 뿌리를 힘껏 잡아...
![](https://t1.daumcdn.net/cfile/cafe/216231495509227E0A)
한손으로 흔들흔들 유격을 주고...
![](https://t1.daumcdn.net/cfile/cafe/235CC83F55079A9702)
뽑아서 냄새를 맡어보는 승자의 여유랍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74363E55079AFF07)
우엉 머리가 빼꼼 보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53CF495509227A15)
선생님 우엉을 찾았어요 히힛^^
![](https://t1.daumcdn.net/cfile/cafe/2538FA4E550922F023)
두손으로 꽉! 쥐고...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1BA4355079A8906)
으라차차...나와라 우엉^^
아~~우엉 군락이군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DFD3F55079A9023)
땅 속 깊이 있나 봐요. 잘 뽑히지 않아요. 친구와 함께 하면 뽑을 수 있을까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12C4E550922F41C)
우엉을 뽑자! 친구랑 나란히 사이좋게 수확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725134E550922F533)
드디어 두손으로 꼬옥~~잡었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1734E550923042B)
와~~ 산삼 대왕 우엉을 캤네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7120350550923491F)
아자! 뽑자!! 힘을 주고 있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51BC64F5509230935)
예쁘고 날씬한 우엉을 캤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438C84E550922FA24)
으라차차!!
![](https://t1.daumcdn.net/cfile/cafe/231273505509234D1E)
![](https://t1.daumcdn.net/cfile/cafe/24064E505509235028)
![](https://t1.daumcdn.net/cfile/cafe/262D843E55079B1036)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86C3E55079B092E)
![](https://t1.daumcdn.net/cfile/cafe/24120050550923521E)
음~~냄새를 맡아보았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6EE43E55079B020A)
형님반 다음으로 구름송이반(만 4세) 생태 어린이들도 우엉을 뽑고 있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44F2041550798AA18)
![](https://t1.daumcdn.net/cfile/cafe/263B4441550798AD25)
![](https://t1.daumcdn.net/cfile/cafe/241931465507937530)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B62465507937838)
![](https://t1.daumcdn.net/cfile/cafe/25523C415507937B02)
![](https://t1.daumcdn.net/cfile/cafe/234732415507937E0A)
![](https://t1.daumcdn.net/cfile/cafe/235396415507938101)
![](https://t1.daumcdn.net/cfile/cafe/2547EF41550793850A)
![](https://t1.daumcdn.net/cfile/cafe/226F654D5509239F13)
형님반 수확에 이어서 꽃잔디반(만 3세) 아우님들도 우엉 수확을 관찰하려고 농장 밭으로 나왔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25B84A5507C9D003)
![](https://t1.daumcdn.net/cfile/cafe/2314B44A5507C9D210)
![](https://t1.daumcdn.net/cfile/cafe/226D274A5507C9D62E)
냄새도 맡아보고 모양도 살펴보아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75F8C4A5507C9D83B)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8914A5507C9DB01)
![](https://t1.daumcdn.net/cfile/cafe/276C1E4A5507C9DC30)
![](https://t1.daumcdn.net/cfile/cafe/241FA44A5507C9DE08)
![](https://t1.daumcdn.net/cfile/cafe/21625E4D5507C9E022)
![](https://t1.daumcdn.net/cfile/cafe/2654044D5507C9E22C)
![](https://t1.daumcdn.net/cfile/cafe/2557864D5507C9E42A)
한결 어린이집 친구들이 수확한 우엉입니다.
우리 가 수확한 우엉으로 오늘 조리사님께서 맛있는 반찬을 해 주셨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33B4B465507AC3527)
- 우엉 뿌리 말고 ‘우엉잎 쌈’을 소개할게요. 지난 내내 한결농장에서 아이들이 쌈으로도 먹을수 있는 우엉잎 -
쪄서 쌈을 싸먹는 잎의 원조로는 호박잎과 우엉잎이 있었으나, 이젠 도시에선 찾아볼수 없는 우엉잎 쌈을 소개합니다.
뿌리 반찬으로 유명하지만 가뭄에도 강하고 잎을 따내면 계속 새잎이 부드럽게 자라서 년중 내내 쌈꺼리가 됩니다.
흔히 뿌리만 먹는 우엉잎은 쓴 맛이 나기 때문에, 재래종(토종) 우엉만이 잎도 쌈으로 먹을 수 있답니다.
시장에 가면 재래종 우엉씨앗을 팔고 있는데, 왜 우엉의 잎은 먹지 못하므로 반드시 재래종 우엉이에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1631C34E5036F0F107)
잎이 친환경 농업이라 싱싱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D123450374B6103)
![](https://t1.daumcdn.net/cfile/cafe/2036A1335036F09102)
근대 & 쇠비름 & 상추
아욱
![](https://t1.daumcdn.net/cfile/cafe/0102534751BE5BF533)
아욱의 효능
[품종특성]
아욱의 키는 60~90cm에 달하는 2년생의 초본으로 포기전체에 털이 있는 것이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잎은 호생하고 둥글며 다섯열편이 있고 기각은 뾰족하다.
꽃은 짧은 화경에 착생하는데 작고 백색 또는 담홍색인데 꽃잎은 5개이고 취산화서로 되며 엽액에 균생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져 있고 거친 털이 있디. 봄부터 가을까지 피지만 최성기는 6~7월이다.
품종에는 잎이 넓은 것과 좁은 품종이 있는데 거의가 정리되어 있지 않아 아직 재래종으로 불러지고 있는 실정이다.
[먹는 방법과 효능]
아욱은 채솢중에서 비교적 영양가가 고루 있는 편이다.
특히 칼슘분이 많아 발육기의 어린아이에게는 좋은 식품이며 여름철에 아욱은 훌륭한 알칼리성 식품이다.
아욱은 한국적인 식품으로 옛날부터 된장을 풀어 넣어 끓인 아욱국을 먹어왔다.
아욱을 식용하면 장의 운동을 부드럽게 하므로 변비에 유익한 반응을 보인다고 한다.
아욱은 찬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갈증을 많이 느끼는 사람에게 좋다고 한방에서는 이야기 한다.
또 가슴에 번열이 나며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도 이욱을 상용하면 여름더위를 이기는데 도움을 줄 수가 있다.
약용으로는 아욱꽃을 말린 것을 동규화라 하고 씨앗은 말리면 동규자라 해서 이뇨제로 쓰인다.
씨앗은 산모가 젖이 잘 안나올 때 달여서 먹으면 유효하다고 한다.
[재배방법]
아욱은 봄재배, 여름재배, 가을재배와 시설에 겨울재배로 니누어지는데 이랑을 짓어서 산파를 하고
포기사이 15~20cm로 널려서 40~50일간 기르면 훌륭히 식용으로 쓸 수가 있다.
늦봄과 여름에 추대가 되면 잎만따서 식용으로 쓸 수가 있다.
우엉잎
우엉잎의 효능
우엉잎은 국화과 다년생 풀입니다.
비타민과 엽록소가 풍부하여 면역기능을 향상 시켜주고, 된장과 함께 먹으면 해독작용과 향암효과가 뛰어나다.
소풍청열, 해독투진, 이인, 산정의 효험이 있어 해수, 가래, 인후붓는데, 홍역, 피부가려움, 해열, 해독,
인후염, 편도선염, 볼거리염, 발진, 종기, 옴, 버짐, 편두통, 변비, 이하선염, 폐렴, 기관지염, 배뇨장애,
류마티스관절염, 당뇨병, 습진, 부스럼, 항암작용이 있다.
한결어린이집 자연학습장 농장에서 수확한 우엉쌈과 오이 등...
![](https://t1.daumcdn.net/cfile/cafe/0351594851E7992332)
![](https://t1.daumcdn.net/cfile/cafe/03400B4851E799260D)
![](https://t1.daumcdn.net/cfile/cafe/11412446500797C518)
관리자님과 우리가 수확한 우엉잎! 맛있는 먹거리로 변신하여 아이들 점심식탁에 올라와요? 우엉잎쌈! 맛있겠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31A00494F98BF1D09)
섞은 된장을 재래식 항아리에 넣고 꼬옥! 눌러준다.
한결어린이집에서 직접담궈 재래식항아리에서 숙성시킨 된장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026F164951AD470D1D)
쌈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1665A53C50529E5023)
![](https://t1.daumcdn.net/cfile/cafe/194FE4544DE852EF16)
교실로 들어와 생태친구들이 수확한 우엉 관찰일지를 작성하였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418C4B5509393F0C)
![](https://t1.daumcdn.net/cfile/cafe/232F7E4B550939421B)
![](https://t1.daumcdn.net/cfile/cafe/2711B94B5509394337)
![](https://t1.daumcdn.net/cfile/cafe/2542F44B550939450A)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4A64B5509394716)
![](https://t1.daumcdn.net/cfile/cafe/261FA44B5509394828)
![](https://t1.daumcdn.net/cfile/cafe/247A9C4C5509394A1A)
우엉의 효능
우엉에 포함되어 있는 이누권은 신장의 활동을 돕기 때문에 옛부터 이뇨제로 사용되었다.
또 아르기닌이라고 하는 물질도 들어 있어 성호르몬의 분비를 돕고 강정효과가 있어 힘을 좋게하고 뇌를 튼튼하게 한다.
우엉의 섬유는 장을 자극해서 소화, 노폐물을 배출 시키는 작용을 한다. 장의 오염은 만병의 근원이다.
변비에 잘 걸리는 사람도 현미밥에 으깬 참깨를 뿌려 우엉을 먹으면 효과적이다. 철분도 많아서 조혈하는 능력도 있고,
빈혈방지나 미용에도 중요한 식품이다. 또 우엉즙으로 복통, 맹장이 치료된다.
맹장일 경우 우엉을 껍질채 갈아서 짠 즙을 마시면 맹장의 염증을 고쳐 수술하지 않고도 치료된다.
우엉은 껍질에 좋은 맛이 있으므로 껍질채 조리거나 볶아야 한다. 반드시 진흙이 묻은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표백한 것이나 채 썰어 포장한 것은 맛도 약효도 떨어진다. [대한뿌리상회](출처: Daum지식)
우엉의 효능과 요리법
뿌리 채소인 우엉은 생명력이 강해 일본에서는 '먹으면 늙지 않는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섬유질이 풍부해 변비 예방에
좋을 뿐 아니라, 주성분인 당질에 이뉼린이라는 물질이 이뇨 작용을 해서, 당뇨병, 신장병, 환자에게 좋은 음식입니다.
우엉을 활용한 요리
▷ 우엉 오트밀 죽
- 우엉을 식초물에 담가둔다.
- 참기름을 두르고 볶는다.
- 볶은 우엉을 믹서에 갈아 오트밀과 함께 끓인다.
▷ 우엉 귀리김밥
- 귀리밥을 짓습니다.
- 우엉을 가늘게 썰어 간장에 절여둡니다.
- 입맛에 맞게 다른 김밥 재료를 넣어 김밥을 맙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525A5054C20680C95)
▶우엉의 효능 6가지
우엉의 효능 1. 변비
우엉에는 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장을 자극해 노폐물을 배출시켜 주는데 도움을 주어 변비에 좋다.
우엉의 효능 2. 빈혈
우엉에는 철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빈혈 예방 및 조혈 작용에 효능이 있습니다.
우엉의 효능 3. 당뇨
우엉은 당분과 지질의 흡수를 늦춰주어 혈당의 상승을 완만하게 해주어 당뇨병 치료에 좋습니다.
우엉의 효능 4. 생리통
우엉에는 호르몬분비조절 효능이 있어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생리불순 생리통에 좋습니다.
우엉의 효능 5. 체중감소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올리고당은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습니다
우엉의 효능 6. 성장발육
우엉에는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좋습니다.
▶우엉의 효능
섬유질의 보고인 우엉은 연근과 함께 뿌리 채소의 대표적인 식품인데요. 짭잘하게 조려 밑반찬으로 즐겨 먹는 우엉은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맛과 독특한 향으로 먹지요.
특히 우엉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섬유질은 변비 예방에 도움을 주는데요, 우엉의 여러 가지 효능에 관한 이야기 들어 보세요.
우엉의 영양성분을 알아볼까요?
- 우엉은 당질 성분을 많이 함유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당질의 주성분을 이루는 것은 녹말이 아닌 이눌린이라는 성분입니다.
- 우엉은 열량은 거의 없고 비타민 함유량이 적은 반면 섬유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우엉의 원산지와 재배 역사
우엉은 우방(牛蒡) 이라고도 불리는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지중해 연안에서 서부 아시아에 이르는 지대가
원산지이며 유럽, 시베리아, 만주 등지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지방에서는 우엉을 식용하지 않으나 중국, 일본에서는 고대부터 재배하여 사용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도 확실하지는 않지만 식용으로 사용한 것은 오래되지는 않았습니다.
한방에서 전하는 우엉 이야기
▶『본초비요』: 우엉은 피를 깨끗하게 하고 열을 내리게 하고, 또한 인후병과 가래, 기침을 치료하고 모든
종기와 독을 제거시킨다 고 전합니다.
▶『본초강목』: 우엉은 오장의 나쁜 사기를 제거하고 손발의 허약함을 치료하며 중풍, 각기, 머리에 나는 종기,
가래를 치료하고 하복부 내장의 통증을 치료한다’고 전합니다.
미국 워싱턴의대와 일본 도쿄대가 말하는 우엉의 효과
▶ 우엉에 풍부한 식이섬유 섭취 필수! - 미국 워싱턴 의대
미국 워싱턴 의대의 제임스 와튼 박사는 “변비에는 우엉에 풍부한 식이섬유의 섭취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우엉에 많이 들어있는 식이섬유는 섬유질 자체의 수분 보유력으로 자신보다 16배나 무거운 물을 머금어 변을
부드럽게 해주고, 배변의 양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장내 박테리아의 활동을 도와 발효 가스를 발생시켜
변을 시원히 볼 수 있다고 한다.
▶ 우엉의 올리고당이 변비 완화! - 일본 도쿄대
2001년 국제 영양세미나에서 일본 도쿄대 이토 기쿠지 교수는 “우엉의 올리고당이 체중을 감소시키고, 위장의 기능을
유지시키며, 변비 완화 및 대장암 발생 위험을 줄여준다“고 보고했다.
올리고당은 장내 유산균의 일종인 비피더스균의 먹이로 유산균을 늘려서 장 운동을 활성화시키고 장을 깨끗하게
유지시켜 주는데 이렇게 좋은 올리고당이 우엉에는 무려 양배추의 5배나 들어있다고 한다.
우엉의 다양한 효능 이야기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의 효능을 살펴 보도록 할께요.
▶ 아르기닌 : 강정 효과가 있어 힘을 좋게 하고 뇌를 튼튼하게 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 섬유질 : 변비를 예방해주며 장을 자극해 노폐물을 배출시켜 주는데 도움을 줍니다.
▶ 철분 : 빈혈 예방 및 조혈 작용에 도움을 줍니다.
▶ 탄닌 : 소염작용, 출혈이나 통증을 멎게 해주는 작용을 하며 습진, 두드러기 등에 도움을 줍니다.
우엉과 궁합이 맞지 않는 식품
바지락은 철분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으로 빈혈 예방에 좋은 조개입니다.
그런데 우엉과 바지락은 서로 궁합이 맞지 않는 식품입니다.
그 이유는 우엉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섬유질이 바지락의 철분이 체내에서 흡수되는 것을 막기 때문입니다.
철분 흡수는 칼슘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 우유나 유제품 등을 많이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는 바지락과 함께 식탁 위에 우엉 반찬은 피해주시는 것이 좋겠지요?
우엉의 변색을 막는 방법은 없나요?
우엉 껍질을 벗겨서 채 썰어서 놔 두면 공기 중에 있는 폴리페놀계 화합물이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 되기 때문인데요,
식초물에 담가 두게 되면 변색되지 않을 뿐 아니라 우엉의 떫은 맛도 제거됩니다.
우엉을 삶으면 파랗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우엉에 함유되어 있는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이 나와 우엉의 안토시안 색소와 반응해서 변색되기 때문이며 인체에 해로운 것은 아니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24D650554EE40804)
![](https://t1.daumcdn.net/cfile/cafe/2274C14A554EE4C937)
![](https://t1.daumcdn.net/cfile/cafe/26473B48554EE54809)
![](https://t1.daumcdn.net/cfile/cafe/2435564A554EE4CB10)
![](https://t1.daumcdn.net/cfile/cafe/2742794A554EE4CB08)
※절기(節氣)의 구분
절기는 태양의 황경(黃經: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에 맞추어, 1년을 15일 간격을 24등분 해서 계절을 구분한 것으로
기후의 표준점이다.
24절기(節氣) : 1년을 12개의 절기(節氣)와 12개의 중기(中氣)로 나눈 것을 24절기라고 하며, 절기는 한 달중 월초(月初)에,
중기는 월중(月中)에 해당한다.
24 절기표
절 기 구 분 |
음 력 |
황경 |
양 력 |
절 기 와 계 절 |
봄(春) |
입춘(立春) |
1월 절 |
315 |
2월 4일경 |
봄의 시작. 입춘대길. |
우수(雨水) |
1월 중 |
330 |
2월 19일경 |
봄비가 내리고 얼음이 녹는다. 초목이 싹튼다. |
경칩(驚蟄) |
2월 절 |
345 |
3월 6일경 |
개구리등 벌레나 동물이 동면을 마치고 깨어나는 시기. |
춘분(春分) |
2월 중 |
0 |
3월 21일경 |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게 됨. |
청명(淸明) |
3월 절 |
15 |
4월 5일경 |
날씨가 맑고 청명함. 논농사 준비. |
곡우(穀雨) |
3월 중 |
30 |
4월 20일경 |
봄비가 내려 백곡이 윤택해짐. 못자리 마련. |
여름(夏) |
입하(立夏) |
4월 절 |
45 |
5월 6일경 |
여름의 시작. 냉이는 죽고 보리가 익는 때. |
소만(小滿) |
4월 중 |
60 |
5월 21일경 |
만물이 점차 성장하여 가득찬다는 의미.모내기 시작. |
망종(芒種) |
5월 절 |
75 |
6월 6일경 |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보리수확), 모는 자라서
심게 되는 시기(모심기). |
하지(夏至) |
5월 중 |
90 |
6월 21일경 |
낮이 제일 길고 밤이 제일 짧은 시기. 매미가 울기
시작. |
소서(小暑) |
6월 절 |
105 |
7월 7일경 |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됨. 장마철 시작. |
대서(大暑) |
6월 중 |
120 |
7월 23일경 |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 |
가을(秋) |
입추(立秋) |
7월 절 |
135 |
8월 8일경 |
가을이 시작되는 시기. |
처서(處暑) |
7월 중 |
150 |
8월 23일경 |
더위가 물러나고 아침저녁의 일교차가 커짐. |
백로(白露) |
8월 절 |
165 |
9월 8일경 |
이슬이 내리고 가을 기운이 완전히 나타남. |
추분(秋分) |
8월 중 |
180 |
9월 23일경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짐. |
한로(寒露) |
9월 절 |
195 |
10월 8일경 |
찬이슬이 내림. 국화전. |
상강(霜降) |
9월 중 |
210 |
10월 23일경 |
서리가 내리기 시작함. 추수 마무리. |
겨울(冬) |
입동(立冬) |
10월 절 |
225 |
11월 7일경 |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 물과 땅이 얼기 시작. |
소설(小雪) |
10월 중 |
240 |
11월 22일경 |
첫 눈이 오기 시작하는 때. |
대설(大雪) |
11월 절 |
255 |
12월 7일경 |
눈이 많이 오는 시기. |
동지(冬至) |
11월 중 |
270 |
12월 22일경 |
낮이 제일 짧고 밤이 제일 긴 시기. 팥죽. |
소한(小寒) |
12월 절 |
285 |
1월 6일경 |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
대한(大寒) |
12월 중 |
300 |
1월 21일경 |
추운 시기. |
봄이 시작되는 입춘, 일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하지, 낮이 가장 짧은 동지 등 1년은 24개의 절기로 이뤄져 계절의 변화를
나타낸다. 양력으로는 매년 같은 날, 간혹 하루 정도 차이를 두고 돌아온다.
물론 음력은 해마다 다르나 우리 선조들은 양력이 도입되기 훨씬 전부터 절기에 맞춰 농사를 지어왔다.
절기는 이처럼 음력을 쓰는 농경사회에서 필요에 따라 양력과 관계 없이 만들었지만, 태양의 운동을 바탕으로 한 탓에 결과적으로
양력의 날짜와 일치한다. 제로 달력을 놓고 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온다.
24절기는 고대 중국 주나라 때 처음 고안됐다.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일어나는 기후의 변화는 반영할 수 없었기 때문에
천문학 지식을 동원, 지구의 태양 공전 주기를 24등분 했다.
그 다음 지구가 태양을 15도 만큼 돌 때마다 황하유역의 기후를 나타내는 용어를 하나씩 붙여 24개의 절기를 완성했다.
▶ 땅콩 재배법
1. 땅콩의 생육조건 |
1) 생태적 특성 |
○ 고온, 햇빛이 많은 조건에서 개화가 양호, 햇빛부족은 생장과 꼬투리 형성 부진 ○ 생육최성기 수분요구량이 많음(5-7mm/일), 수분장해는 개화기에 가장 큼 ○ 자방의 정상성장은 물리적인 자극, 암조건, 수분조건이 반드시 필요 |
|
2) 토양조건 |
○ 배수가 좋은 양토 또는 사양토 |
- 점질토 : 꼬투리수 많으나 수확손실 큼, 수분부족시 꼬투리 형성이 어렵고, 꼬투리 색택불량 - 사토 : 파종기에 지온이 높고, 수확이 간편한 이점은 있으나 지력이 낮고 한발의 피해 받기 쉬움 |
○ 토양산도는 pH 5.5이상, 최적산도는 pH 6.8정도 ○ 이어짓기 시 수량감소(2년 연작 18%, 3년 연작 38%)가 크므로 1-3년마다 돌려짓기, 돌려짓기 작물로는 옥수수, 조, 수수, 참깨, 고추, 수박등이 좋고 목화, 담배, 콩과 작물과의 이어짓기는 피함 |
|
2. 재배요령 |
1) 종자준비 |
○ 생육이 우량한 개체에서 채종(석회가 부족하면 품질, 발아력이 저하). 수분함량을 8-10%이하로 건조시켜 온도와 습도가
낮은 곳에 꼬투리 채로 보관하였다가 파종 전에 탈각 ○ 껍질이 매끄럽고 잘 성숙된 종자를 선택 ○ 종자는 캡탄 문제로 분의 소독(2-3g/kg) 혹은 베노람수화제 300배 액으로 4시간정도 침지 후 물기가 걷힌 다음 파종 |
|
2) 재배법 |
○ 일반재배기준 |
- 일반적으로 무피복 재배로서 파종은 4월 말부터 5월 상순 - 시비는 기비와 추비로 나누어 살포 - 수량성은 비닐피복재배에 비해 약 20%정도 낮음. - 비닐 피복재배과 일반재배의 차이 |
|
구 분 |
비닐피복재배 |
일반재배 |
파종기 |
4월중-하순 |
4월말-5월상순 |
시비량 |
N-P2O5-K2O=3-9.8-10(kg/10a) |
N-P2O5-K2O=3-7-10(kg/10a) |
재식밀도 |
8000주/10a(40/60x25cm) |
10,000주/10a(50x20) |
석회시비 |
150kg/10a, 경운후 전량기비 |
기비 50, 추비 50kg/10a | |
※신개간지 적정시비량 : 4-30-20kg/10a(26%증수), 석회중화량 |
|
○ 비닐피복재배 |
- 비닐은 반드시 규격비닐 사용 ·땅콩 피복용 비닐규격 : 비닐두께 LDPE(저밀도필름, 흑색) 0.01mm, 비닐폭 110cm, 줄사이 거리 40cm ,
포기사이 거리 25cm, 구멍 직경 4cm - 시비방법 ·3요소 : 단비보다 땅콩용 복합비료(4-19-14) 75kg/10a를 밑거름으로 사용하면 작업이 간편하며
고토(3%)와 붕소(0.3%)같은 미량요소가 들어있음 ·석회 : 수동흡수(삼투압)를 하며 흡수된 칼슘은 꼬투리로 이동이 어려우므로 뿌리와 꼬투리 부근에 고루 시비되도록 경운 후(로터리 작업하기 전)에 시용 ·밭갈이 전 퇴비(완숙퇴비 1,000kg/10a) 및 비료량을 전량기비로 살포 ·굼벵이류나 선충을 방제하기위한 토양살충제도 동시에 사용 - 비닐피복 방법 및 파종작업 ·비닐피복은 토양수분이 적당할 때 함 ·땅고르기 작업이 끝나면 1m 간격으로 규격비닐을 피복하여 나가는데 70cm 고랑을 만들면 헛고랑은 30cm가 남게 됨 ·잡초방제의 효과와 자방병의 지중에로의 침입을 순조롭게 하기위해 비닐을 지면에 수평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중요 ·비닐피복이 끝나면 싹이 튼 알은 1개씩, 싹이 트지 않은 알은 2립씩 파종 ·파종 후 10일이상이 되어도 싹이 트지 않으면 파보고 썩었으면 보파 ·땅콩을 파종할 때 파종깊이는 보통 3-4cm 깊이에 심는 것이 적당 | |
심은 땅콩이 땅 속에서 자라 주렁주렁 열려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1431914F5153FEA130)
원장님과 함께 떠나나는 땅콩여행==33슝
애기나리 반(만 2세) 생태 친구들에게 2개씩 나누어 주고 받은 땅콩을 탐색 해보며 밭에 심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17063C4E5156FDF322)
땅콩도 아기 감자처럼 집이 있어요...땅콩집에 쏘~~옥 넣어 주었어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1130F34F5153FEA430)
감자에 뾰족뾰족 난 도깨비 싹에서 감자를 수확하게 되는 겁니다.
씨감자의 눈을 도려내는데 3등분, 4등분 한다고 하지만, 수치로 정확하게
말을 못하는것은 감자의 눈(싹이 나는 부분)이 일정하게 3, 4등분의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이에요.
![](https://t1.daumcdn.net/cfile/cafe/2453513A533282F811)
씨 감자집 구멍 속에 쏙 넣은 후 아기감자에게 흙 이불을 덮어 주어요! 춥지 말라고 히힛^^그리고 또닥또닥~~잘자라라!
![](https://t1.daumcdn.net/cfile/cafe/264CC04D5510F68B11)
중부지방에서는 3월중순~4월초에 감자를 심어야 맛있는 하지 감자를 맛볼수가 있고
씨 감자를 심는 깊이는 15cm, 간격은 25~30cm로 심는데, 씨 감자를 넣고 흙을 덮을 때 5cm정도 움푹 들어가도록 합니다.
최종편집일 : 2012-02-08
씨감자 싹틔워 심으면 수량 늘어
*바람 잘 통하고 따뜻한 그늘서 틔우도록
농촌진흥청은 이달 중순부터 정부 보급종 씨감자가 공급되고 또 봄감자 심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상한 감자가 없는지 꼼꼼하게
확인하는 등 철저히 준비해 줄 것을 농가에 당부했다.
농진청은 중남부지방의 경우 봄감자를 3월 중순~4월 상순경에 심기 때문에 이에 맞춰 그늘싹틔우기(산광싹틔우기)를
하면 된다고 밝혔다. 그늘싹틔우기는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곳에서 씨감자에 약한 빛을 쬐어 주는 방법이다.
그늘에서 싹을 틔워 감자를 심으면 감자싹이 땅 위로 빨리 올라와 토양전염성 병해충 피해를 막고, 감자가 자라는 기간을 늘려
수확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 그늘싹틔우기는 하우스 외부에 30~50%의 차광망을 덮어 직사광선이 들지 않게 한다.
씨감자는 바닥에 얇게 깔아 놓거나 바람이 잘 통하는 상자나 망에 담아 2~3단 높이로 쌓고 2~3일에 한번씩 뒤집는다.
씨감자가 적을 때에는 씨감자 상자를 펴놓은 후 그 위에 차광망을 덮어도 된다.
낮에는 온도가 너무 오르지 않게 환기구나 측창을 열고 밤에는 씨감자가 얼지 않게 보온덮개를 덮는다.
하루 한두번 바닥에 물을 뿌려 습도를 유지해 준다.
그늘싹틔우는 기간은 씨감자 심기 전 25~35일이다.
씨감자는 늦어도 감자를 심기 일주일 전에는 잘라서 자른 면이 아물 수 있게 한다.
자를 때에는 한쪽당 한개 이상의 눈이 들어가게 한다. 무게는 30~40g이 적당하다.
씨감자를 자르는 칼은 반드시 끓는 물이나 차아염소산나트륨(락스)에 소독해 병원균의 전염을 막는다.
조지홍 고령지농업연구센터 연구사는 “해마다 씨감자 관리를 잘못해 감자가 썩거나 싹이 늦게 올라 수확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며 “반드시 적절한 싹틔우기를 하고 씨감자 절단용 칼은 소독하는 등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농민신문 이인아 기자
텃밭채소 파종시기와 재배법
작물명 |
파종 |
정식 |
수확 |
TIP |
가지 |
2초 |
4하~5중 |
7~10월 |
지주대세우기, 아랫잎 따주기, |
감자 |
2하~3중 |
3하~5중 |
7~10월 |
씨감자는 5cm정도로 깊게 심는다. |
강낭콩 |
5중 |
노지직파 |
6하~7하 |
솎음질, 지주세우기, 수분관리 |
울금(강황) |
종근번식 |
4상~5상 |
눈내리기전 |
멀칭재배는 조금일찍, 물주기 |
고구마 |
줄기심기 |
5중~6중 |
10월 |
씨고구마 묻는시기: 3중~4상 |
고수 |
4~6월 |
직파 |
9초~11중 |
봄파종: 4월, 여름파종: 6월 |
고추 |
1~2월 |
4하~5초 |
7~10월 |
예방위주의 약제살포(7일간격) |
근대 |
4하~5월 |
직파 |
6~8월 |
여름파종: 7~8월, 가을파종: 9~10월 |
당근 |
4중~5중 |
직파 |
7중~8중 |
여름파종: 7중~8, 가을파종: 8중 |
도라지 |
3~4월 |
직파 |
2년차 가을 |
가을파종: 10~11초(늦게파종이 안전) |
딸기 |
어미묘심기 |
9월 |
이듬해수확 |
하우스재배시 12월 수확가능 |
땅콩 |
4~5월 |
직파 |
10~11월 |
육묘시엔 본잎이 2장일때 정식 |
마늘 |
9하~10하 |
씨마늘 |
5중~6하 |
난지형: 9중하, 한지형: 10하 파종 |
멜론 |
1~2월 |
3초~4중 |
6~7중 |
가을정식: 6초~7초, 적심이나 정지 |
몰로키아 |
4중 |
5중 |
10월 |
통풍을 좋게하고 고온,다습하지않게 |
무 |
3중~4중 |
직파 |
5초~7중 |
가을파종(김장용): 7초~8초 |
미나리 |
영양번식 |
3~8월 |
5~11월 |
줄기를 절단하는 영양번식으로 재배 |
박 |
4초 |
5중 |
7~9월 |
필히 물에불려 침지시킨후 파종 |
배추 |
3초~4초 |
4초~5초 |
6중~7하 |
가을정식(김장용): 8말~9중 |
베이즐 |
5중 |
직파 |
7중~10말 |
원줄기가 20cm 정도면 순치기 |
부추 |
3중~4중 |
6초~7중 |
11초~5초 |
가을재배: 4초~5초에 정식 |
브로콜리 |
3초 |
4초 |
6말 |
파종후 새로나온잎이 5~6매시 정식 |
삼엽채 |
4월 |
직파 |
10월 |
씨와 포기나누기로 번식 |
상추 |
년중 |
년중 |
년중 |
본옆이3~4매때가 정식적기,얕게심기 |
생강 |
4~5월 |
종강심기 |
10~11초 |
볏짚등으로 피복하여 건조방지, |
샐러리 |
5~6월 |
직파 |
11~12월 |
대체적으로 정식 후 60일쯤 수확 |
수박 |
4중 |
5중 |
7중~8하 |
줄기가 과번무하면 착과가 불량하다. |
수세미오이 |
4초 |
5초 |
7중~8말 |
5월상순까지는 정식완료한다. |
시금치 |
년중 |
년중 |
년중 |
저온에서도 생육이 잘된다. |
신선초 |
3중 |
3말~4말 |
5초~6말 |
밭에 종자를 직접뿌리는것이 일반적. |
쑥갓 |
봄,가을 |
직파 |
년중 |
고온에서는파종후60일경과시추대발생 |
아스파라가스 |
2~4(온실) |
온실재배 |
정식후 2년 |
5~12월까지 노지에서 가식 |
아욱 |
4월 |
직파 |
5말~7말 |
년중 재배생산, 파종후 30일부터수확 |
엔디브 |
2중 |
3중 |
4말~7말 |
가을파종: 7중, 가을정식: 8중 |
양배추 |
2말 |
3말 |
7초 |
가을파종: 6말, 가을정식: 7말 |
양파 |
1월 |
3월 |
6말 |
가을파종: 8월, 가을정식: 10월 |
양하 |
3~4월 |
직파 |
9월 |
한 장소에서 계속적인 재배가능 |
여주 |
3초~4말 |
4말~5말 |
7~10월 |
연작을 피하고 노지에서는 해충피해 |
연근 |
영양번식 |
5초 |
9월 |
씨와 연뿌리로 번식 |
오이 |
3말 |
4중 |
7초 |
정식후 30일 전후면 수확가능 |
오크라 |
5중 |
직파 |
7~10월 |
습한곳을 싫어한다. |
옥수수 |
3월 |
5초 |
6중~7말 |
수확시기는 암술머리가 말라갈때쯤 |
완두 |
3중 |
직파 |
7월 |
남부는10월초에 파종이듬해 5월수확 |
잎들깨 |
5중 |
직파 |
6~9월 |
비옥하거나 습하면 결실불량,웃자람 |
쪽파 |
4월 |
종구파종 |
6~7월 |
가을재배: 8중~9상 파종 |
참외 |
4말 |
5말 |
7말 |
순자르기를 잘해야된다. |
채심 |
6월,8월 |
직파 |
6~7월 |
8월에 파종한것은 10~11월에 수확 |
치커리 |
2월 |
3월 |
4월 |
가을재배는 7월에 파종,8월정식 |
케일 |
3월 |
5월 |
8월 |
여름파종시 가을부터 봄까지 수확 |
꽃양배추 |
3초 |
4초 |
7초 |
가을재배: 7말파종,8말정식,11말수확 |
토란 |
4월 |
씨토란 |
9~11월 |
토란은 수분이 많아야한다. |
토마토 |
3초 |
4말 |
6말 |
1화방이 꽃필무렵부터 곁순을 따준다 |
파 |
3말 |
6말 |
9중 |
가을: 10월파종, 3월정식, 5,6월 수확 |
파슬리 |
1~4초 |
직파 |
5~3월 |
여름재배: 7~8월파종, 11월부터 수확 |
파프리카 |
1말~2말 |
4말~5초 |
7초~10월 |
노지재배는 어려우니,하우스 이용 |
호박 |
4초 |
5월 |
8월 |
암꽃이 피기 1주일전부터 추비 |
*작물 파종하는 시기
구 분 |
작 물 |
재배시기 |
종자량 (300평기준) |
심는거리(cm) |
기타 |
파 종 |
수 확 |
엽채류 |
상추 |
4 ∼ 9월 |
파종후30일 |
0.4∼0.6㎗ |
12×15 |
|
쑥갓 |
4월, 9월 |
6상, 12상 |
4ℓ |
5×5 |
|
시금치 |
10중순 |
12월~ |
5∼7ℓ |
5×5 |
|
들깨 |
4상순 |
5하순 |
0.5kg |
9×9 |
|
파 |
4상, 8하 |
10하, 4상 |
6㎗ |
75× 6 |
|
양배추 |
10상 |
2하~4중 |
2,800주 |
75×45 |
모종 |
부추 |
4하순 |
10하순 |
2㎗ |
60×20 |
|
갓 |
4상, 8중 |
6중, 10중 |
5∼6㎗ |
12×15 |
|
배추 |
4중, 8하 |
6하, 12상 |
5,000주 |
45×20 |
모종 |
근채류 |
무 |
4상, 9상 |
5하, 11하 |
6∼8㎗ |
60×20 |
|
알타리무 |
4상 |
5하 |
6∼8㎗ |
60×20 |
|
당근 |
3하 |
7상 |
0.4∼0.5㎗ |
60×12 |
|
마늘 |
10중 |
5중 |
80접 |
20×10 |
|
양파 |
8하 |
5중 |
45,800주 |
18×12 |
모종 |
생강 |
5상 |
10하 |
300kg |
60×30 |
|
과채류 |
오이 |
4중 |
6~8월 |
3,500주 |
60×45 |
모종 |
호박 |
4중 |
6월~ |
550주 |
150×120 |
" |
수박 |
4중 |
6월~ |
600주 |
180×90 |
" |
참외 |
4중 |
6월 |
550주 |
200×90 |
" |
토마토 |
4중 |
6중 |
2,475주 |
160×25 |
" |
딸기 |
9중 |
5중 |
6,185주 |
60×20 |
" |
가지 |
4중 |
6하 |
3,140주 |
75×45 |
" |
고추 |
4중 |
6월 |
3,300주 |
75×40 |
" |
식량
작물 |
고구마 |
5상 |
10중 |
75kg |
70×20 |
|
감자 |
4상, 8중 |
7상,11중 |
150kg |
70×20 |
|
옥수수 |
5상 |
8하 |
2∼2.5kg |
60×15 |
|
콩 |
5상 |
10상 |
5∼6kg |
60×25 |
농작물 심는 시기와 파종시기